반응형 ♣AI 경영사전295 group think. 집단사고 집단적 사고라고 말하면...한국사회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우선 나타날 것이다. 우리는 늘 '통일'을 강조하니까... 음식주문할때도 통일, 좋은 말로는 통일인데...나쁘게 말하면...이건 "획일성"이고, "다양성의 부재" 라는 관점으로 봐야 한다. 특히 어떤 사회가 다양성의 부재에 매몰될 경우, 매우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사례가 있다. 미국 백악관 안보회의 참가자들의 문제, 영국의 세금정책 문제, 한국의 과거 무능한 정권들의 문제 등등 나 조차도 전통적인 대한민국 사회의 파시스트로서 그런 측면이 내재화 되어 있는 사회구성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 현실을 탈피하고자 노력중이다. group think. 집단사고 집단사고(Groupthink)는 집단 내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부 .. 2023. 5. 26. "보상을 제공하면 창의적인 직무성과가 증가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실험 "보상을 제공하면 창의적인 직무성과가 증가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실험 "보상을 제공하면 창의적인 직무성과가 증가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실험으로는 아마딜로 연구(Amabile study)가 대표적입니다. 아마딜로 연구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테레사 아마딜로(Teresa Amabile) 교수가 주도한 실험으로, 보상이 창의적인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연구는 참가자들을 조직에서의 창의적인 과제를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조건과 제공하지 않는 조건으로 실험 그룹을 나누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아마딜로 연구는 보상을 제공하는 조건에서 창의적인 업무 성과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보상을 받는 참가자들은 보상에 의한 압박과 목표 지향성으로.. 2023. 5. 26. Candle box problem Candle box problem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를 고민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는 문제입니다. 독일의 심리학자 칼 던커가 1945년에 처음 고안했습니다. 던커는 이 문제를 창의적 사고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고안했습니다. 샘 글럭스버그는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칼 던커가 고안한 양초 상자 문제를 재구성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보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글럭스버그의 연구에 따르면, 보상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창의적인 사고력이 저하됩니다. 이는 보상에 대한 기대가 사람들이 기존의 사고방식에 갇히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샘 글럭스버그의 "양초 상자 문제"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심리학 실험입니다. 이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양초 상자, 양초, 성냥.. 2023. 5. 26. 기업의 인수합병에 있어서 partnering 접근법 기업의 인수합병에 있어서 partnering 접근법 인수합병에서의 partnering 접근법은 기업 간의 협력과 협업을 강화하여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접근법입니다. 이는 인수합병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인수합병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상호 협력을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합니다. 이는 상호 이익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동의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원과 역량 공유: partnering 접근법은 인수합병 기업 간의 자원과 역량을 공유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기존의 각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전문성을 상호 보완하며, 시너지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킵니다. 문화 및 가치 일치: par.. 2023. 5. 26. Redundant organization. 중복조직 중복조직은 패스트팔로워 마인드로는 비용낭비라고 보기 쉽다. 아래 설명된 내용도 부정적 관점에 가깝다. 그러나 역으로 퍼스트무버에게는 필수적인 조직이라고 생각한다. 선도자의 위치에 있는 CEO 및 의사결정자는 복수의 조직을 통해 정보의 그리고 의사결정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 Redundant organization은 조직 내에서 중복된 역할과 기능을 가진 부서 또는 팀이 존재하는 조직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는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Redundant organization은 보통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성장과 .. 2023. 5. 26. 마라톤 효과 Promotion vs Prevention 의 개념비교와 비슷한 느낌인데...이를 집단,조직의 관점으로 재핵석한 느낌 ===================================== 마라톤 효과는 조직 내에서 변화를 주도하는 그룹과 변화에 저항하는 그룹 간의 격차 현상을 말합니다. 마라톤 효과는 조직 내에서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는 그룹(주도 그룹)이 다른 그룹(저항 그룹)보다 발전 속도가 빠르게 되어 격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마라톤 효과의 주된 원인은 주도 그룹의 높은 동기와 열정, 조직 내부의 유연성과 창의성입니다. 주도 그룹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시도하고 적극적으로 변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저항 그룹은 변화에 대한 불안감이나 저항심리, 과거의 관행에 대한 집착으로 .. 2023. 5. 26. assimilation. 타인이나 타조직의 태도,감정의 이해 assimilation. 타인이나 타조직의 태도,감정의 이해 "Assimilation"은 다른 개인이나 조직의 태도, 감정, 가치관, 문화 등을 이해하고 흡수하는 개념을 말합니다. 이는 상호간의 이해와 공감을 통해 다양성을 인정하고 조화롭게 협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ssimilation은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의 가치관이나 믿음과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듣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타인의 태도, 감정, 문화는 그들의 경험과 배경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마음가짐과 존중이 필요합니다. Assimilation은 상호간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진정으로 상대방의 이야기.. 2023. 5. 22. 조직의 silo, 즉 부서 이기주의를 해소하는 방법 조직의 silo, 즉 부서 이기주의를 해소하는 방법 사일로를 해소하고 부서 이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조직문화 개선: 조직 내에서 협업과 지식 공유를 강조하는 문화를 조성합니다. 이를 위해 리더십은 협업을 장려하고 열린 의사소통을 지원해야 합니다. 사례로는 구글의 "20% 시간" 정책이 있습니다. 구글은 직원들에게 업무 시간 중 20%를 개인 프로젝트에 할당하여 협력과 창의성을 촉진하고, 부서 간 경계를 허물어줌으로써 사일로를 해소하였습니다. 효과적인 팀워크와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기반의 작업을 장려하고, 효율적인 팀워크를 구축합니다. 팀 간 협업을 강조하고 업무의 목표와 역할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작은 팀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 2023. 5. 22. silo : 조직 내 장벽 silo : 조직 내 장벽 조직 내에서 silo(사일로)는 각 부서나 팀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정보, 자원, 지식의 공유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Silo 효과는 조직의 효율성과 협업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ilo 개념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설명됩니다: 정보 공유 부족: 각 부서나 팀이 자체적인 정보와 지식을 보유하고, 다른 부서와의 정보 공유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조직 내에서 필요한 정보의 흐름이 막히고, 의사소통과 협업이 어려워집니다. 자원 낭비: 각 부서나 팀이 독립적으로 자원을 보유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중복된 자원의 사용이 발생하거나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부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조직 전체적인 자원 활용의 효과성을 감소시킵.. 2023. 5. 22. SLIM MARKETING / 슬림마케팅 SLIM MARKETING / 슬림마케팅 슬림마케팅(Slim Marketing)은 소비자의 관심과 주목을 끌기 위해 더욱 집중된, 정확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개념입니다. 기존의 대규모 마케팅 대신 소규모의 타겟 마케팅에 집중하여, 제한된 예산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목표 고객층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높은 반응률과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역 브랜드의 커피 가게: 지역 커피 가게는 대규모 커피 체인점들과 경쟁하면서도 특정 지역 커뮤니티에 집중된 슬림마케팅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역 사회 그룹에게 직접적으로 접근하고, 지역 행사나 이벤트에 참여하여 브랜드 인식을 높이는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 의류 브랜드.. 2023. 5. 2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