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비즈니스 지식모음

국방,군사용어사전 : 15801-15900

by 아이러브비즈니스 2022. 5. 9.
반응형

국방,군사용어사전 : 15801-15900

순번     분류     표제어   영문     설명

1580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조공     Supporting Attack         공격작전시 주공의 성공을 돕기 위하여 공격을 실시하는 전술집단 혹은 부대를 가리킨다. 조공이 맡을 수 있는 임무는 주공의 기동을 도울 수 있는 지형 통제, 주공을 방해하는 적 부대의 격멸, 선정된 지형지물에 적을 고착 및 견제, 주공 정면에 대한 적의 증원 방지, 적에 대한 주공 위치 기만, 적 예비대를 조기에, 혹은 결정적이 아닌 장소에 투입하도록 강요하는 것 등으로, 조공은 주공의 성공을 돕기 위한 목적을 위해 위 임무 중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을 수행하게 된다.

1580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조약     Treaty   좁은 의미로는 국가간의 정치, 외교적 관계에 대한 고도의 포괄적인 최상위의 합의 형태로서 특별히 구체적으로 조약(treaty)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을 가리키며, 넓은 의미로는 국제법에 따라 국가간에 체결되는 문서에 의한 모든 형태의 국가간 합의를 가리킨다. 이 넓은 의미의 조약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들로는 협약(Convention, Pact), 협정(Agreement), 약정(Arrangement), 의정서(Protocal), 규약(Covenant), 헌장(Charter, Constitution), 규정(Statute), 결정서(Act), 선언(Declaration), 약정(Arrangement, Accord), 교환공문(Exchange of Note), 잠정협정(Modus Vivendi), 합의각서(MOA), 양해각서(MOU) 등을 들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조약은 형식에 따라 보편조약, 일반조약, 특별조약(조약 당사국의 수에 따름) 또는 개방조약, 폐쇄조약( 3국 가입의 인정여부)으로 나뉘며, 내용에 따라서는 정치조약, 통상조약, 입법-행정조약 등으로 나뉘어지기도 한다.

1580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조우전   Meeting Engagement      불완전한 전개상태에서 이동하고 있는 부대가 불충분한 정보로 인하여 이동중이나 정지하고 있는 적과 조우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전투행위를 가리킨다. 대부대가 공격, 방어, 지연작전을 수행할 때 소부대에서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접적전진 중이나 정찰활동이 미흡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서로의 조우 예측 여부에 따라 4가지 경우의 수가 나오게 되는데, 가장 유리한 것은 물론 아군이 조우를 예측한 상태에서 적은 조우를 예측하지 못하고 조우전이 벌어지는 경우이다. 조우전이 벌어졌을 경우에는 가능하면 전투를 유리하게 전개하여 적을 격멸하고, 적을 격멸하는 것이 부대능력을 초과하는 행동일 경우에는 적을 고착시켜 상급부대의 공격여건을 조성해 두어야 한다. 조우전은 그 상황이 불명확하고 신속한 행동을 요구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그 진행에 있어서는 초기 주도권을 장악하여 적을 수동상태로 몰아넣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도권 장악을 위해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아군의 전투력 발휘가 용이한 유리한 전장의 선택하고 적보다 앞서 유리한 위치를 점령할 것과 전세를 지배할 중요지형지물을 적보다 앞서 점령하여 확보할 것, 신속하게 기동력을 발휘하여 적보다 먼저 유리한 전투태세-가능하면 포위공격이 가능한 형태-로 빠르게 전개할 것, 우세한 전투력을 결정적 지점에 집중함으로써 적을 압도하고 격파하기 위하여 전투력을 신속하게 조직화할 것 등을 들 수 있다.

1580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종심방어           Defense in Depth           적의 공격을 유인하고 점진적으로 약화시키며, 모든 진지를 적이 최초에 관측할 수 없도록 방지함으로써 지휘관으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예비대를 이용한 기동을 행하게 할 수 있도록 계획된 상호 지원 방어진지의 배치를 가리킨다. 종심방어를 위해서는 충분한 방어종심이 필요한데, 이는 방어의 종심이 얕을 경우 방어측이 적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조치를 취하기 전에 방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취약점이 있으며, 핵 또는 화생무기의 지원을 받는 경우를 포함한 적의 강력한 공격은 아군의 전방 방어지역을 돌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종심방어를 위해서는 전방방어지역이 돌파된 뒤에도 적을 견제 또는 유인하고 역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방어지대가 충분한 종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방어종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어자측에서 적절한 부대전개 및 부대기동을 행하고 저지진지, 야전축성, 장벽 등의 수단을 동원하면서 화력 및 예비대를 적절히 운용하는 등의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

1580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종심작전           Deep Operations 1. 냉전시대에 서방진영에서 방어작전 개념으로 개발된 작전으로, 기본적으로 조기에 전장을 적지로 확대하고 적지결전을 추구하여 자국 영토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작전으로, 아군의 전투력을 보존하면서 적의 전투력 및 전투의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적의 종심 깊은 곳에 있는 적 전투력의 중추부를 타격하는 것이 그 기본골격이 된다. 전방 접적지역에서의 적 공격부대에 대해서는 고착견제를 행하면서 적의 후방지역과 화력지원 수단 및 접적지역으로 향하는 적 후속제대에 공격을 가하여 전방지역에서의 적 압력을 배제하고,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적지 결전을 추구하게 된다.  2. 2차 세계대전 이전 구 소련의 투하체프스키에 의해 고안되고 개념이 정리되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구 소련의 선제공격용 교리로 채택된 전술을 말한다. 전차와 보병전투차량을 결합시킨 고속 기동타격부대를 주축으로 적진에 대한 지속적인 제파공격 작전을 행하여 전장의 광정면에 걸친 적의 방어망 중 얇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파고들어간 뒤 돌파구를 넓히면서 적의 종심을 따라 강하게 돌파함으로써 적진을 일시에 붕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공정대에 의한 종심타격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1580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주공     Main Attack      결정적인 목표에 대부분의 공격역량을 집중 지향하는 전술 집단을 가리킨다. 주공은 일반적으로 결정적인 목표로 대표되는, 부대 임무수행에 최대로 기여하는 목표의 확보를 지향하는 공격부대로서, 적에 비하여 결정적 우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전투력 할당의 우선권이 부여된다. 주공이 갖는 특징으로는 전투력 할당의 우선권으로 인한 강력환 전투편성과 비교적 협소한 전투정면(상황에 따라 광정면 부여 가능), 보다 강력한 예비대의 보유를 들 수 있으며, 주공의 지정은 상황이 명확하고 작전진행의 예측이 가능할 경우 최초부터 지정하나, 상황 변동에 따라 조공과 주공이 전환되거나, 임무 변경으로 특정 지역에서 주공이 변경되거나, 불명확한 상황 때문에 상황에 따라 주공이 지정될 수 있다. 야간작전, 도하작전 등으로 상황이 불명확하거나 최종 목표가 분할되었을 경우에는 최초부터 주공을 지정하지 않기도 한다. 또한, 양익포위기동과 같은 경우에는 두 개의 주공을 가지게 된다. 주공의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임무, 기동공간, 가용전투력, 시간, 기습의 효과 등을 들 수 있으며, 주공 방향을 중간에 변경할 경우, 필연적인 주요 부대의 재할당, 전술 및 행정부대 편조의 혼란, 화력지원 협조의 재설정 등으로 인한 불리점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주공, 조공의 변경시에도 지원화력과 배속부대를 재배당하는 지휘조치를 취해야 하며, 예비대의 위치도 변경해 두어야 한다. 주공이라는 단어는 주공부대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1580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주력     Main Force        중심 세력의 부대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본대 또는 주공부대가 한 단위 운용부대의 주력을 이룰 수는 있으나 반드시 그것 자체가 주력인 것은 아니다. 주력이 뜻하는 전술적 의미는 엄호부대에서 예비대에 이르는 전체적인 부대로 확장될 수도 있으며, 결론적으로, 주력이란 그 세력을 구성하고 있는 모체부대가 진행하고 있는 작전의 승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대부분의 전투력을 보유한 집단을 뜻하게 된다.

1580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주파수   Frequency         일정한 크기의 교류전류나 전계, 자계의 진동현상이나 빛의 파동현상과 같은 주기적 현상이 단위시간(1) 내에 되풀이되는 횟수를 가리킨다.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로는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가시광선, 자외선, X, 감마선 등이 있는데 이 중 전파가 점유하는 주파수를 무선 주파수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주파수라고 하면 무선 주파수를 가리킨다. 주파수의 단위로는 1초당 진동수를 나타내는 Hz(헤르츠) 및 그 계열의 단위인 kHz(킬로헤르츠=1,000Hz), MHz(메가헤르츠=1,000kHz), GHz(기가헤르츠=1,000MHz), THz(테라헤르츠=1000GHz)가 사용된다.

1580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주한미군방송                주한미군의 방송망을 가리킨다. American Forces Korean Network의 약칭으로, AFN Korea의 호출약칭이기도 하다. AFRTS(Armed Forces Radio and Television Service)의 해외 방송망 중 하나로, 주한미군사령부 공보부가 설치하여 1950년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공중파 방송으로 AFN Korea TV, Eagle FM Thunder AM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TV 및 라디오 매체등을 통해 주한 미군, 군무원 및 그 가족들에게 지역 사령부의 정보, 뉴스 및 각종 오락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임무로 하고 있다. 본부는 용산 미군 부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산, 의정부, 오산, 군산, 대구 등 다섯 개의 지국으로 운영되고 있다.

1581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거리탄도탄      Mid-Range Ballistic Missile          사거리가 25005500㎞ 정도에 달하는 탄도미사일을 가리킨다. 핵미사일의 경우 준중거리탄도미사일과 더불어 전술핵과 전략핵의 중간적 개념인 전역핵으로 분류되며, 전술핵무기와 전략핵무기로 나누게 될 경우에는 전략핵무기의 범주에 속한다. 중거리탄도미사일을 운반체로 하는 중거리핵전력의 경우 미국과 구소련은 1988년의 군축결정에 따라 폐기하였으며, 중국과 프랑스가 자체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1581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계기   Middleman        해양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각 해상세력간의 장거리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배치된 항공기를 가리킨다. 통신중계를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체공시간이 길면서 비행안정성이 우수한 항공기가 주로 이용된다.

1581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성자탄           Neutron Bomb, Enhanced Radiation Weapon 방사능 무기의 일종으로, 핵반응시 발생하는 중성자와 중성자선을 이용하여 인명에 대한 살상능력을 높인 폭탄이다. 일반적인 핵폭탄에 비하여 소형이며 출력도 낮은 전형적인 전술핵무기로, 그 폭발의 위력과 잔류방사선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에 비교해서도 그 1/10 또는 그 미만으로 작으나 보통의 핵폭탄에 비하여 중성자량을 크게 높였기 때문에 폭풍이나 열에 의한 살상영역보다도 방사선에 의한 살상영역이 넓다. 노출된 인원에 대해서는 같은 폭발력의 다른 핵무기에 비해 약 두 배에 달하는 살상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전함이나 전차, 건조물 등의 내부에 있는 인원에 대한 살상반경은 약 세 배에 달한다. 폭풍 및 열의 영향권 바깥쪽의 방사선 살상영역에 있는 건조물, 차량 등의 경우 그 자체는 전혀 피해를 입지 않으나, 내부의 인원들은 치사선량 이상의 방사선을 받아 사망하게 된다.

1581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순양함                     순양함의 분류 가운데 한 가지. 1931년의 런던 군축조약에서 처음 그 정의가 정해졌으며, 주포의 구경을 기준으로 하여 그 구경이 15.2cm를 넘어서는 것을 중순양함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중순양함은 전함의 축소판으로서 구축함의 확장판에 속하는 경순양함과는 화력과 장갑방어력을 비롯한 전투능력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함대들이 재편되고 이전의 포격전식 함대전이 사라지게 되면서 순양함의 주무장도 함포에서 미사일로 바뀌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구경으로 인한 분류는 거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었다. 장비 및 배수량을 기준으로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을 구분하기도 하나, 현대함선의 분류에서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의 분류는 거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그러한 기준이 엄밀하게 적용되는 일은 별로 없다.

1581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심     Center of Gravity 중심이란 힘과 균형의 원천 또는 근원이 되는 중추로서 한 부대의 행동의 자유나 물리적인 유형 전투력, 또는 전투의지를 창출해 내는 근원이나 능력 내지는 특성 또는 위치를 의미하며, 그것이 파괴되면 전체가 붕괴의 길을 걷게 되는 물질적, 심리적 요소를 가리킨다. 집중되어 있는 적의 부대, 적의 전투지휘 구조, 여론 및 국가의 의지, 동맹 및 연합구조 등이 대표적인 중심의 예이며, 국가의지나 동맹구조 등과 같이 추상적일 수도 있는 반면, 병참선이나 산업기지, 지휘통제 체계 등과 같이 구체적일 수도 있다. 중심은 지휘관이 작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관심과 노력을 지향하는 초점이며 가용전투력의 운용방식 결정과 방책 구상의 근간이다. 작전술의 핵심은 적 중심에 대하여 효과를 집중시킬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으며, 적의 중심을 식별하였다 하더라도 작전방향의 전환과 같은 상황의 변화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변화할 수 있으므로 식별 후에도 적 중심의 변화를 계속 추적하여야 한다.

1581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포     Medium, Heavy Artillery   ()포는 구경 155mm의 곡사포를, ()포는 구경 8인치 이상의 포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인 분류이다. 한국군의 경우 2002년 기준으로 K9, K55 자주포, KH 179 견인포, M114 유탄포 등의 중()포를 운용하고 있으며, ()포로는 M115 견인포, M110 자주포 등을 운용하고 있다. 과거 운용되었던 대형전함의 경우 다수의 중()포를 장비하였으나, 항모 중심의 해전이 일반화된 이후 그러한 형식의 전함은 건조되지 않고 있다.

1581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중화기   Heavy Weapon   보병이 운용하는 화기 중에서 비교적 화력이 강하면서 한 사람의 병사로서는 손으로 운반하기 곤란할 정도로 무게가 무거운 화기를 가리킨다. 중기관총, 무반동총, 박격포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곡사포나 평사포를 여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581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증원     Reinforce          특정한 한 부대의 임무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대 및 화력을 지원하는 것을 가리킨다. 증원은 병과가 동일한 부대간(소총소대가 소총중대에)의 배속관계를 뜻하기도 하며 상이한 병과 부대간의 배속관계를 뜻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이한 병과 부대간에 배속이 이루어질 때는 배속되는 부대가 피배속부대에 대하여 2개 제대 하급이 된다.(전차소대가 보병대대에, 또는 소총소대가 전차대대에) 일반적으로 인원이나 군장비를 추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증원이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증원이 증강과 동의어로 쓰이게 된다. 증원에 의해 배속되는 부대를 증원부대라 하는데, 현재 당장 아군에 투입되어 있는 상태는 아니지만 이후의 전개에 따라 임무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기에 투입되거나 증원될 수 있는 부대로서 아군의 전투지경선 내외에 위치한 부대도 증원부대라 칭한다

1581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Surface to Air Missile      지상 또는 함상에서 비행중인 목표에 대해 발사되는 유도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고사포에 비하여 명중도 및 전천후성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대공전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무기로 여겨지고 있다. 유도방식에 따라 지령유도, 호밍유도, 지향전파유도로, 사거리에 따라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용으로, 운용고도에 따라 고고도용, 중고도용, 저고도용으로 분류된다. 지상에서 운용되는 지대공유도탄은 소련의 SA-2와 같이 고정기지에서 운용되기도 하지만 영국의 레이피어나 미국의 M-48처럼 차량에 탑재되어 기동성있게 움직이기도 하며, 보병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종류도 있다. 한국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대공유도탄으로는 장거리요격용의 나이키 허큘리스, 중거리요격용의 호크, 단거리요격용의 미스트랄, 스팅어 및 국산 지대공유도탄인 천마 등이 있다.

1581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구전             결전을 피하면서 교전상태를 오래 지속시키기 위하여 행해지는 작전 또는 전투를 가리킨다. 다른 작전의 수행이나 여타 준비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얻거나 적에게 전력의 소모를 강요하면서 지치게 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선의 변동이 없이 현상을 계속적으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외형적으로는 교착상태를 보이게 되나, 지구전을 행하는 주체측에서는 어디까지나 별개의 목적을 가지고 그것의 달성 위해 작전상 의도적으로 적에게 교착상태를 강요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교착상태와는 다르다. 지구전을 무리없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구전을 수행하는 병사들의 긴장상태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지나친 긴장상태의 연속으로 일찍 소모되거나 긴장이완으로 해이해지는 사태를 방지하고 지구전의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충분한 보급물자 또는 확실한 보급선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1582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대지 유도탄    Surface to Surface Missile SSM     지상에서 발사하여 지상표적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도탄을 가리킨다. 함상이나 잠수함에서 발사되어 지상표적을 공격하는 유도탄도 지대지 유도탄의 범주에 포함된다. 그 비행궤도 및 유도방식에 따라 관성유도로 제어받으면서 탄도궤도로 비행하는 탄도미사일(Ballistic Missile:BM)과 저속, 저공으로 비행하면서 지형대조유도(TERCOM), GPS 유도 등을 관성유도와 결합하는 방법으로 목표를 향해 순항비행하는 순항미사일(Cruise Missile:CM)로 나뉘어진다. 냉전시대에 미국과 구 소련 양측에서 개발되었던 대륙간 탄도탄을 비롯한 많은 탄도유도탄들이 지대지 탄도유도탄의 대표적인 예이며, 이외에 광범위한 지상에 타격을 가할 수 있는 비핵병기인 에이태킴스(ATACMS) 등이 있다. 지대지 순항미사일로는 미국의 토마호크(Tomahawk)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1582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령유도           Command Guidance       외부에서 미사일에 송신된 정보가 직접 미사일을 유도하는 유도방식을 가리킨다. 유도탄 외부에서 모든 정보를 획득하여 산출한 유도신호를 유도탄에 지령으로 전달하면 유도탄이 이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유도를 위한 주요장비가 모두 유도탄 외부에 설치되므로 유도탄 자체의 구조가 간단한 편이고 가격도 다른 유도방식에 비하여 저렴한 편이나, 외부장비가 복잡하고 원거리 표적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편이며, 다표적 동시 대응 능력이 일반적으로 약한 편이다. 지령유도의 방식에는 발사지점에서 유도탄 및 표적에 대한 거리와 방향, 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예상 명중점을 설정하여 유도탄에 유도명령을 송신하는 비시선 지령유도(Command off the Line of Sight)와 사람이 직접 조준기를 통해 보면서 조작하여 발사대와 유도탄을 연결한 와이어를 통해서, 또는 무선으로 유도신호를 보내는 시선 지령유도(Command to the Line of Sight), 발사지점에서 지정된 표적을 향하여 빔을 조사하면서 유도탄을 발사하고 조사되는 빔의 중심에 유도탄을 위치시켜 빔을 따라 표적을 공격하는 빔 편승(Beam Riding)유도방식 및 유도탄에 장착된 탐색기로 표적정보를 측정하여 발사지점으로 송신하면 발사지점에서 신호처리 및 유도명령 계산을 수행한 후 이것을 유도탄으로 다시 송신해 주는 미사일 경유 추적법(TVM : Track Via Missile)이 있다.

1582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상 감시레이더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           전파를 발사하여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올 때의 입사선과 방사선의 주파수 차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는 장비이다. 현재 한국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것은 프랑스 리미트 사의 RASIT 시스템으로, 탐지거리는 인원 14-18km, 차량 25-30km, 헬기 10-28km이며 고도운용거리는 4km이다. 이는 적 예상 접근로 및 취약지역에 배치하여 적의 이동표적에 대하여 탐지 및 추적과 감시를 행하는 전술제대의 주 감시 수단으로 이용되는 전천후 이동물체 감시레이더로, 장비의 고정 및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이동목표 탐지 식별은 용이하나 고정표적 탐지에는 제한을 받는다. 표적 위치는 8계단 방위각으로 자동 산출되어 화면상에 점으로 표시되며, 표적성질은 음향을 통하여 식별하게 되어 있다. 대포병사격을 위한 위치계산에도 이용될 수 있다.

1582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역방어           Area Defense     명시되어 있는 일정한 기간 동안 특정한 진지나 지역을 확보 또는 통제하는 방어형태를 가리킨다. 작전의 목표가 되는 지형을 계속적으로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두게 되며, 전방지역에 전투력할당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최소한의 예비대를 운용한다.

1582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연작전                     차후작전의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적에게 피해를 강요하면서 적으로부터 조직적으로 이탈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궁극적으로 주도권을 확보하여 적을 격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적의 압력에 의하여 현 진지의 고수가 불가능하거나 현 진지에서 방어임무 수행이 불리하다고 판단될 때, 또는 상급부대의 명령에 의해 지연임무를 부여받았을 때 실시되며, 그 주된 목적은 전투력의 보존과 시간 획득, 적 전투력의 약화와 적 부대 유인 등이다. 지연작전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준칙으로는 적 기도 식별과 아군의 기도 은폐대책 강구를 위한 전장감시, 주도면밀한 계획과 협조, 기도비닉과 기만, 유리한 지형의 이용, 가능한 모든 수송수단의 이용 및 적 기동 제한을 통한 기동성의 발휘, 화력과 장애물의 효과적인 운용, 적에게 손실을 강요하고 추격의 차단 혹은 지연을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공세행동 및 확고한 부대 장악을 들 수 있다. 지연작전을 실시할 때에는 지형의 이점과 가용한 전투력을 최대로 활용하여 원거리에서부터 적 전투력의 소모를 강요하고, 각종 공세 행동으로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거나 혼란을 조성하는 등 최소의 공간을 양보하면서 작전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지연작전의 형태에는 지연전, 철수, 철퇴가 있다.

1582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연전   Delaying Action  일정한 공간을 이용하여 결정적인 전투를 회피하면서 적에게 최대한의 전투력 소모를 강요하고, 지속적인 공세행동과 기만작전을 실시하여 적의 공격을 지연시킴으로써 최소의 공간을 허용하면서 최대의 시간을 획득하여 차후작전의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지연전은 방어작전시 주방어지역에서 방어의 지속성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에 실시되며, 적을 유인 격멸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지연전은 적이 공격을 중단하거나 지연부대가 임무를 완료하고 신방어지역을 통과했을 때 종료된다. 지연전의 수행방법에는 축차진지상에서의 지연전, 교대진지상에서의 지연전, 혼용 방법 등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축차진지상에서의 지연전은 가용 병력의 부족으로 2개이상의 지연진지를 동시에 점령할 수 없을 때, 수개의 지연진지를 축차적으로 점령하면서 지연전을 실시하는 것으로, 통제가 용이하나 종심이 제한되며 차후진지를 점령할 시간이 부족하게 될 경우 바로 돌파당하게 되므로 교대진지상에서의 지연전보다 적에게 돌파당하기 쉽다. 교대진지상에서의 지연전은 부대가 2개의 지연진지를 동시에 점령한 후 상호 엄호하에 교대로 차후진지를 점령하면서 지연전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양호한 경계를 제공받을 수 있고, 차후진지를 점령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용이하지만, 후방초월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초월부대와 피초월부대간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며 축차진지상의 지연전에 비해 많은 병력을 필요로 한다. 혼용방법은 이상의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하는 것으로, 가용 병력의 증감 등의 상황변화에 따라 하나의 방법으로부터 다른 방법으로 전환하거나, 축선별로 각각 상이한 방법을 적용하면서 지연전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지연기간을 결정할 때는 시간지대선을 참조하여 각 지연진지에서의 지연기간을 판단하고 임무, 진지강도, 상대적 전투력, 시간과 공간, 적전술 등을 고려하여 지연기간을 조정하며, 최종적으로 워게임 과정에서 최종 지연기간을 결정한다. 지연전은 작전지역별로 그 수행 양상이 달라지게 되는데, 적지 종심지역에서는 다양한 적지종심작전 부대를 운용하여 첩보를 수집하고 화력을 유도하며, 적 종심 깊숙한 곳의 지휘통제 및 통신시설을 타격하여 적을 교란하고 공격기세를 약화시킨다. 근접지역에서는 가급적 근접전투는 회피하고 원거리 사격과 종심깊은 장애물 운용으로 적의 조기전개를 강요, 지연하며 특정지역으로 적을 유인하여 화력으로 제압한다. 또한 이를 위하여 소규모 기동예비대에 의한 반복적인 공세행동을 가할 필요가 있다. 후방지역에서는 애로, 도하지점 등의 주요 지형을 선점하여 적 침투부대에 의한 점령 및 차단을 거부하고 철수로를 확보한다.

1582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원함   Support Ship     해상에서 장기간 작전하는 전투함을 지원하거나 구난임무 등을 행하는 함정을 가리킨다. 유류와 탄약, 식수 및 기타 군수물자를 지원하는 함정과 사고함정을 구조하고 수리하는 함정, 적함이나 해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함정 및 기타 특수임무 함정 등, 지원함의 범주에는 매우 다양한 용도의 함정이 포함된다. 한국군에서 운용하는 지원함으로는 군수 지원함인 천지급, 잠수함 구난함인 청해진급 및 창원급, 견인 및 수상구난 임무를 행하는 평택급 등이 있다.

1582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형추적 레이더  Terrain Following Radar   항공기에 탑재되어 저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를 안전하게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전방 지형을 디스플레이에 시현하거나, 신호를 통하여 저공에서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면서 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레이더를 가리킨다. 항공기가 저공에서 안정적인 순항비행 및 지형추적비행을 행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장비이다.

1582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형추적비행      Terrain Following Fly       항공기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면서 지형의 굴곡에 맞추어 따라 비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서는 지형추적레이더가 필수적이다. 폭격임무를 위해 저공으로 침투해야 하는 항공기들의 경우에는 지형추적비행능력을 갖추고 있는 쪽이 훨씬 높은 안전성을 보장해 준다

1582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휘관   Commander       지휘권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관직 또는 그러한 일을 행하는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칭호이다. 지휘관은 부대 지휘의 핵심으로서 부대임무 수행상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모든 책임이 부여되어 있으며, 이러한 책임을 효율적으로 완수하기 위하여 법률과 규정에 의하여 합법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지휘관에게는 그 주요 기능인 결심의 수립을 위하여 제반 상황에 대한 신속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상황파악 능력과 임무부여 및 임무수행의 성공을 위한 전투력 할당능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리능력 및 부대의 모든 능력을 부대목표에 집중시키기 위한 지휘통솔력 등이 필요하다.

1583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휘소   Command Post   지휘관이 지휘 및 통제를 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휘 및 통제시설로서, 지휘관과 참모가 작전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의 본부이다. 지휘소는 부대유지를 위한 요구와 전투지시에 관계되는 사항을 분류 정리하는 기능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주지휘소, 후방 지휘소, 예비지휘소의 3개 지휘소가 설치된다. 주지휘소(Main Command Post)는 작전의 계획 및 준비와 부대의 지휘, 통제 및 통신 기능의 유지 그리고 정보 및 첩보의 수집, 통합업무를 수행하는 부대의 주 본부로서, 참모부는 현행 및 장차에 필요한 계획을 발전시키고 전투지원과 전투근무지원사항을 획득하고 협조시키는 일을 행한다. 주지휘소는 통상 적의 경포 사거리 밖에 위치한다. 또한 근접작전수행의 지휘 등, 필요가 생길 경우에는 주지휘소의 연장으로서 주요 전투지역까지 추진하여 설치되는 전술지휘소를 설치한다. 후방지휘소(Rear Command Post)는 전술부대의 부대유지에 관계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지휘소로서 전투 및 전투지원 작전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전투근무지원 활동을 지휘, 통제 및 협조시키기 위한 시설이며 여기에는 전투근무지원 운용본부가 설치되어 운용된다. 또한 후방지역작전을 지휘 및 통제한다. 예비지휘소(Reserve Command Post)는 주지휘소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이동간의 작전지휘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휘시설로서, 주지휘소가 복구될 때까지 주지휘소의 임무 및 기능을 대행한다. 지휘소는 생존성과 전투효율성간의 적절한 균형유지를 할 수 있도록 운용되어야 하며, 그 위치선정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자 갖추어야 할 요소로는 예하부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의 용이성, 인접부대 및 지원부대에 이르는 양호한 통로, 모든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최소한의 시설공사, 적절한 소산과 은폐 및 엄폐의 용이성, 통신시설 설치와 운용의 적합성, 경계 및 방어의 용이성, 배수상태의 양호성 및 지반의 견고한 정도, 적절한 진입로와 주차장, 회전익항공기 착륙장 및 이에 이르는 통로 등이 있다.

1583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지휘소연습                   각급제대의 지휘관 및 참모의 지휘본부와 통신요원 등을 훈련시키기 위한 연습으로 가상상황하에서 통신을 유지하면서 지휘소이동 및 운용, 지휘 및 참모절차연습, 작전계획 및 작전예규의 적용, 각종 상황하에서의 지휘 및 통제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연습이다. 한국군에서는 을지포커스렌즈 훈련의 일부분으로 행해지며, 압록강연습으로 통칭된다.(2005년부터 태극훈련으로 개칭예정)

1583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진내사격           Fires within the Position  방어사격의 한 형태로서 돌파의 제한 또는 역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투진지 내에 행해지는 사격을 가리킨다. 적의 공격에 전투지역 전단의 일부를 돌파당하고 불가피하게 적의 돌격을 저지하기 곤란한 상황에서 실시되며, 포격을 견디어 낼 만한 엄체호를 사전에 구축하고 진내사격에 대비한 우군 요원의 안전대책을 강구한 후에 진내사격을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583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진지     Position 전투부대가 공격이나 방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축해 놓은 지역을 가리킨다. 그 구축목적과 강도 등에 따라서 영구진지와 야전진지로 나누어진다. 야전에서 공격작전을 수행할 때의 전진거점으로 구축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방어작전에서 방어의 거점으로 유용하게 쓰인다.

1583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질식작용제        Chohing Agent   노출된 인원의 코, , 폐 등의 호흡기를 손상시키는 화학무기의 한 종류이다. 옥수수 냄새나 갓 베어낸 풀 냄새가 나며, 노출되었을 경우 두통, 구토, 가슴압박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점막이 부으면서 폐가 물로 가득 차게 되어 폐수종으로 사망하게 된다. 질식 작용제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것은 염소 가스이나, 염소가스는 현재 군사용 화학작용제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외에 제 1차 세계대전 중에 등장하여 작용제 희생자 중 8할 정도를 발생시킨 포스겐(CG), 높은 비점으로 탄에 충전이 용이한 디포스겐(DP), 극소량으로도 무능화를 초래하는 PFIB 등이 있다. 포스겐은 폐에만 작용하여 폐의 모세혈관에 손상을 초래하며, 디포스겐 역시 체내에서 포스겐으로 변환되므로 작용은 포스겐과 동일하다. 질식 작용제에 노출되었을 경우의 응급 처치로는 체온 유지와 신선한 공기의 호흡, 따뜻한 물의 섭취와 인공호흡 및 후송 등이 있다

1583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집단군   Army Group      수 개의 야전군이 모여 만들어지는 편제단위이다. 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유럽 대륙에서도 수 개의 집단군이 운용되었으나, 운용 및 유지를 위해서는 매우 많은 병력자원과 그를 뒷받침할 만한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집단군 개념의 군대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 정도이다. 한국 육군 역시 야전군이 육군 편제의 최고단위로, 집단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1583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집단안전보장      Collective Security          여러 나라의 협력을 통하여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안전보장 방식의 한 가지. 다수의 국가가 조약을 맺어 가맹국간의 상호 불가침을 약속하여 전쟁 및 기타의 무력행사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하고 타 가맹국에 무력행사를 통하여 침략을 행하는 국가가 있을 경우에는 다른 모든 가맹국이 이 침략행위를 저지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유엔헌장에 규정된 집단적 자위권을 근거로 만들어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 바르샤바조약기구와 같은 군사동맹도 집단안전보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나, 이는 군사동맹국가의 외부에 가상적국을 설정해 둔다는 점에서 조약국 내부의 침략적 행위 억제를 목적으로 운용되는 집단안전보장과는 본질적인 면에서 다르다.

1583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집단적 자위권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자국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타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에 그것이 동시에 자국에 대한 위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항하여 공동으로 방위행동을 취할 수 있는 권리를 가리킨다. 유엔헌장 제51조에 의하여 인정된 권리로서 국제연합헌장은 기본적으로 무력에 의한 위협이나 무력의 행사를 금지하고 있으나, 그 예외로 헌장의 51조에서 무력공격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개별적 또는 집단적 자위의 고유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이는 헌장의 원안에는 없다가 1945년의 샌프란시스코회의에서 추가되었는데, 이후 이를 근거로 하여 수많은 상호원조조약 및 군사동맹조약 등이 각국 사이에 체결되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 바르샤바조약기구도 이를 근거로 조직되었으며, 한미상호방위조약이나 미일안전보장조약 역시 이를 근거로 하고 있다. 본래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는 반드시 미리 조약이나 협정에 의해 약속되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는 것은 아니며, 조약상의 근거가 없어도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인정된다. 그러나 규정으로 명문화된 집단적 자위권은 군사동맹의 형성을 뒷받침하는 법리적인 기초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는 본래 국제연합에서 구상했던 집단그러나 국제연합헌장 제51조 규정의 성립경과나 그 뒤의 실행에서 알 수 있듯이 집단적 자위권은 오히려 군사동맹그룹을 형성하는 법리적(法理的) 기초로서의 기능을 해왔다. 결과적으로 명문화된 집단적 자위권 규정이 가지게 된 이러한 기능은 본래 국제연합헌장이 구상한 집단안전보장을 통한 평화유지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1583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징발     Requisition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 하에서 군사작선상 필요로 하는 토지, 물자와 시설 및 권리에 대하여 정상적인 동원으로는 군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 국가 권력으로 국민의 재산에 대한 사용 동의를 받거나 또는 수용하는 것을 말하며, 사후에 적법한 절차에 의거 반드시 보상하여야 한다. 관련 근거는 징발법(법률 제5454, 97. 12. 13)과 징발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7052, 00. 12. 29)이며, 징발관은 징발법 제3조에 의거하여 기본적으로 계엄사령관이나, 징발관은 그 권한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로서 장관급 지휘관(여단장 이상) 또는 군단급 이상 부대의 독립작전을 수행하는 영관급 이상 지휘관에게 위임 가능하다. 징발 집행관은 징발법 제4조에 의거하여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시장 및 군수, 경찰서장이 맡게 되나, 군 작전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징발관이 지정하는 현역장교로 갈음할 수 있다. 징발 목적물은 징발벚 제 5조에 규정된 동산, 부동산 및 권리이며, 징발 목적물의 종물은 목적물과 함께 징발 가능하다. 징발물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는 징발법 제 19, 20조 및 징발법시행령 제11, 13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보상금액은 농지의 경우 농업소득세 과세표준액 X 보상료율, 기타 토지의 경우 종합토시세 과세표준액 X 보상료율, 건물은 등록세 과세표준액 X 보상료율이며, 기타 과세표준이 없는 것에 대하여는 그 시가액을, 동산의 사용료 및 멸실 대가는 취득세 과세표준액을, 사용료는 당해연도 가세표준을, 기타 보상은 징발해제 당시의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보상한다. 보상료율은 징발법 제 24조에 의거하여 15인 이내로 구성된 국방부 징발보상심의회에서 사정한다.

1583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징집     Conion  국가가 병역의무자에 대하여 현역에 복무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지방병무청장은 징병검사 결과 현역병 입영 대상자로 분류된 자에 대하여 시, , 구별로 징집순서를 정하며, 그 기준은 신체등위, 학력, 연령 등을 고려하여 병무청장이 정한다. 지방병무청장은 징병검사의 결과에 따라서 현역병 징집순서가 결정된 자에 대해서는 징병검사를 받은 해, 또는 그 다음해에 입영하게 한다. 징집 및 징병제도는 국민개병제의 관점에 입각하여 시행되고 있다.

1584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차량화부대        Motorized Unit   일반적으로 서방식의 분류에서는 운송용의 차량을 이동수단으로 삼아 기동성을 높인 보병을 가리킨다. 기갑부대를 이용한 작전시, 기갑부대만이 전진해서는 고립되거나 포위되기 쉽기 때문에 기갑부대의 돌파 후 즉시 후속 보병부대가 전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보병들이 기갑부대의 전진을 따라갈 만한 이동속도와 기동성을 갖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도보행군으로는 기갑부대의 전진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이동속도와 기동성의 확보를 위해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처음으로 대규모 실전에 적용되었던 전격전의 수행 과정에서 차량화 보병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기계화보병의 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현대 육군의 보병 운용에 있어서도 보병부대의 신속한 전개와 작전수행 및 기갑부대와의 원활한 협조를 위해서는 보병의 차량화 및 기계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구 소련식의 분류에서 차량화보병으로 지칭하는 것은 서방식 분류로는 기계화보병으로, 구소련의 차량화보병부대는 운송용 차량이 아니라 BMP계열의 장갑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1584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차장     Screen   이동중이거나 정지하고 있는 부대의 전방, 측방 혹은 후방에 대한 감시를 유지하기 위해 관측, 보고 및 적과의 접촉유지를 통해서 그 부대에 조기경고를 제공하는 경계임무를 가리킨다. 차장임무는 두개의 부대가 평행 축선을 따라 전진하면서 그 사이에 간격이 예상될 때나 한 부대가 망라해야할 거리가 방호 역할로 운용하기에는 너무 커서 비효과적일 때 부여되며, 차장부대의 임무는 적시에 적 접근을 경고하는 것과 적과의 접촉획득을 유지(육안접촉)하고 적 이동을 보고하며, 적의 척후를 격멸 또는 격퇴하고 장거리 편성 및 지원사격의 도움을 받아 적의 전진을 방해하는 것이 있다. 차장의 일반선과 차장임무를 맡을 부대 및 차장부대와 피차장부대간의 지역책임은 피차장부대의 지휘관이 결정한다. 차장은 방어시 저항방법의 일부로서 관측소, 정찰대 등을 운용하여 적의 접근을 경고하고 능력 범위내에서 와해, 격멸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1584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참모     Staff     군대에서 지휘관의 임무수행과 지휘권행사를 보좌하기 위해 임명된 장교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대대급 이상의 부대에는 참모의 업무를 행하는 장교가 보임되어 있으나, 참모의 명칭이 붙는 것은 사단규모 이상의 사령부에서부터이며, 연대규모 이하의 부대에서는 담당업무 뒤에 장교를 붙이는 형식(:인사장교)으로 칭한다. 참모를 두는 이유는 대규모 조직에 있어 한 사람의 책임자가 모든 분야에 걸쳐 전문적 지식을 충분히 구비할 수 없으며 시간적으로도 모든 업무를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휘관의 업무를 보좌하기 위한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참모는 지휘관의 결심을 돕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건의를 하며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실천단계에 있어서는 명령권을 가진 지휘관의 명의로 발언하고 명령을 하달하며 그 실행을 감독하기도 하지만, 부대에 대하여 독단적인 명령을 내리거나 지휘를 행할 권한은 없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보좌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 현재 한국군의 경우 참모의 구성 및 그 조직은 미군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크게 일반참모(인사, 정보, 작전, 군사, 민사 등을 담당), 전문, 기술분야의 특별참모(화학, 공병, 병기, 병참, 통신, 수송, 항공, 헌병 등을 담당), 지휘관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는 개인참모, 지휘관 대리자의 자격으로 타 부대에 대한 연락임무를 수행하는 연락장교 등이 있다.

1584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찹스틱16계획                한국전쟁기간 중인 1952년에 수립되었던 제한된 공격계획 중 한 가지. 지속적인 대치상태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내는 군대가 가지는 위험성을 고려한 밴플리트 장군에 의해서 Chopstick 6 계획과 함께 1952 4월에 계획되었다. 기본 계획은 한국군 제 1군단으로 고성까지 진격한다는 것이었는데, 미군은 작전에 투입시키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승인되었으나, 4 28일 판문점 회담이 재개되면서 적에게 자극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이유로 무기한 연기되었다.

1584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찹스틱6계획                 한국전쟁기간 중인 1952년에 수립되었던 제한된 공격계획 중 한 가지. 지속적인 대치상태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내는 군대가 가지는 위험성을 고려한 밴플리트 장군에 의해서 Chopstick 16 계획과 함께 1952 4월에 계획되었다. 증강된 한국군 1개 사단으로 미 제9군단 정면에서 평강까지 진격함으로써 미 제9군단의 전선을 현상태에서 금화 - 평강 선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었으나, 당시 UN군의 사령관을 맡고 있던 리지웨이 장군에 의해 기각되었다

1584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창정비   Depot Maintenance DM   정비계단의 최상위 단계로, 완전 분해수리나 재생을 포함하여 장비에 관련된 모든 수리 및 정비를 행할 수 있는 단계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야전정비부대의 정비능력을 초과하는 사용불가 장비 및 수리부속품을 정비하고, 분해수리나 재생이 요구되는 장비 및 수리부속품에 대하여 특수 정비시설과 정비용 장비 및 공구를 이용하여 창정비 기준에 이거하여 분해, 검사, 수리, 재생, 개조 등의 정비를 실시하며, 순환정비 대상장비를 재생하는 일을 수행한다. 정비의 성격상 여타의 하위 정비계단에서 수행하는 정비에 비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관련 관리규정에는 국방부 및 각군, 기관은 창정비 업무관련 행정요소를 최소화하여 정비체류기간을 줄이고, 이를 통하여 전투력 공백 발생의 억제를 추구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1584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채프                레이더 교란, 혹은 지상 추적국의 편의를 위해 항공기나 우주선이 살포하는 금속 조각. 2차대전 당시 독일군의 레이더망을 교란할 목적으로 영국공군이 사용한 윈도우가 최초의 사용례이다.(독일군에서도 같은 장비가 이미 개발은 되어 있었으나 사용하지 않았다.) 보통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최초로 사용된 윈도우역시 알루미늄 호일을 그 재료로 하고 있다. 현재는 주로 항공기가 레이더 유도 공대공, 지대공 미사일을 회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1584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철갑소이탄        Armor-Piercing Incendiary 철갑탄과 소이탄을 합쳐 놓은 탄자를 가리킨다. 철갑탄과 같이 관통자가 탄자 안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 주변을 소이제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소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탄자 앞부분에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목표 내부를 불태우기 위해서 이용되는데, 관통자의 위력으로 탄자가 목표를 관통하면 그 직후 소이제가 작용하여 목표 내부를 불태우게 된다. 관통자로는 일반적으로 강철이나 텅스텐, 열화우라늄 등이 쓰이는데, 열화우라늄을 관통자로 사용한 탄자는 명중시 부스러진 우라늄 관통자의 조각이 연소되며 목표 내부를 불태우기 때문에 특별한 소이 작용제 없이 그 자체로 철갑소이탄과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1584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철수     Withdrawal        전개하여 적과 접촉하고 있는 부대의 전부 혹은 일부가 접촉하고 있는 적으로부터 이탈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철수는 주간 혹은 야음을 틈타 실시되며 전선조정, 부대 재배치 등 차후작전을 위해 실시하는 자발적인 철수와 적에 압력에 의하여 실시하는 강요에 의한 철수로 나뉘어진다. 자발적인 철수를 행할 때는 적에게 철수의 속도 및 철수기도의 은폐가 중요한 성공요소로 작용하며, 철수하는 주력부대의 후방 이동을 엄호하기 위하여 잔류접촉 분견대를 운용한다. 후방에 위치한 부대, 주력부대와 지휘통제시설, 잔류접촉 분견대의 순서로 철수를 행하며, 마지막으로 철수를 행하는 잔류접촉 분견대는 상급부대 및 자체 엄호하에 철수한다. 또한 철수하는 동안에는 적의 공격에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강요에 의한 철수에 대한 계획을 동시에 발전시켜 우발상황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강요에 의한 철수를 행하게 될 때는 화력, 기동성, 통제 및 엄호부대의 효과적 운용 등에 그 성공여부가 걸려 있으며, 적과 접촉중인 전방부대부터 후방부대의 엄호하에 철수하기 시작하여 후방부대는 그 부대의 후방에 위치한 부대의 엄호하에 철수하는 형태로 연속적인 철수를 이루어 적과의 접촉을 단절한다. 다만, 상급부대에서 엄호부대를 따로 운용할 경우에는 자체적인 엄호부대를 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방부대는 전투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엄호부대는 전방부대의 철수를 엄호하면서 적에게 최대한의 피해를 강요하여 적을 약화시켜야 한다. 최종적인 엄호부대의 철수는 먼저 철수한 부대의 엄호 아래에서 실시한다. 철수는 적과의 접촉을 단절하고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행군종대가 형성된 시점에서 종료된다.

1584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철퇴                철퇴는 적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투를 회피하기 위하여 부대가 전방으로부터 아군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전으로 철수에 후속하여 실시하거나, 별도로 실시할 수도 있다. 비선형전이 이루어지는 상황이거나 적이 배합전 개념을 적용할 경우 대량의 적 침투부대가 준동할 것이므로, 철퇴부대는 이동하는 사이 적의 위협에 대비하여 적절한 경계대책과 자체 방호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며, 필요시 전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투편성을 해 두어야 한다.  철퇴는 작전개시시간에 철수가 적과 접촉상태인데 비하여 철퇴는 접촉이 단절된 상태이며, 대형면에서 철수는 행군종대가 형성되기 이전 상태이며, 철퇴는 행군종대가 형성될 때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철수와 구분되며, 철퇴는 적의 위협을 고려하여 경계대책을 강구한 상태에서의 전술적 이동인데 비해 행정적 이동은 적의 위협을 고려하지 않은 이동이고 철퇴의 방향은 전방에서 아군 후방이나 행정적 이동은 이동 방향과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행정적 이동과도 구분된다.

1585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청일전쟁                     1894년에서 1895년 사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을 가리킨다. 1894년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정부는 청군에 원병을 요청하였는데, 이에 응하여 청군이 조선에 진입하자 텐진조약을 빌미로 일본군도 조선에 병력을 파견하였다. 갑오농민전쟁이 종결되자 조선정부는 양국 군대에 철수를 요구하였으나 일본은 이에 불응하고 7 23일에 쿠데타를 일으켜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한 뒤 흥선대원군을 앞세운 친일정권을 수립하고 7 25일 청군을 공격하여 전쟁이 시작되었다. 당일 풍도(豊島) 앞바다의 해전과 동월 29일의 지상전인 성환(成歡) 전투에서 승리한 일본군은 정식으로 개전된 8 1일 이후 연속적인 승리를 거두어 9 15일에는 평양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동월 17일의 황해해전에서 청나라 북양함대의 주력을 격파한 뒤 10 24일 압록강을 넘어 중국 영토로 진입하여 진저우성(錦州城)을 함락시킨 데 이어 11 22일 뤼순(旅順)을 점령하였다. 한편 평양전투를 전후하여 급격히 강해진 조선에 대한 일본의 내정간섭과 조선에 대한 전쟁물자 수탈 등에 저항하여 동학 농민군은 10월에 대규모 전면 봉기를 계획하기 시작하여 11월에 공주를 공격하였으나, 남하한 일본군과 그에 협력한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12월의 우금치 전투에서 치명적인 패배를 당하고 와해되었다. 연전연패하던 청은 1895 3월 이홍장(李鴻章)을 강화 전권대사로 파견하여 동월 30일에 휴전이 이루어졌으며, 4 17일 시모노세키(下關) 조약에 양국이 조인하여 전쟁이 종료되었다. 이 전쟁의 결과로 일본은 청국이 조선에서 손을 떼게 하였고 랴오둥()반도와 타이완(臺灣), 펑후(澎湖)섬의 할양, 4개 도시 개항, 2억 냥의 배상금, 타 열강과 동일한 특권을 인정하는 통상조약의 체결 등을 얻어내었으나 이후 일본을 견제하려는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3국 간섭에 굴복하여 랴오둥 반도는 청에 반환하였다. 이 전쟁으로 인하여 일본은 대외적 위상을 높였고 일본자본주의가 전쟁수요 및 타국으로부터의 수탈을 바탕으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중국은 열강의 분할대상으로 전락하였으며 조선은 자주적 개혁이 좌절되면서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의 수탈대상으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1585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초 월               전방부대가 적과 접촉하고 있는 선을 넘어서는 위치에 접촉중인 아군부대를 통과하여 한 부대를 투입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는 공격기세를 유지하고자 하거나 적 진지에 발견된 약점을 확대하기 위해 실시되며, 세심한 계획수립과 부대간의 밀접한 협조가 필요하다. 초월을 위한 계획수립에 고려해야 할 요소로는 초월이 실시될 장소를 결정할 기동계획, 초월지역 및 그에 이르는 통로나 부대위치, 전개 예상 진지 등의 안내지침을 사전 제공하기 위한 정찰, 초월부대를 위한 화력지원, 혼선을 막기 위한 통로 및 지역 사용의 우선권 설정, 세밀한 이동지침 설정, 통제방책의 설정 등이 있다. 성공적인 초월 수행을 위해서는 연락 및 협동이 매우 중요하다. 상호연락을 위해서 작전이 결정됨과 동시에 초월 및 피초월부대 사이에 연락망을 설치해 두어야 하며, 피초월부대는 일반적으로 초월지원의 임무를 부여받게 되므로 초월부대와의 면밀한 협조를 통해 작전의 수행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혼선을 막기 위하여 공격책임이 초월부대장에게 이양되는 시간 및 여건은 초월부대와 피초월부대의 양측 지휘관 사이에 반드시 미리 상호간 협조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월부대장은 공격책임을 초월시 또는 초월 직전에 이양받게 된다. 또한 공격준비사격을 행하는 시기나 또는 초월을 명령하는 사령부의 지시에 앞서 전환될 수도 있다.

1585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초계     Patrol    우군 전력을 보호하기 위한 경비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항공기나 함정의 경비임무를 지칭한다. 담당구역을 순회하면서 초계수단을 사용하여 이상징후 및 특이사항의 여부를 감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585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초기 핵방사선    Initial Radiation  핵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선의 한 종류로, 폭발 즉시(1분 이내) 방출되는 방사선을 가리킨다. 폭발하는 순간에 화구에서 방출되는 중성자와 감마선 및 폭발 후 상승하는 구름과 화구에서 방출되는 알파, 베타, 감마선을 포함한다. 이 중 알파선과 베타선은 살상력이 거의 없으나, 감마선과 중성자선은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미친다. 상승하는 원자구름이 지상 유효방사 거리 내에서 벗어나면서 영향이 소멸하게 되며, 초기핵 방사선에 의한 총 피해는 핵폭발에 의해 일어나는 전체 피해의 약 5%를 차지한다.

1585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초수평선레이더   Over the Horizon Rader OHR       대공 및 해면탐색을 위한 레이더로서, 기존의 레이더 수평선을 넘어 탐지와 추적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방식의 레이더를 가리킨다. 운용 방식에 따라서 전자파의 전리층 반사원리를 이용하는 것(OTH-B)과 지표파를 이용하여 HF(3-30MHz)대역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분류된다. 전리층 반사레이더의 경우 탐지거리는 수천km이상으로 매우 길지만, 그 반면 가까운 지역에 대해서는 보지 못하며 전리층의 조건과 먼 거리에 의한 낮은 분해능이 제약으로 작용한다. 지표파는 수직편파 신호가 도체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원리를 이용하므로, 탐지거리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2MHz에서는 500NM( 930km), 10MHz에서는 100NM( 186km)정도가 대표적인 값이다. 스텔스 물체의 탐지 및 인접국의 해상 및 공중활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지상 또는 함상에 설치 운용되며 모노스태틱 또는 바이스태틱 방식으로 운용된다. 개발 및 실전배치 국가로는 미국, 영국, 호주,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이 있다.

1585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초수평선상륙작전 Over the Horizon landing Operation           수평선 너머(해안 10km이상 거리)에서 해안 교두보까지 바로 상륙하는 형태의 상륙작전을 가리킨다. 해안가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바로 상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륙병력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초수평선상륙작전의 수행을 위해서는 LCAC와 같은 대형 공기부양정 및 이를 수송할 수 있으며 동시에 헬기나 수직이착륙기를 사용하여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형 상륙함이 필수적이다. 한국군은 아직 초수평선상륙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나, 초수평선상륙작전 능력을 지닌 미군과의 연계를 위해 초수평선상륙작전 능력의 획득을 목표로 현재 한국형 대형 상륙함 LPX 건조계획을 추진중이며, 이에 발맞추어 LCAC 면허생산 계획을 가지고 있다.

1585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촌단공격           Multiple Counter-Attack Operation           적의 전차 및 기계화부대에 의한 전격전에 대응하는 전술개념으로 방어시 공세행동의 한 형태. 전차 및 기계화 위주의 종심 기동부대가 아군의 주방어지역을 돌파하여 계속 종심지역으로 전진하였을 때 옆이나 뒤쪽으로 기동하여 적 공격제대의 간격이나 부대간격 즉, 선두 전차집단과 후방 전차집단 사이, 혹은 전방의 전차집단과 전차집단이 만든 돌파구로 따라오는 후미의 기계화보병 사이 등을 절단함으로써 적의 조직적인 공격능력을 분쇄하여 공격기세를 약화시키고, 적 부대의 균형을 와해, 마비, 격멸시키는 행동을 가리킨다

1585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총력전   Total War          국가 각 분야의 총체적인 힘을 기울여 수행하는 전쟁을 가리킨다. 이는 군사적인 무력만의 동원에 그치지 않고 국가 총동원의 구호 아래 국민 전체를 병역 및 군사업무 수행의 대상자로 하며, 모든 재화 및 자원을 비롯한 국력을 전쟁에 투입하는 것을 말한다. 총력전의 대표적인 예로는 20세기의 양차 세계대전을 들 수 있으며, 현재는 핵무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양차 세계대전 시기와 같은 총력전이 이루어지는 일은 벌어지기 어려워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1585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총류탄   Rifle Grenade     총류탄 발사기라 불리는 특수한 발사장치를 장비한 총으로 발사되는 유탄이나 소형 폭탄을 가리킨다. 발사기로는 내장식과 외장식이 있으며, 추진체로는 총류탄 발사용으로 만들어진 발사약통을 사용하는데 이는 탄두 없이 탄피에 장약만을 재어 놓으로, 일종의 공포탄으로, 총류탄은 발사약통이 격발될 때 일어나는 장약의 폭발에서 발생한 가스압으로 추진력을 얻는다. 총류탄에는 일반적인 대인용 유탄 외에도 대전차 고폭탄, 백린 연막탄, 유색 연막 총류탄 등이 있다.

1585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총톤수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용적톤수와 중량톤수로 나뉜다. 용적톤수는 부피로 나타내며, 배에 적재할 수 있는 술통 수로 선박의 크기를 표시하던 중세유럽의 제도가 그 기원이다. 세제곱미터, 혹은 세제곱피트를 단위로 사용하며, 선박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진다. 중량톤수는 무게로 나타내며 배수량이라고도 한다. 선박 자체 중량인 경하배수량과 화물을 실은 상태의 만재배수량으로 나뉘는데, 같은 용적톤수를 가진 선박일지라도 실린 화물의 무게에 따라 만재배수량은 바뀔 수 있다. 군용선박의 경우 중량톤수를 표준으로 사용하며, 이 경우 인원, 물자등이 최대한 갖춰진 상태의 만재배수량을 기준으로 삼으며, 이를 상비배수량이라 한다.

1586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최종상태           End State         군사작전의 수행 결과 조성해야 할 피아의 상태를 가리킨다. 국가가 군사작전의 수행을 위하여 군대를 투입할 때에는 국가가 달성하기 원하는 군사적 최종상태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이해해야만 한다. 군사적 최종상태란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달성되어야 할 상태로서, 그것이 달성되었을 때 전략목표가 달성되는 필수조건 또는 궁극적인 전략적 최종상태의 달성을 위해 군사적 수단이 아닌 다른 국력 수단에 주노력을 전환할 수 있는 필수조건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작전사령관이 그 전역을 통해 달성하기를 원하는 것을 군사적 최종상태라 하기도 한다. 어떤 의미이든 군사적 최종상태를 통해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요망되는 최종상태를 설정한 다음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계획해야 하며, 이렇게 최종상태를 결정하고 그것이 국가목표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작전적 계획수립절차에서 필수적인 첫 단계이다. 이것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군사적으로 승리하더라도 전략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그 결과로 자원을 낭비하게 될 뿐 아니라 다른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위험성이 있다.

1586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추격     Pursuit  전장에서 퇴각하여 도주하는 적 부대를 격멸하여 결정적인 승리로 전투를 종결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격작전의 한 형태를 가리킨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과확대에 이어서 실시되며, 어떤 때라도 적의 도주 징후가 나타나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추격태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추격을 실행하는 목적은 방어능력을 상실하고 도주를 시도하는 적 부대를 직접 압박하여 재편성을 막고 그 퇴로를 차단하여 적 주력을 격멸하는 데 있다. 추격은 적이 완전히 와해되거나 포위되었을 때 종료되며, 적이 재편성을 완료하였거나 적의 증원부대가 도착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추격을 중지하고 새로운 작전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1586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충격파   Shock Wave       공기를 비롯한 유체에 급격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음속 이상의 속도로 유체 속으로 전달되는 강력한 압력 변화를 가리킨다. 압력, 밀도, 온도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며, 폭탄 및 폭발물의 공중, 수중 및 지하 폭발로 인하여 고열가스의 팽창이 생겨나거나 탄환이나 항공기 등의 비행체가 음속 이상으로 대기중을 지나가는 것 등이 충격파의 발생 원인에 속한다. 폭탄의 폭발에 의한 충격파의 경우 그 위력에 비례하여 충격파의 위력이 증가하며, 세열폭탄과 같은 인마살상용의 특수한 폭탄을 제외한 일반적 폭탄(원자폭탄 및 수소폭탄 포함)의 폭발에 의한 인명사상 및 구조물 파괴는 충격파에 의한 폭풍효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1586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충무계획           Chung-Mu Plan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시에 국가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평시에 준비하는 범국가적인 비상대비 계획을 말한다. 동원계획의 기초가 되며 정부 자원관리 주관부처별로 소관자원의 운영과 기능수행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충무계획을 시행하는 목적은 국가비상시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전시 정부기능을 유지하며 국가자원의 신속한 동원을 보장하고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있다. 종합훈련은 비상기획위원회의 주관으로 매년 2~3개 시도에서 15개 종목 정도로 훈련을 실시하며, 자체연습은 각 기관장 책임 아래 을지연습의 문제점을 보완, 검토하는 위주로 시행된다.

1586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측거의   Range Finder     광학 원리를 응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계. 측거기(測距器)라고도 한다. 이전에는 삼각측량의 원리를 이용하는 거리계가 주로 쓰였다. 광파 측거의, 전파 측거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대상지점에 놓은 반사경까지 레이저 광선을 왕복시켜서 그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레이저 측거의가 개발되었다.

1586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치장     Store    장비 및 물자의 사용통제와 치장방침에 의거 평시 운영량(운용수준) 초과분, 인가초과분 및 전시긴요물자, 장비 등에 대한 사용을 엄격하게 완전 통제함으로써 전시 소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가리킨다.

1586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치중대   Train     전투부대에 각종 군수지원을 제공하는 제반 전투근무지원 부대의 집단을 가리킨다. 이는 지상부대에 의한 보급, 후송 및 근무를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운영요원으로 구성되는데, 치중대에는 각종 분배소, 수집소, 취사장, 정비반, 차량반 및 수용소, 급수장, 통신, 총포 및 차량정비반, 후송반, 영현반과 지원배속 부대 및 예하대(隷下隊)의 일부 치중대가 치중대 부근에서 운용되며, 이는 근접 전투근무지원의 역할을 맡는 전투 치중대와 후방지역에서 전투부대의 작전소요를 획득 및 보급하고, 전투에 당장 소요되지 않는 기타의 보급품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 야전 치중대로 구분되어 있다.

1586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침략     Aggression        정당한 이유 없이 타국의 주권, 영토보존, 정치적 독립에 대한 침해를 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외부로부터의 무력행사를 통한 경우에는 직접침략이라 하며, 이를 동원하지 않는 경우를 간접침략이라 한다. 1974 12월의 국제연합 총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어 채택된 침략의 정의에 따르면 침략은 타국의 주권, 영토보전,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 행사를 통한 침해, 또는 국제연합 헌장과 상충되는 다른 어떤 방법으로 행동하는 무력행사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직접침략의 개념을 설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규정된 침략의 구체적인 예로는 무력을 사용한 타국 침입이나 공격 또는 군사적 점령 이나 영토병합, 타국 영토에 대한 폭격 또는 무기사용, 타국의 항구나 연안의 봉쇄, 타국의 군대 또는 선박 및 항공기에 대한 공격, 3국에 대한 침략행위를 위한 자국영역 사용의 허가, 무력행사를 실행할 수 있는 무장집단의 파견 및 그러한 행위에 대한 실질적 관여 등을 들고 있다. 현재는 직접적으로 외부로부터의 무력을 동원하지 않는 형태의 침략, 즉 간접침략에 의한 문제가 커지고 있다. 간접침략의 예로는 문화적, 경제적 침투와 타국의 반체제 집단에 대한 군사원조 및 정부전복 촉진행위 등을 들 수 있다

1586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침투기동           infiltration movement      공격부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 방어 진지의 간격 또는 상공을 통과하여 적이 예상하지 못하거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기동로를 따라 적과의 직접적인 교전 없이, 또는 최소한의 교전으로 적의 후방을 공격하는 기동형태를 가리킨다. 이는 적 후방지역의 교란, 증원 및 퇴로차단, 주요시설 타격, 중요지형 확보 등을 통해 적의 방어조직을 와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침투부대 자신이 주공으로 결정적인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지만, 타 기동형태를 지원하기 위해 실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침투기동은 통상 대대급 이하 제대에서 실시하나, 대부대 작전시 연대 또는 사단급 이상의 부대가 실시할 경우도 있다. 사단급 부대가 침투기동할 상황에서는 군단 또는 사단자체의 일부 부대로 강력한 적을 고착견제하는 동안에 사단의 주력을 후방지역으로 침투기동시켜, 결정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침투기동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습 효과를 위한 기도비닉이 대단히 중요하다. 침투기동을 수행하는 동안 적에게 아군의 기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험악한 지형, 적 부대간의 간격, 불량한 시도조건 등을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 또한, 침투기동시 적 지역에서 기동하는 동안 노출되는 측후방 방호대책과 신장된 공격부대가 적에게 절단될 경우 등의 우발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침투기동의 성공을 위한 여건조성 방법으로는 전자전을 이용하거나 계략, 허식에 의존하기도 하며, 기동에 의한 방법으로 양공, 양동, 정찰대 및 소규모 침투부대를 운용하는 것도 있고, 화력에 의한 방법으로 타 지역에 화력을 집중하여 적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침투 기동로가 아닌 타지역에 연막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으며, 노출시에는 연막차장 및 제압사격을 실시한다. 또한, 적 증원 및 퇴로의 차단을 위해 살포식 지뢰를 사격하기도 한다.

1586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침투보호의        Permeable Protective Clothing      화학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특수 피복을 가리킨다. 화학제로 처리되어 있으며, 수포성 화학작용제와 같이 피부 침투를 통하여 인체에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학작용제애 대하여 방호를 제공한다. 한국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침투보호의의 경우 화학작용제에 의한 오염이 일어났을 경우 오염지대 내에서 24시간 정도의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 후의 세탁 및 제독은 불가능하다. 구성품으로는 전투화 덮개와 보호장갑이 있으며, 이들은 오염지대에서 6시간 이상의 방호가 가능하다.

1587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카사블랑카회담              2차 세계대전 기간 중이었던 1943 1 14일에서 동월 24일까지 프랑스령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서 개최된 회담.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처칠 수상이 참가하여 회담을 열었으며, 전쟁의 목적이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임을 명확히 하여 추축국에 대한 전쟁을 무조건 항복시까지 계속할 것임을 확정하였고, 유럽 진공작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 시칠리아 및 이탈리아 본토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점과 더불어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개략적인 상륙시기 등이 정해졌다. 또한 프랑스 항전파 지도자들간의 화해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1587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카쓰라-태프트 밀약                   포츠머스 조약이 맺어지기 얼마 전인 1905 7 29, 당시의 일본 수상 가쓰라 다로(桂太郞)와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특사였던 태프트 육군장관 사이에 이루어진 비밀협약을 가리킨다. 밀약 내용 중의 하나인 극동의 평화를 위하여 미, , 3국이 실질적으로 동맹관계를 확립할 것을 통해 이전의 영일동맹을 확장하였으며,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지배를 일본이 묵인하는 동시에 그 교환조건으로 한국에서 지금까지 얻어낸 우선권을 미국으로 하여금 보장케 하는 동시에 한국을 일본이 지배하는 데 대하여 미국으로부터 양해를 얻어냈다. 이 밀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을사조약이 맺어짐으로서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빼앗겨 실질적인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이후 완전 식민지화의 길을 걷게 된다.

1587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카이로회담                   2차 세계대전 중에 개최되었던 연합국 수뇌회담. 1943 11 22일부터 동월 26일까지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중국의 장졔스 총통이 참석하였다. 대 일본 전쟁 수행을 위한 협력 및 영토문제 등을 비롯한 전후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 최초의 회담으로, 이 회담의 결과로 11 27일 카이로선언이 발표되었다. 선언문에서는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게 될 때까지 연합국이 협력하여 싸울 것을 천명하였으며, 전쟁에 이긴 후에도 연합국은 자국의 영토확장을 도모하지 않고 오직 일본이 타국에서 약탈한 영토를 원 소속국가에 돌려줄 것을 결의하여 태평양에 있는 일본령 제도의 박탈, 일본이 중국에서 빼앗은 모든 영토의 반환을 언급하였으며, 한국에 대하여 특별한 조항을 넣어 현재 한국 인민이 노예상태 하에 있음에 유의하여 앞으로 한국을 자유 독립 국가로 할 결의를 가진다. (...in due course Korea shall become free and independent...)라고 선언문에 명시함으로써 한일합방 이후 처음으로 한국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카이로 회담의 선언사항은 이후 포츠담 회담 및 그 선언문에서 다시 한 번 이를 지킬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1943 11 28일부터 12 1일 사이에 열렸던 테헤란 회담 이후 테헤란 회담에서의 합의사항(터키에 참전을 권유할 것) 이행을 위하여 1943 12 3일부터 동월 6일까지 카이로에서 미국, 영국의 수뇌가 터키 대통령과 회담을 벌였으나, 터키는 이를 거부하고 끝까지 중립을 지켰다. 이 회담을 11월의 회담와 구분하기 위하여 이를 제 2차 카이로회담이라 하며 11월의 회의는 제 1차 카이로회담이라 한다.

1587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카츄샤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미군에 증강된 한국육군요원)의 약자로, 주한미군의 각 부대에서 미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육군 소속의 요원을 가리킨다. 카투사 제도는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 사이에서 구두로 이루어진 비공식 협정에 의해 1950 7월에 시작되었다. 선발 방식은 수차 바뀐 끝에 현재는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실시하는 공개모집을 통해 전산선발되고 있으며, 미군부대에서 임무를 수행하지만 한국군 소속으로 육군 직할부대인 한국군지원단에 소속되어 있다. 이들의 역할은 주한미군의 임무 수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한국군과 미군을 연결하는 중간자적인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들의 역할은 양국군의 연합전력을 증강시키는 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2000년 기준으로 약 4,800명에 달하는 인원이 주한미군의 각 부서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1587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캘리버             총포류의 구경을 말한다. 화약류의 무기가 처음 등장한 시기에는 사용하는 탄약의 무게에 대한 지름으로 표시하였는데, 예를 들어 포의 경우 2파운드 포라 하면 2파운드 무게의 원형탄약을 사용하는 포의 구경을 가리킨다. 현재도 산탄총 등에서 사용하는 구경인 게이지의 경우 1파운드로 만들 수 있는 소총탄환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구경으로, 12게이지라 하면 1파운드의 납을 녹여 12개의 탄환을 만들었을 때 각 탄환이 가지는 지름을 그 구경으로 한다. 현대 총포의 경우, 활강식 총포는 총강의 지름을 구경으로 하며, 강선식 총포는 강선등(총강 내부에서 강선이 튀어나와 있는 부분)과 강선등 사이의 거리, 혹은 강선홈(총강 내부에서 강선이 아닌 부분)과 강선홈 사이의 거리를 구경으로 한다. 발사체의 지름을 구경으로 하기도 하나, 발사체의 제조회사마다, 혹은 제조회사 내에서도 조금씩 다른 규격을 생산하고 있어 표준화가 어려우므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단위는 mm나 인치를 사용하며, 38구경 혹은 Cal 38이라 하면 0.38인치 구경의 총을 가리킨다. 다만, 포의 경우 가끔 caliber라는 단어가 포신의 길이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식 명칭은 caliber length(구경장)이며, 포신 길이가 구경의 몇 배수인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5mm 40구경()이라 하면 구경은 105mm이며 포신 길이는 4200mm(105mm*40)인 포를 가리킨다.

1587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코만도계획                   곤봉작전을 축소한 계획으로, 10월초에 공격을 개시하여 문산리 동북방 약 14km의 임진강 서안에서 사미천변의 청연리-임진강변의 계호동-연곡천 남안의 고지대-철원 서북방 10km의 중어촌-철원 동북방 8km의 증가산을 있는 선(통칭 제임스타운 선)을 점령하고, 이를 통해 연천-철원-금화 철도를 엄호하고 와이오밍선의 방어를 확실히 하며, 적의 전선 부대를 격멸해서 혼란과 위협을 주고 또 자칫 침체되기 쉬운 미 제8군의 사기를 부활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계획에 의하면 중공군에 대한 공격은 경계진지 및 전초기지만의 공격에서 그치게 되고, 인민군에 비해 영토에 집착하지 않는 중공군의 성격상 저항과 손실이 적을 것이라는 점에서 결전을 피하려 하던 리지웨이 장군의 의도와 맞아떨어졌다. 그리하여 리지웨이 장군은 랑구라 계획 대신 코만도 작전을 채택하였고, 작전은 10 3일부터 개시되었다. 이때의 공세를 통칭 추계공세라 불리며, 한국전쟁 최후의 전면공세였다.

1587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콤포지션 폭약    Composition      군사용 고성능폭탄으로서, 혼합을 통해 민감성을 줄인 폭약을 가리킨다. 현재 사용되는 폭약원료로는 TNT RDX의 두 종류가 있는데 비교적 안정적인 TNT와 달리 RDX는 충격, 마찰에 지나치게 민감해서 그대로는 폭탄으로 쓰기 어렵기 때문에 왁스나 TNT 등을 혼합하여 민감성을 줄여 사용하며, 이렇게 혼합된 것을 가리켜 콤포지션 폭약이라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콤포지션 폭약은 C4(Composition-4)로서, 불에 던져 넣어도 폭발하지 않고 그대로 연소될 정도로 매우 안정적이나 신관을 이용하여 폭발시켰을 경우 높은 파괴력을 발휘하며, 높은 가소성으로 인하여 그 형태의 변형이 손쉽고 전기 기폭이 가능하여 군용 및 민수용의 넓은 범위에 걸쳐 쓰이고 있다.

1587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퀘벡                1759, 울프장군이 지휘하는 9,000명의 영국군 원정부대가 몽칼므 장군 휘하의 프랑스군 14,000명이 방어하는 캐나다 동부의 도시인 퀘백을 공략한 전투. 영국군은 6 27일의 전투개시 후 2개월이 지나도록 육상에 공격 교두보조차 마련하지 못하였고, 이들을 지원하는 함대는 겨울이 오기 전에 철수해야만 할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난공 불락의 요새라는 이 도시 남쪽에 있는 절벽의 방비가 허술하다는 것을 알게 된 울프장군은, 9 12일 야간에 이 절벽쪽으로 부대를 상륙시키는 데 성공하여, 마침내 이 도시를 기습적으로 공략할 수 있었다. 맥아더장군은 이 퀘백전투를 교훈으로 하여 인천상륙작전을 계획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1587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큐리                방사능을 측정하는 단위로, 기호는 Ci이다. 1큐리는 매초당 3.710^10개의 원자가 붕괴하는 어떤 방사능 동위원소의 양이다. , 원자핵의 붕괴 또는 자연핵분열의 수가 매초 3.710^10인 경우의 방사능을 1큐리라 한다. 큐리라는 명칭은 라듐의 발견자인 큐리 부부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1975년 국제단위계(SI)에서는 X선 발견자의 이름에서 따온 베크렐(Bq)을 방사능의 단위로 채택하여 큐리 대신 널리 쓰이게 되었다 1Ci=3.710^10Bq이다. 큐리보다 작은 단위로 밀리큐리와 마이크로큐리가 있는데, 밀리큐리(Millcurie) 1큐리의 1,000분의 1, 단위시간당 3.710^7개의 붕괴를 나타내며, 마이크로큐리(Microcurie) 1큐리의 100만분의 1, 단위시간당 3.710^4개의 붕괴를 나타낸다.

1587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크리스마스공세              중공군의 1차공세 이후인 1950 11 24일부터 실시된 미 제 8군의 공세작전으로, 크리스마스공세라는 명칭은 정식명칭이 아닌 별칭이며, 이는 맥아더 원수가 밀번 장군에게 잘 되면 크리스마스까지 귀국할 수 있다라는 취지로 했던 사석에서의 발언에서 유래되었다. 정보분석의 오류로 인하여 중공군의 참전규모를 실제의 1/4 이하로 추정하였고, 그 목적에 대해서도 수풍발전소 방호라는 제한된 목적일 뿐이라고 오판한 상태에서 중공군의 조직적 공세기도가 있기 전에 강력한 공격으로 한중 국경까지 진출하여 전쟁을 종결짓는다는 목적을 가지고 실행된 유엔군의 마지막 총 공세작전이었다. 초기 유엔군 사령부의 의도는 미 제 8군의 진격과 미 제 10군단의 서진으로 중공군을 포위하는 작전개념으로 11 24 10시를 기하여 공격작전을 개시하였으나, 11 25일 중공군의 2차 공세가 실시됨으로써 양군의 공세가 충돌하게 되었고 중공군의 위치 및 규모와 의도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공세를 시작했던 유엔군은 중공군의 2차공세가 개시된 이후 점차 적의 강력한 압력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공세는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고, 11 28일에는 청천강선으로, 11 29일에는 평양 방어선으로 철수하였다가 11 30일에는 급기야 총퇴각을 행하게 되었으며, 12 3일 평양방어선상의 성천을 빼앗기게 되자 맥아더는 결국 38선으로 철수할 것을 결심하게 되어 미 제 8군은 육로로, 미 제 10군단은 해상으로 철수하였고, 12 15일에는 미 제 8군이 38선에서 새로운 방어선을 형성하게 되었다. 일련의 퇴각과정에서 미 제 2사단은 중공군의 매복으로 인하여 사단 전투력이 본래의 2할 내외로 저하되는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1588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탄도유도탄        Ballistic Missile BM         로켓을 동력으로 사용하여 그 추진력을 이용하여 탄환과 같은 탄도를 그리며 비행하는 유도미사일을 가리킨다. 관성유도 방식으로 비행하면서 목표물에 대하여 유도를 행하는데, 추진체가 다 떨어지는 시점까지만 유도가 이루어지며 이후 최종단계에서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떨어지면서 목표에 도달한다. 지상목표를 타격하기 위해 사용되며, 핵의 운반체로서도 이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사정거리에 따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등으로 분류되며, 지상기지 이외의 위치에서 발사되는 탄도미사일인 공중발사탄도미사일(ALBM),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도 있다. 2차 세계대전 말기에 독일에서 개발되었던 V-2가 군용으로 이용된 최초의 탄도유도탄으로 당시에는 매우 낮은 명중률을 보였으나, 현재의 탄도유도탄은 이전에 비하여 매우 높은 정밀도를 자랑하고 있다.

1588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탄도탄 요격미사일          Anti-Ballistic Missile ABM 적의 탄도유도탄-주로 자유낙하단계의 미사일 탄두-을 요격하여 떨어트리는 것을 임무로 하는 미사일을 가리킨다. 주로 지상발사 형태로 운용되며, 요격을 행하는 방식으로는 발사된 요격미사일의 공중폭발에서 발생하는 위력을 이용하여 목표로 지정된 상대 미사일의 탄두를 무력화시키는 방식 및 적 미사일에 직접 요격미사일의 선두부를 명중시켜 그 운동 에너지로 목표물을 파괴하는 방식이 있다. 걸프전에서 명성을 날렸으며, 현재 한국에도 배치되고 있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이나 러시아의 가젤 미사일 등이 탄도탄 요격미사일의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SA-5와 같이 지상발사 대공미사일(SAM)중에서도 탄도유도탄 요격능력을 갖추어 적 탄도유도탄을 요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주로 치명반경이 넓으면서 도달고도가 높은 지상발사 대공미사일들이 이에 속한다.

1588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탄두     Warhead           탄환이나 포탄, 미사일 등의 앞쪽 끝에 위치하는 머리부분으로, 목표물에 도달하여 실질적인 피해를 주는 부분을 가리킨다. 포탄이나 미사일의 경우 이 부분에 폭약을 장착하게 되며, 미사일은 운반체의 추진력을 통해, 총이나 포는 탄피에 들어 있는 장약의 폭발력을 통해 탄두를 목표물로 날려보내게 된다.

1588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탄저병   Anthrax 곡류, 두류, 야채, 과수, 수목등의 잎이나 줄기, 과실 등에 암갈색이나 황색의 반점이나 검개 패인 괴저를 만드는 식물의 병해로 사과, 복숭아, 포도 등 육질이 많은 과실 등에 잘 생기는 식물의 병해로 보르도액을 살포하여 예방한다. 또한 가축에 발생하는 전염병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입 및 직장의 출혈로 심한 급성패혈증을 일으키며, 피부에 탄저옹이 생기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초식동물에 많이 감염되나 육식동물 및 잡식동물에도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으로 사망한 가축의 사체 및 그로 인해 오염된 토양에까지 아포 형태의 균이 생존하여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킨다.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데 주로 피부감염에 의하며, 피부발적, 패혈증, 복통(장탄저의 경우)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페니실린이 가장 높은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감염된 동물의 사체는 토양오염을 막기 위해 반드시 소각하여야 한다. 생물학무기로 지명도가 높은 것은 동물에 감염되는 탄저균이며, 탄저균 생물학무기의 경우 백색의 가루 형태로 정제되어 있다.

1588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탐지레이더        Detection Radar  여타 레이더에 비하여 비교적 긴 사거리를 가지고 아군측에 정보를 제공하는 레이더. 추적레이더에 비하여 긴 감시범위를 가지나 정밀도가 낮은 편이다. 대상 표적에 따라 대공탐지레이더, 해면탐색레이더 그리고 전장 감시 및 통제레이더 등으로 분류되며, 탐지거리에 따라 단거리, 중장거리 및 초장거리 레이더로 구분되며, 탐지된 표적의 표적정보 추출능력에 따라 2차원(방위, 거리) 또는 3차원(방위, 거리, 고도) 레이더로 구분된다. 대공탐지레이더는 조기경보/공중 전장감시 및 통제용으로 운용되며, 항공기나 미사일 등의 장거리 고공표적을 탐지, 표적 제원을 추출하여 우군지휘통제 체계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지상(주로 고지)에 장치하여 운용할 경우 운용에 따른 제한조건이 가장 적고 중-고고도에 대한 탐지성능이 우수하나 저고도 표적에 대하여 취약하고, 항공기에 탑재하여 고고도에서 하방감시 형태로 운용할 경우 저고도 표적에 대한 탐지능력은 향상되나 제한조건 및 운용비용이 지상장치시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해면탐색레이더는 선박 또는 지상에 설치하여 선박항행, 해역감시 그리고 대함 작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것으로서, 해면상태에 의하여 발생되는 클러터를 제거하고 해상 고정물체와 선박, 잠수함의 잠망경 및 환기구 등을 탐지한다. 마지막으로 전장감시 및 통제레이더는 지상인원, 차량 및 헬기 탐지용과 박격포탄/포탄 또는 로켓탄 발사위치 탐지용 등으로 나뉘어지며,(전술용 저고도탐지레이더는 사통컴퓨터와 연동시 통제레이더로 분류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탐지레이더로 분류), 적이 소유한 전차나 대전차 미사일 유도무기 체계보다 약 5km 이상 우세한 지상감시 범위를 가지는 동시에 아군포대의 작전범위 내로서 최대 30km 내지 40km 범위내의 감시범위를 갖는 것이 통상적으로, 표적을 획득, 지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1588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태업     Sabotage          1. 직장을 이탈하지 않은 채 외형적으로는 일을 계속하나 고용주의 지휘나 명령에 부분적으로 복종하지 않는 불완전 노동이나 사용자에 대한 비방 등을 퍼뜨려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고의적인 불량품 생산이나 기계 및 제품의 파괴 등을 포괄하는 노동자의 쟁의수단을 가리킨다. 노동자가 일단은 직장에 머물러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파업에 비하여 고용주측에서 쟁의 대항행위를 취하기가 어렵다.  2. 한 국가의 방위를 손상하거나 교란 또는 방해할 의도하에 고의적으로 어느 국가의 방위나 전쟁물자, 재산 또는 공공시설을 파괴하거나 파괴하려는 행위.

1588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터치다운작전                1951년 추계작전 시기에 있었던 단장의 능선 전투의 제 2차 공격작전에 붙여진 작전명을 가리킨다. 10 5일부터 10 13일 사이에 행해졌다. 1차 공격작전의 실패를 시인한 미 제 2사단장 영 소장은 실패의 원인을 좁은 지역에서의 병력 축차투입과 화력지원 활용의 부족에 있었다고 분석하고 전 사단포병과 전차의 지원하에 사단 예하의 3개 연대를 동시에 공격에 투입하고, 72전차대대는 문등리 계곡으로, 보전협동 특수임무부대는 사태리계곡으로 진출시켜 전 기갑력으로 보병연대를 지원한다는 작전지침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지침에 따라 공병부대는 문등리 일대에 대한 전차투입을 위하여 도로의 정비에 들어갔고, 각 부대는 공격준비에 들어갔다. 이후 10 5 22시를 기하여 개시된 작전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고지를 점령해 나갔으며, 10 13 3단계 목표였던 851고지를 점령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 10 15일까지 백석산과 어은산 중간 지점의 1220고지를 점령함으로써 작전은 완전히 종료되었고, 이 전투의 성공으로 인하여 미 제 10군단은 하계-추계작전에서 주목표로 삼은 전선의 만곡부 제거에 성공하였다.

1588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테러                자신이나 자기 집단의 목적을 위해 폭력을 행사하여 사회적 공포상태를 일으키는 행위를 가리키며, 이를 실행하는 형태로는 살인, 납치, 유괴, 저격, 약탈, 폭파 등의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고방식을 의미하는 테러리즘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1588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테헤란회담                   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3 11 28일부터 12 1일 사이에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개최된 연합국 지도자간의 수뇌회담을 가리킨다.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서기장이 참석하였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독일의 패색이 짙어져 가던 시기에 연합국간의 새로운 조정 및 협의를 도출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독소전이 진행되던 동부전선에 대응하는 유럽대륙 서부의 제 2전선 설치시기, 이란의 독립, 소련의 대일참전, 유고슬라비아 빨치산에 대한 원조, 터키에의 참전권고 등의 사항을 협의함과 아울러 전후 독일 분할 및 새로운 국경선 설정에 대한 영미측의 제안이 있었다.

1588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토마호크                     1951년 봄에 진행되었던 유엔군의 2차 반격작전인 리퍼 작전기간 중에 시행되었던 공수작전을 가리킨다. 리퍼 작전의 진행으로 서울이 탈환된 이후 서울에서 도주한 적 주력을 격멸하기 위하여 계획된 작전으로, 문산 일대에 병력을 낙하시킨 다음 북상하는 미 제 1군단과 연결하여 적 주력을 포위 격멸하는 것이 작전의 기본 골자였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제 187공수연대를 작전부대로 하여 1951 3 23일 공수작전을 개시하였으며, 공수 자체는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어 제 187공수연대는 무사히 미 제 1군단과 연결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작전이 시기적으로 너무 늦은 상태여서 적의 주력은 이미 임진강 이북으로 철수한 이후였기 때문에 적 퇴로 차단에 실패하여 결과적으로 그리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1589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통수권   The Prerogative of Supreme Command      한 국가의 군을 지휘하고 통솔하는 권한을 가리킨다. 군령권이라고도 하며, 지휘 통솔의 범주에 들어가는 용병 및 군 통수행위를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군대를 만들고 편제 및 관리를 행하는 군정권과는 대응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군국주의의 방지를 목적으로 통수권과 군정권을 모두 문민통제, 즉 정부와 의회의 책임 및 통제 아래 두고 있으며, 이것을 병정통합주의의 원칙이라 한다. 대한민국 역시 병정통합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이 군의 최고사령관으로서 군에 대한 통수권을 가지며, 이 권한은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여 대통령에게 부여되고 있다.

1589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통제품목           Controlled Item  사용부대에 불출하도록 배당표에 인가되어 있으나 실제 불출은 상급 사령부에서 직접 통제하는 품목을 가리킨다. 통제품목은 그 품목의 긴요성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규제품목과 합하여 지휘통제품목이라고도 하며, 통제품목은 주로 전술 및 전략적인 필요성이 있거나 희귀성을 가진 고가품 및 위험성질의 품목 또는 고도의 사용기술을 요하는 품목들로 상급 사령부에서 이를 판단하여 설정한다.

1589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퇴각                당면한 전투를 중지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퇴각을 위해서는 먼저 이탈을 통하여 적과의 접촉을 단절하고 이어서 이격을 통하여 적과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퇴각의 주안점은 신속히 적과 이격하는 것이므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과 교전하는 사태를 피하면서 신속히 태세를 정리하고 목표를 향해 후퇴를 행하여야 한다

1589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특례보충역        Special Reservist Status   현역입영 대상자 또는 방위소집 대상자 중 과학기술의 진흥, 국가 기간 산업의 육성 또는 개인특기의 개발에 의한 국위선양 등의 국가 이익을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따로 보충역에 편입시켜 방위소집복무에 대신하여 해당 전문분야에 종사하게 하는 병역특례 제도를 통하여 군복무를 갈음하는 자를 가리킨다. 기본 군사훈련을 마치고 특례보충역에 편입된 날로부터 해당 전문분야 또는 지정분야(병역특례심사위원회가 지정한 연구기관, 기간산업체, 방위산업체) 5년간 종사하여야 하며, 한국과학기술원 수료자는 과학기술처 장관이 지정하는 분야에서 3년간 종사하여야 한다.

1589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특별참모           Special Staff       한 단위부대의 사령부에서 함께 근무하면서 일반 참모단이나 개인 참모단에 포함되지 않는 참모를 가리킨다. 특별참모요원은 특수한 기술 전문가 및 소속부대에서 그 병과를 대표하는 병과의 선임장교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일반참모의 통제 아래 활동하면서 특수분야를 담당한다. 사단급 부대를 기준으로 통신, 수송, 병참, 병기, 항공, 공병, 포병, 화학, 의무, 헌병, 감찰, 정훈, 법무, 군종, 경리, 심리전 등 각종 특수 분야의 참모 및 본부사령, 연락장교 등이 이에 포함되며, 각 병과별로는 그 선임자, 즉 포병참모는 포병연대장이, 의무참모는 의무중대장이 겸임하는 식으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1589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특수전   Special Warfare SW         비상사태나 전략적 우발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기타 필요한 경우 국가목표를 달성하거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수 훈련을 받은 군사요원 또는 준군사요원이 수행하는 제반활동을 가리킨다. 비정규전 및 특수작전의 형태로 행해지며, 후방교란, 정보입수, 요인암살, 인질구출, 대 테러작전, 대 게릴라전 등의 임무가 여기에 속한다. 특수전은 필요에 따라 전시와 평시를 막론하고 수행된다.

1589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파괴통   Bangalore Torpedo         폭파작업에서 사용하는 특수뇌관을 가리킨다. 이는 부비트랩이나 적재지뢰에 의하여 확실하게 기폭시킬 수 없는 탄약이나 다른 폭발자재를 폭파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악화된 탄약이나 파기된 탄약을 파괴하는 데도 사용된다. DMZ 지역의 지뢰제거 작업에서는 PVC 파이프에 다이너마이트를 채워넣은 간이 파괴통을 이용한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 바 있다.

1589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파상공격           Stream Attack    하나의 목표에 대해서 파도가 치듯이 동일방향으로부터 짧은 시간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공격해 들어가는 것을 가리킨다. 상대편에 비하여 상당한 병력상의 우위를 점할 수 있을 때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 공격간의 시간간격을 짧게 둔 연속적인 공격을 통해 상대방에게 피로와 소모를 회복할 틈을 주지 않고 계속 누적시켜 상대방의 방어를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한국전쟁 시기에 중공군에 의해서 많이 사용되었다.

1589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파쇄공격           Spoiling Attack   적이 공격을 위해서 대형을 갖추거나 집결중에 있을 때 적의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서 운용되는 전술적인 기동을 가리키며, 방어시 공세작전에 속한다. 적 공격 개시 전에 방어지역 전방에서 공격 준비중이거나 이동중인 적에 대하여 실시하며, 적 부대 일부 격멸이나 적 공격의 발판이 될 지형의 일시적 탈취 및 적 공격의 균형 와해 등을 그 목적으로 한다. 파쇄공격은 속도와 기습이 그 성공의 관건이 되므로 기동성 있는 부대로 기습달성에 주안을 두고 짧고 치열한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적지에서 장시간 교전을 벌이거나 적의 추격을 받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파쇄공격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주방어지역 전방의 적 지역에 대한 전장감시가 매우 중요하므로, 적의 예상 집결지나 공격개시선으로의 이동로, 예상 도하지점 및 포병진지 등에 대한 첩보수집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1589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퍼싱                2차대전 최말기에 개발된 전차로, 1945년에 실전배치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지원되어 1950 7 29일의 진주전투에 최초로 투입되었다. 주 무장으로 대공포를 변형한 장포신의 90mm 전차포를 장비하고, 보조무장으로 7.62mm 기관총 2문과 12.7mm 기관총 1문을 장비하고 있다. 2차대전 당시 투입된 미군 전차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가졌다고 평가되며 약 42톤에서 46톤으로 당시로서는 중량급의 전차였으나, 장착한 포드 V-8엔진의 출력이 500마력이어서 출력 대 중량비가 좋지 않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는데, 실제로 10.9hp/ton(46톤 기준)이라는 출력 대 중량비는 한국전쟁 당시 투입된 모든 전차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1590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편조     Task Organization          지휘관이 전투편성을 실시함에 있어서 한 특정 임무 또는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하게 계획된 부대의 구성을 가리킨다. 편조 개념에 의한 전투편성은 근본적으로 미 육군의 전투편성 개념으로, 편조 개념에 의해서 전투편성된 부대는 특수임무부대(Task Force)개념이다. 그러나, 미군이나 한국군의 기계화 보병사단 및 기갑여단의 전투편성 또한 편조 개념에 의한 전투편성이며, 보병사단의 전투편성을 행할 때 보병연대에 전차중대를 배속시켰을 경우에는 그 부대의 운용개념 또한 편조 개념과 유사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적용 및 사용 면에서 볼 때는 편조라는 용어가 곧 전투편성을 뜻하며, 편조 개념에 의한 전투편성이 곧 전투편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