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NEWS+IR

"고생은 우리가 했는데..." K-콘텐츠의 딜레마

by 아이러브비즈니스 2024. 12. 6.
반응형

Flytec 리모컨 미끼 보트, 듀얼 모터 어군 탐지기, 낚시용 LED 조명 장착, 1.5kg 적재, 500m
https://s.click.aliexpress.com/e/_De1go6V
출처: https://richcat.tistory.com/303964 [리치캣의 현재 그리고 미래:티스토리]

 

Flytec Fishing Bait Boat 500m Remote Control Bait Boat Dual Motor Fish Finder 1.5KG Loading with LED Light for Fishing - AliExpr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플랫폼 사업에 투자를 조심하는

재무,회계 담당자들이 CEO가 되는

모험성, 도전정신이 약한 

조심스러움만이 남은..

단기이익만 추구하는 CEO들이 대거 증가한 것도 문제의 근원이 아닐까???

"고생은 우리가 했는데..." K-콘텐츠의 딜레마

https://www.youtube.com/watch?v=7WCb0LGPNgw

 

 
K 콘텐츠의 인기도에도 불구하고 한국 제작사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져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자본의 등장으로 인해 제작비와 경쟁 환경이 급변했고, 제작사는 수익을 내기 위한 전략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한국 콘텐츠 제작사들은 높은 제작비와 적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K 콘텐츠의 품질은 여전히 높아 아시아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현재의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결국, K 콘텐츠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선 보다 나은 투자 환경과 시장 조건이 필수적입니다.
핵심 용어
  • K 콘텐츠: K 콘텐츠는 한국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말합니다. 이 콘텐츠는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많은 ...

1. 서론 💰 K 콘텐츠 수익의 모순

  • K 콘텐츠는 국제적으로 인기가 있지만, 제작사들은 여전히 기대하는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플랫폼은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지만, 한국 내 K 콘텐츠 제작사는 그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 이를 위해 중앙대학교 유진희 교수 및 여러 영화 제작사 관계자들과의 조사를 통해 현재의 수익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2. 📉 K 콘텐츠 제작사의 어려운 상황

  • 스튜디오 드래곤 콘텐츠리 중앙은 한국의 2대 제작사로, 현재 매출액이 거의 반토막이 났다 .
  • 영업 이익률이 -1%에 도달하여 적자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낸다 .
  • 콘텐츠리 중앙의 콘텐츠 매출은 1700억 원에서 1300억 원으로 감소하였고, 영업 이익은 145억 원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
  • 인기 있는 콘텐츠인 흑백 요리사가 영어권에서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리 중앙의 주가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 .
  • 이러한 상황은 K 콘텐츠 제작사들이 심각한 고민에 빠져 있게 한다 .

 

3. 📉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K 콘텐츠 제작비 상승

  • K 콘텐츠 제작 환경은 과거 권력의 시대에서 해외 자본의 시대를 거쳐 수익성의 시대로 변모했다.
  • 과거 방송사들은 콘텐츠 유통에서 독점적 권력을 행사했지만, 해외 자본이 등장하면서 시장 지형이 급변하게 되었다.
  • 해외 자본이 유입되자, 제작사는 제작비 한계를 무시하고 제작을 확대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제작비의 급등과 함께, 배우와 감독의 몸값도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며 전체 제작비 부담이 늘어났다.
  • 최근 몇 년 간 회당 제작비가 약 100억 원에서 200억 원으로 증가하며, '오징어 게임'은 약 290억 원, '더 글로리'는 약 600억 원의 제작비가 필요했다고 추정된다.

 

4. 📉 K 콘텐츠 제작의 수익성 위기

  • 제작비 증가와 고금리 시대의 도래로 인해 지상파 방송사에서는 드라마 편수를 지속적으로 줄이게 되었다 .
  • 넷플릭스는 170억 달러 규모의 전 세계 제작 투자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으나, 추가 투자는 하지 않고 수익성을 중시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
  • 제작사들에게 지급하는 마진이 감소하고 출연료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이해된다 .
  • 최근 예능 제작이 비용 대비 효과가 높은 경향이 있어, 드라마보다 예능 위주의 콘텐츠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 스포츠 콘텐츠도 충성 팬을 확보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점에서 OTT 플랫폼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4.1. 고금리 시대의 K 콘텐츠 제작 환경 변화
  • 제작비가 상승하고 판매처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콘텐츠를 과다 생산하였으나, 고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제작 편수가 줄어들게 되었다.
  • 지상파 방송사들은 고금리 전부터 유튜브로 광고가 쏠리며 드라마 편수를 계속해서 감소시켜 왔다.
  • 제작사들은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생산 속도를 조절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제작사의 고전을 더욱 심화시켰다.
  • 특히, 넷플릭스를 제외한 기업들이 수익을 내지 못하는 가운데, 한국의 오리지널 콘텐츠 수도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이다.
  • 다양한 OTT 플랫폼들이 제작 편성을 줄여가고 있으며, 이는 콘텐츠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4.2. 넷플릭스의 투자 전략 변화와 수익성 증가
  • 넷플릭스는 세계 제작에 연간 약 170억 달러를 투자하나, 고금리 시대에도 투자를 늘리지 않는 대신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 향후 4년간 약 3조 3천억 원을 한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는 기존의 투자 수준을 유지하는 것에 가깝다.
  • 넷플릭스는 제작비와 출연료를 줄이며 원가 절감을 추구하고 있어, 이로 인해 제작사에 지급하는 마진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 출연료 제한 현상도 나타나고 있으며, 한 배우가 회당 5억원을 요구했을 때, 비용 절감을 위해 투자를 늘리지 않겠다는 방향이 분명해졌다.
  • 디즈니 플러스의 경쟁 중단은 넷플릭스의 콘텐츠 구입에 영향을 미치며, 독과점의 폐해가 우려되고 있다.
4.3. 한국 콘텐츠 플랫폼 경쟁 현황
  • 넷플릭스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1200만 명에서 1100만 명 초반으로 감소하였다 .
  • 티빙의 활성 이용자 수는 600만 명에서 800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
  •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예상되며, 합쳐지면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넷플릭스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
  • 한국 제작사들은 넷플릭스와 티빙 중 어떤 플랫폼에 납품할지 고민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
  • 넷플릭스는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이 가능하지만, 티빙은 국내 시장 중심으로 경쟁력을 띤다는 점에서 선택의 차이가 존재한다 .
4.4. 예능과 스포츠의 수익성 증가
  • 최근 OTT에서 예능 프로그램의 제작비는 약 100억 원 정도로, 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익성이 높을 수 있다.
  • 예를 들어, 드라마 "더 글로리"는 제작비가 약 600억 원에 달하는데, 실패할 경우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예능 프로그램에 집중하는 판단이 나타나고 있다.
  • 스포츠 콘텐츠는 충성 팬을 확보하고 있으며, 팬들이 비용을 지불할 의지가 강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 티빙이 한국 프로야구 리그 중계권에 1,200억 원을 투자하여, 연간 400억 원의 비용으로 구독자 수 증가가 가능하다는 점은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 쿠팡 또한 4,200억 원을 투자하여 리얼 후기를 제작하고 있으며, 이는 높은 금액에도 불구하고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분석을 반영하고 있다.
4.5. 콘텐츠 수익 구조의 변화
  • K 콘텐츠 제작사들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
  • 콘텐츠에 대한 투자는 지속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오징어 게임의 두 번째 시즌에는 약 1천억 원 제작비가 예상된다 .
  • 드라마의 편수를 늘리지 않고 대신 예능이나 스포츠 프로그램의 비중을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
  • 특정 드라마에 집중 투자하여 품질을 유지하며 수익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

5. 결론 📈 K 콘텐츠 제작과 광고 시장의 어려움

  • 한국의 콘텐츠 제작사들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제작 편수를 늘려야 하며, 이와 관련해 납품 가능한 플랫폼과 기존 지상파 방송사들의 광고 시장 개선이 필수적이다 .
  • 광고 시장이 좋아진다고 하더라도, 기존 방송사들이 드라마 편수를 크게 늘리기는 쉽지 않다고 예상된다 .
  • K 콘텐츠는 아시아 9개국에서 구독의 주요 이유로 자리잡고 있어, K 콘텐츠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
  • 넷플릭스는 한국 시장에서 연간 매출 8230억 원을 올렸으나, 한국 제작사에 투자하는 제작비와 동등한 수준이라, 수익을 위한 쉽지 않은 전략을 펼치고 있다 .
  • K 콘텐츠의 지속적인 생산은 다른 K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현재의 척박한 환경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된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