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비즈니스 지식모음

국방,군사용어사전 : 15001-15500

by 아이러브비즈니스 2022. 5. 8.
반응형

국방,군사용어사전 : 15001-15500

순번     분류     표제어   영문     설명

15001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직접 원가                    마지막 특정원가목표로서 구체적으로 확인된 원가로서 이것은 완성품에 포함되는 항목으로 필수적으로 노무비 또는 재료비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15002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직접 재료비                  당해 제품생산에 직접부과되는 재료의 가치로서 직접계산이 가능한 재료비이다.

15003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직접비   Direct Cost        제품과의 관련에 따른 원가분류이고, 그 발생이 제품과의 관련으로 직접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파악할 수 있고, 더구나 경제적으로 추적하여 확인할 수 있는 원가요소를 말한다. 이것에 반하여 그 발생이 직접적으로는 인식될 수 없는 것을 간접비라고 한다. 제조원가 중에는 제조직접비, 총원가 중에는 이밖에 판매직접비가 있다. 그밖에 제조직접비는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경비로 분류되고, 직접재료비는 소비재, 매입부품비, 원료비 등이, 직접노무비는 각종 용접공의 임금 등이, 그리고 직접경비로는 외주가공과 특허권사용료 등이 포함된다. ☞ 원가, 간접비

15004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집계 단위                    최종원가대상의 원가산정을 위한 중간단계로서의 원가대상을 말하며, 개인·부서·공정·건물·기계장치·비목·사업·부문·제품군·제품·활동 등을 집계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15005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총 생산량                    납품량 불량 시료량을 포함한 당해 총 생산된 전체 제품 부품 수량

15006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총 원가            제조원가에 일반관리비를 합한 금액을 말한다.

15007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최고 판매 가격              국민경제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품에 대하여 정부가 그 거래가격의 상한선을 지정·고시하는 가격이다.

15008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추정 가격                    물품 공사 용역 등의 조달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국제 입찰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 위하여 예정 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으로 예정 가격에서 부가 가치세를 제외한 금액.

15009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추정 가격 및 추정 금액              추정가격이란 물품, 공사, 용역 등의 조달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국제입찰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예정가격을 생략하는 판단기준 등으로 삼기 위하여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예산에 계상된 금액 등을 기준 (국계령 제7)으로 산정된 가격을 말하며, 추정금액 이란 공사에 있어서 추정가격에 관급재료로 공급될 부분의 가격을 합한 금액을 말한다.

15010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추정 가액                    특정물품등의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예산배정금액 및 예산산출기초자료등에 의하여 추산한 가액을 말한다.

15011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추정 금액                    공사에 있어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제1호에 따른 추정가격에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부가가치세와 관급재료로 공급될 부분의 가격을 합한 금액을 말한다.

15012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Cut      한 번의 스캔 또는 촬영에 의해 획득되어지는 단위를 말한다.

15013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코드 구성 체계              무기체계를 대분류, 중분류 등으로 분류하여 유사 또는 동종부품장비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8자리 코드로 이루어진다

15014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코드 라인 수      Line of Code Number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최소명령단위인 문장(Statement)들의 수로서 주석문(Comments)을 제외한 실행문, 환경선언문, 데이터 선언문 등을 말한다.

15015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통관료             수입물자를 보세구역에 반입하고 수입신고로부터 보세구역에서 인취하기까지 필요한 수수료를 말한다.

15016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통상 임금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시간에 대한 대가로 지급하기로 정하여진 고정된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금액을 말한다.

15017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투입량   An Input          1단위의 부품 또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원재료의 양 또는 단위를 말하며 자재구입량을 부품 또는 제품을 만들수 있는 최대 수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15018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투자 원가          Investment Cost 초도단위장비, 전쟁예비장비 및 탄약, 동시조달수리부속 , 초도예비부속 재고수준을 포함하는 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장비, 보급품 및 용역의 원가. 또한 장비의 폐기, 신형장비를 위한 재건 및 현대화, 향상된 능력이나 신형장비의 소개와 관련된 행정, 훈련원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된 프로젝트를 위한 교체원가를 포함한다.

15019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투자 자산                    1. 투자유가증권(당해 계약목적물의 완성을 위하여 법률에 의거 부득이 취득한 것은 제외)  2. 출자금  3. 관계회사 주식  4. 관계회사 사채  5. 투자부동산(종업원교육, 체육, 후생 또는 예비군훈련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6. 장기성 대여금과 장기성 예금  7. 특약금(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물품의 독점적 공급을 받기 위한 목적만으로 제공하는 특약금 또는 보조금)  8. 기타

15020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투하 자본                    방산물자의 생산을 위하여 투하된 자산으로서 미착기계, 건설중인 자산을 제외한 유형자산, 개발비 및 임차보증금 등이다.

15021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투하 자본 보상 비율                  투하자본보상비는 계약 목적물의 완성을 위하여 투자한 자산인 유형자산(토지 포함, 미착기계 및 건설중인 자산 등 제외), 개발비, 임차보증금에 대한 금융비용을 보상해 주는 것으로, 투하자본보상비율은 방산투하자본금액의 금융비용에 대한 총원가에 대한 비율로 과거 2년간의 실적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최근연도의 투하자본 보상비율로부터 각각 6:4 비율로 반영하여 적용한다.

15022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특기 사항          Emphasis of Matter        감사 용어로 사용할 경우 1. 감사의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나 2. 감사보고서 이용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판단되어 감사보고서에 추가로 기술하는 사항을 말한다.

15023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특정 비목 불확정 계약               확정계약(확정비목)과 개산계약(불확정비목)이 공존하는 계약형태이다. 특정비목불확정계약에 있어서는 확정되지 아니한 비목만 계약이행 후 실제 발생된 원가자료를 기초로 하여 산정하고 간접노무비, 간접경비, 일반관리비 및 이윤 등은 당해 계약의 예정가격을 결정할 때 시행되는 제기준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15024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특허권 사용료    Royalty  제품이 특허품이거나 제조과정의 일부가 특허의 대상으로 사용계약에 의하여 외부에 지불되는 사용료로서 사용료를 생산계획량/사용기간/생산능력으로 나누어 실비상당액을 계산한다.

15025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평균 임금          Average Wage    평균 임금이라 함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 간에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며 취업 후 3월 미만도 이에 준한다.  위와 같이 산출된 금액이 당해 근로자의 통상 임금보다 저액일 경우에는 그 통상 임금액으로 한다.

15026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폐기물 처리비               계약목적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오물, 잔재물, 폐유, 폐알칼리, 폐고무, 폐합성수지등 공해유발물질을 법령에 의거 처리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15027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품목 코드집                  감손율 산정대상이 되는 모든 방산물자를 품목별로 코드구성체계에 따라 분류한 것을 말한다.

15028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품질 확인 검사              조과정 또는 제조완료후 제품 (원재료, 부품, 조립품, 최종제품 등을 포함)에 대하여 생산업체가 자체의 검사 및 시험에 합격한 제품 또는 로트를 제출 하도록 하여 품질 요구 조건과의 일치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행하는 검사이다.

15029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하도급 업체                  현장원가관리업체에 물품, 용역등의 공급계약을 체결한 업체를 말한다.

15030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하역료             수입물자를 국내도착지의 선박 또는 항공기의 적재상태로 부터 보세장치장에 입고되기까지의 일체의 화물하역 처리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15031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하역비   Port Loading And Unloading Costs           FMS 부대비로서 화물수송 시 화물의 선적, 하역에 드는 비용을 말한다.

15032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학술 연구 용역              학문분야의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에 관한 연구용역 및 이에 준하는 용역을 말하며, 그 이행방식에 따라 다음 각목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위탁형 용역 : 용역계약을 체결한 계약상대자가 자기책임하에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결과물을 용역결과보고서 형태로 제출하는 방식 2. 공동연구형 용역 : 용역계약을 체결한 계약상대자와 발주기관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방식 3. 자문형 용역 : 용역계약을 체결한 계약상대자가 발주기관의 특정 현안에 대한 의견을 서면으로 제시하는 방식

15033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합리적 확신       Reasonable Level of Assurance     감사인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수집하여 회사의 재무제표에 전반적으로 중요한 왜곡표시가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갖게 된, 절대적이지는 않은 높은 수준의 확신을 말한다.

15034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현장 원가 관리              방위사업청과 상주업체 간에 계약을 체결한 품목에 대하여 사전 원가절감활동, 원가관련 자료수집, 구매가격 통제, 원가계산 등 생산현장의 원가관련 업무를 말한다.

15035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현장 원가 관리 업체                  「방위사업법」, 동 시행령 및 관련규정에 의한 방산업체 중 방위사업청에서 현장원가담당을 파견하여 원가관리하는 업체를 말하며, 업체에 현장 원가사무실을 개설한 업체를상주업체, 현장원가담당을 파견하였으나 업체에 현장 원가사무실을 개설하지 않고 관리하는 업체를비상주업체로 구분한다.

15036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현재 가격          Current-year Dollars        인플레이션의 영향 또는 그 해의 자동상승 또는 발행 당해연도 동안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 가격수준의 반영을 포함하는 주어진 연도의 가치이다.

15037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현재 최저 가격              입찰서 제출기간내에 제출된 입찰서 중 최저가격을 말한다.

15038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협정 가격          Stipulated Price  국제 간에 합의한 무역품의 가격 또는 판매자(동업자) 다수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체결한 가격을 말하며, 이발료, 목욕료, 교통비 등 공공 요금은 후자에 해당된다.

15039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확정 계약 및 개산 계약              1. 확정계약 : 계약을 체결하는 때에 미리 작성된 예정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계약금액을 확정하여 체결하는 계약이다. 2. 개산계약 :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미리 예정가격을 작성할 수 없어 개산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액을 계약이행중 또는 계약이행후에 확정하는 계약이다.

15040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확정 원가 심사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예정가격을 결정하기 전에 산정된 원가에 대해 관련 법규의 준수 및 적용의 적법성, 원가산정 과정의 타당성 등을 심사하는 활동을 말한다.

15041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활동 기준 원가 계산       Activity Based Costing     수익 창출 과정에서 원가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원과 활동 및 제품 사이의 인과 관계에 따라 원가를 배분함으로써 정확한 개별 제품 원가를 계산하는 원가 계산 방법이다. 이것의 목적은 정확한 원가 정보를 제공하여 제조 간접 원가에 대한 원가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가치 활동과 비가치 활동을 구분하여 비가치 활동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 ABC(Activity Based Costing)

15042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회귀 분석                    변수들간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측정된 변수들의 자료로 부터 추정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이 추정된 모형을 사용하여 필요한 예측을 하게 된다.

15043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효익 관계 기준              각 원가대상이 공통비로부터 제공받는 경제적 효익의 정도에 비례하여 공통비를 배분하는 방법을 말한다.

15044    사업/계약관리/함정         건조자 시운전    Builder’s Trial     1. 함정 건조가 완료된 후 계약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시운전으로, 승인된 건조자의시운전 계획에 따라 건조 업체(조선소/장비 제작사) 주관으로 실시하며, 건조자 정박 시운전과 건조자 항해 시운전으로 구분한다. ☞ BT(Builder’s Trial) 2. 인수 시운전 실시 전에 건조자가 제반 계약조건을 충분히 만족시켰는가를 스스로 확인하는 시운전을 말한다.

15045    사업/계약관리/함정         기본 설계 함정 건조                  함정건조기본지침서(TLR)에서 제시된 요구조건을 구체화하며, 함정의 제원 및 성능, 탑재무기체계 및 장비의 배치, 장비사양, 체계간의 연동 등을 확정하고, 상세설계 및 함건조 계약용 도면작성, 건조비 등을 산출하기 위한 설계를 말한다.

15046    사업/계약관리/획득기획    책임 인수 조건   Dependable Undertaking 신규 조달 및 용역판매와 관련된 계약금액 전부를 지불 확약하는 조건으로 계약으로 인한 모든 손실의 지불을 보증하고 취소시 조달물자의 인수책임 등 구매자가 조달에 대한 충분한 경제적 자원이 있다고 판단될 때 적용되는 조건임(일반적으로 우리나라 FMS 조건은 인도전 대금 지급[Cash prior to delivery] 조건과 함께 이 조건이 포함됨).

15047    전력지원체계/개인피복/장구         개인 장비          Individual Equipment / Personnel Equipment         사용 용도상의 개인용 장비로서 특수 피복, 개인 화기, 개인 천막 등과 같이 복무 기간 중 개인에게 지급되는 보급품을 말한다. ☞ IE(Individual Equipment), PE(Personnel Equipment)

15048    전력지원체계/개인피복/장구         아라미드 섬유    Aramid Fiber      폴리아미드(polyamide)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미드의 주쇄구조를 갖는 폴리머. 우수한 내마찰성, 탄력성 및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높은 충격강도를 갖는다.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일반적으로 나일론이란 상표명으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아라미드라는 상표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난연성 섬유직물, 타이어 코드 등의 섬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뛰어난 내열성과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다. 미국의 듀폰 사가 케블러(Kevlar)라는 상품명으로 상품화하여 고기능 제품의 재료로 잘 알려져 있다.

15049    전력지원체계/공통          국방 물자 정보 체계       Defense Material Information System        2002년 국방부 주관으로 용역 개발된 12348종 군수품에 대한 목록/규격, 소요 기준, 계획 예산, 조달 획득, 자금 관리, 재산 관리, 수불 관리, 수송 관리, 창고 안전, 검사 시험, 정비 관리, 소모 처리, 지휘 평가의 14대 업무 순환 기능별로 전산처리를 지원하는 전군 공통 적용 표준 체계이다. ☞ DMIS(Defense Material Informa-tion System)

15050    전력지원체계/공통          외장 케이블       Armored Cable   1. 내부 도체 위에 절연물을 씌우고 그 바깥쪽은 금속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레이스 또는 보호물. 나선상으로 감아서 만든 케이블을 말한다. 외장 케이블은 보통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나 계란형 또는 평형 단면인 것도 있고 외장과 도체 사이에 납의 시스(sheath)를 개재시켜 습기나 외부에서의 손상을 방지한 것도 있다. 외장에는 연피, 강대, 강선, 알루미늄피 및 황마 등을 사용한다. 2. 외상(外傷)으로부터의 보호와 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외피상에 처리를 가한 케이블을 말한다. 강대 케이블, 철선 케이블, PE 방식(防蝕) 케이블 등이 있다. 강대 케이블은 부식 방지 혼합물로 처리한 강대를 나선형으로 말아, 그 위에 황마를 감은 구조이고 보통 직매 케이블로 사용한다.

15051    전력지원체계/공통          원격조종 장치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주기 및 기타 기기를 제어 장소 등에서 원격조종하는 장치로서 기계식, 공기식, 전기식, 유압식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이 있다.☞ RCS(Remote Control System), 원격통제 장치(遠隔統制裝置)

15052    전력지원체계/공통          전력     Electric Power     단위 시간에 기기나 장치에서 발생 또는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 단위는 kW/ W가정에서 사용하는 형광등은 40W로 표시한다.

15053    전력지원체계/공통          전력 지원 체계   Force Support System     무기체계 이외의 군수품으로서 전투력 보호 장비ㆍ물자, 동력장치 등 전투수행 주체인 장병과 무기체계의 지속적인 전투력 발휘를 지원하는 장비ㆍ부품ㆍ시설ㆍ소프트웨어 등 제반요소를 통합한 것으로 분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전투력 보호 및 방호 장비ㆍ물자  2. 기동장비 및 주둔시설의 동력 장치 3. 전투지속능력 보장 장비ㆍ물자    4. 통신 및 전자 장비ㆍ물자 5. 근무지원 장비ㆍ물자             6. 의무장비ㆍ물자 7. 교육훈련용 장비ㆍ물자           8. 국방정보시스템 9. 일반시설                       10.  

15054    전력지원체계/기타          가청 신호          Audible Signal    전화의 발신자와 수신자 또는 교환을 담당하는 사람에게 접속 상태를 알리기 위한 각종 식별음, 발신음, 통화 중 음, 호출음 등이 있다. ITU-T에서 여기에 할당된 주파수는 400~450Hz이고, 그 주파수로 계속, 단속, 저주파에 의한 변조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보낸다.

15055    전력지원체계/기타          가청음   Audible Sound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 대략 주파수가 20~2만 헤르츠(Hz)이고, 음의 크기가 0~130(phon) 사이인 음을 이른다.

15056    전력지원체계/기타          간선     Communications Trunk    Trunk 스위치 프레임에 수용되는 입출 회선에 설비되어 있는 장치. 통화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감시 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화에 필요한 전류 공급, 신호 송출, 요금 산출 기구 등을 갖는다. 트렁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입중계 트렁크 : 입중계 접속 또는 경유로 기능, 주통화로 감시 기능, 2. 출중계 트렁크 : 출중계 접속 또는 경유로 기능, 주통화로 감시 기능, 3. 자국 내 트렁크 : 발호 및 피호 측의 통화 전류의 공급, 호출 신호의 송출 기능, 4. 양방향 트렁크 : 출중계 및 입중계 접속 기능을 함께 갖는 트렁크 기능, 5. 발신 레지스터 트렁크 : 가입자에게 발신음을 송출하는 기능, 6. 입중계 레지스터 트렁크 : 선택 신호 정보의 중앙 처리 장치 전송 기능, 7. 출중계 송출 트렁크 : 선택 신호를 출중계 트렁크를 경유하여 송출하는 기능, 8. 호출음 트렁크 : 호출음 송출 기능, 9. 호출 신호 트렁크 : 호출 신호 송출 기능, 10. 통화 중 음 트렁크 : 통화 중 신호음 송출 기능 등이다.

15057    전력지원체계/기타          계류장   Mooring           함정이나 항공기 등을 대어 놓는 곳을 말한다.

15058    전력지원체계/기타          광 케이블          Optical Fiber Cable         연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달리 구리가 아닌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된 섬유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빛의 형태로 변화시켜 유리도체 내로 반사시켜 전송하는 전송 매체. 석영 유리를 기본 재료로 하여 굴절률이 높은 빛의 통로 역할을 하는 코어(core),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굴절률이 낮은 클래딩(cladding)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 구조는 코어에 입사된 빛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전송 손실을 줄인다. 또한 외부 재킷(jacket)은 광섬유를 외부로부터의 파손(습기, 온도변화, 휘어짐, 충격 등)을 막기 위해서 플라스틱으로 코팅이 되어 있다. 데이터를 빛의 신호 형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다른 매체와 달리 간섭을 받지 않고 높은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체이다.

15059    전력지원체계/기타          광통신   Optical Communication    가시광선 근처 혹은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 데이터 정보, 화상 정보 및 기타의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방법. 광자 공학의 한 분야로, 현재의 유선 통신은 한 가닥에 3천 통화, 동축 케이블은 5만 회선까지 가능하나, 광섬유 케이블은 한꺼번에 200만 회선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은 물과 불에 내성(耐性)을 보이고, 도청이 어려우며 시설비도 극히 저렴한 이점이 있다.

15060    전력지원체계/기타          국방 표준 식단   Military Standard Menu   연간 장병의 급양관리 및 급식운영에 관한 목표, 방침을 설정한 것으로 이는 1종품의 보급기준 및 지구 표준식단 작성의 기준이 된다.

15061    전력지원체계/기타          군사 요구도       Military Requirement      군사적 목적에 부합될 수 있도록 수요 기관이 요구하는 군수품의 필요성, 운영 개념, 작전 운영 성능 등 제시된 제반 요건을 말한다. 통상 무기체계이외의 장비에 대하여 사용한다.

15062    전력지원체계/기타          귀금속 표시 부호           보급품의 구성 물질 중에 귀금속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를 말한다.

15063    전력지원체계/기타          대표성 품목                  선정된 기본 품목 중 동일 성질 또는 모델 등이 2개 이상인 품목일 때 그 중에서 중등품 이상의 최신 모델 또는 형태의 품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투화의 경우 다양한 규격(255, 260, 265, 270…)중에서 270㎜를 대표성 품목으로 선정하고, 침투 보호의는 1 내지 6호 중에서 4호를 대표성 품목으로 선정한다.

15064    전력지원체계/기타          도료(페인트)       Paint     도료를 포함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물질로 바탕에 도장하면 바탕 보호 및 겉모양 장식 가능, 또는 특수한 기능을 갖는 것을 말한다. 도료를 사용해서 물체의 표면에 퍼지게 하는 조작을  칠한다.’라고 말하고, 고체의 막이 생기는 과정을  건조라고 말하며, 고체의 피막을  도막이라고  한다.  유동상태란 액상,  융해성,  공기 현탁제 등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안료를 함유한 도료를  페인트’라고 말하는 수도 있다.

15065    전력지원체계/기타          도파관   Waveguide        전송로로 사용되는 도체로 만든, 속이 빈 도관(導管). 마이크로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1GHz 이상)의 전기 에너지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의 일종인데, 구리 등의 전기 도체로 된 관 내부를 전자기파가 지나가게 한 것이다. 일종의 고역 필터 성질이 있으며, 차단 파장보다도 긴 파장의 전파는 전할 수 없다. 또 도파관의 축을 따라 전하는 파동의 파장은 관내 파장이라 불리며, 여진 파장(勵振波長)보다도 길다.

15066    전력지원체계/기타          동시 생산 부호   Concurrent Production Code       분석 대상 품목에 대한 불출/측정 단가 또는 로트 수량이 무기체계/완제품 생산과 동시에 예비 품목을 생산할 경우에 근거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부호를 말한다.

15067    전력지원체계/기타          동축 케이블       Coaxial Cable     연선에서의 문제점인 외부 간섭에 대한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라고 하는 두개의 도체와 이들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 그리고 플라스틱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블. 내부 도체는 연선에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딱딱한 구리 선으로 되어 있으며, 절연체는 신호의 교란 방지를 위해서 폴리에틸렌으로 되어 있다. 외부 도체는 인접한 회선과의 차폐를 목적으로 하는 그물 모양의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망으로 구성되며 비교적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15068    전력지원체계/기타          등화기   Equalizer          신호의 증폭이나 전송 과정에서 생기는 변형을 보정(補正)하기 위하여 증폭이나 전송로에 끼우고, 그 특성을 종합하여 균일화하는 기능을 갖게 한 장치. 저항, 축전기, 한류 코일(寒流coil) 따위를 적절히 짜 맞추어 만든다.

15069    전력지원체계/기타          라우터   Router  서로 다른 근거리 통신망(LAN)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 간에 패킷을 중계하는 제3계층 장비. 서로 다른 주소 그룹을 사용하는 통신망과 통신망을 연결하여 IP 주소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15070    전력지원체계/기타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RAM이란 신뢰도 (Reliability), 가용도(Availability), 정비도(Maintainability)의 약어로써, 무기체계의 소요제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수명주기까지 목표값 설정 및 할당, 설계지원 및 평가, 설계개선 및 방안도출, 군수지원분석(LSA), 종합군수지원(ILS) 요소개발 및 야전운용제원 수집 분석 등의 임무를 지원하는 체계공학 업무로서 장비가동률과 전투준비태세 향상 및 총수명주기비용 절감의 핵심성능지표(KPP:Key Performance Parameter)이다. 이에 추가하여 안전성(Safety), 내구도(Durability)를 포함하여 RAM-S 또는 RAM-D라고도 한다.  1. 신뢰도 : 어떤 체계가 주어진 조건하에서 일정기간 동안 고장 없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확률로서 고장빈도와 관련된 요소이다. 2. 가용도 : 어떤 체계가 고장수리를 거쳐 임의의 시점에서 가동상태에 있는 확률로서 신뢰도와 정비도에 의해 결정되며, 어떤 장비가 불시에 임무를 받았을 때 가용될 수 있는 정도이다. 3. 정비도 : 규정된 절차에 따라 정비를 실시할 경우 지정된 기간내 어떤 체계가 요구된 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확률로서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이다.

15071    전력지원체계/기타          램 분석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alysis         1. 연구개발 단계부터 어떤 시스템에 대한 RAM(신뢰도, 가용도, 정비도)을 분석하는 활동. RAM 분석을 통해 장비의 설계를 지원하여 군수 지원 소요를 확인하여 식별하게 해 준다. ☞ RAM Analysis(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alysis) 2. 어떤 체계의 신뢰도, 가용도, 정비도에 있어서 고장빈도, 정비업무량 및 전투준비태세 등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활용되며 연구개발 시부터 폐기 시까지 분석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RAM 분석을 통해 장비의 설계를 지원하여 군수지원소요를 확인하여 식별하게 해준다.

15072    전력지원체계/기타          로크레마틱스      Rhochrematics    원재료에서 최종 제품이 소비자에게 넘겨질 때까지 태널을 합리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효율을 최대로 하려는 모든 조치. 원재료의 조달, 반제품과 제품의 제조, 제품의 판매 등 일련의 기업 활동 중에서 물자의 흐름을 일관하여 종합 관리하는 경영 기술을 표현할 때 쓰이는 용어이다. 한편 물적 유통 관리와 상통하는 말이며 물적 유통에 관한 여러 가지 업무를 종합적으로 통제 관리하는 것 또는 그 기술을 말한다.

15073    전력지원체계/기타          로터     Rotor    회전자. 발전기, 전동기, 터빈, 수차 등 회전 기계에서 회전하는 부분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말한다.

15074    전력지원체계/기타          롤러 코터 도장   Roller Coater Coating      여러 개의 롤러를 조합하여 회전시키면서 도료를 롤러에 공급시키고 롤러 사이에 피도물을 통과시켜 도장하는 것을 말한다.  인쇄용 롤러와 같은 방식으로 평편하고 넓은 면을 도장하는데 적합하여 합판,  플라스틱판,  동판,  종이 등의 표면을 고속으로 연속 도장하는데 적합하다.

15075    전력지원체계/기타          마모 고장          Wearout Failure  1. 무기체계, 장비, 부품 등이 피로  마모  노화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장으로, 고장률의 분포가 증가상태에서 발생한다. 2. 기계적, 화학적, 전기적 기능 저하의 결과 발생하는 고장. 제품을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마모나 노후화로 인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제품이 고장 나는 현상이다.

15076    전력지원체계/기타          마모율   Attrition Rate     일정 기간 동안에 있어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병력 및 비소모품의 손실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15077    전력지원체계/기타          마이카 도료       MICA Paint        메탈릭 도료의 알루미늄 대신에 티타나이즈드 마이카 안료가 함유된 것으로 이 안료의 특성은 진주광택 빛을 발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Pearl  입자의 특징은 알루미늄 입자와 달리 반사와 흡수를 동시에 시키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틀려지는 화려한 도료이다.

15078    전력지원체계/기타          마찰 저항          Frictional Resistance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마찰 변형력들을 모두 합한 힘으로 나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는 유체의 점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 값이 작은 유체일수록 더 많은 유체를 좀 더 쉽게 전송할 수 있다.

15079    전력지원체계/기타          망실     Loss     1. 자산이 횡령, 도난, 분실 등의 사유로 그 관리 또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점유가 이탈된 것을 말한다. 2. 군수품이 정상적인 기록 계정상에는 있으나 현품(現品)이 없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물품의 실질적인 이탈(離脫)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물품 관리 기관(물품 관리관, 물품 출납공무원, 물품 운용관) 및 물품 사용자가 타의(他意)에 의하여 소유권이나 점유권을 상실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당해 물품이 현존(現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배 범위를 이탈하였으면 망실이라고 말한다.

15080    전력지원체계/기타          모델번호(형식번호)         Model Number   군수품(상용품 또는 해외도입품 포함)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한 영문자+숫자로 된 것을 말하며, 무기체계의 경우 고유명칭에 해당한다.  사례) K2  형상통제의 수단을 제공하고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군수품의 품명에 부가하여 부여된 번호로 알파벳과 숫자를 합하여 사용한다.

15081    전력지원체계/기타          목록     Catalog, Category, Inventory        1. 군수품에 대한 제원 및 자료 등을 일정한 형식과 체계에 따라 일목 요연하게 나열한 일람표로 재고번호에 원자재, 품명, 형상현황 체계를 유지한다. 2. 군수품에 대한 목록 관련 자료로서 목록화를 통하여 생산된 각종 자료를 말한다.

15082    전력지원체계/기타          목록 데이터베이스          Catalog List Data Base    군이 필요로 하는 물자에 대한 제원 및 자료를 일정한 형식과 체계에 따라 일목 요연하게 나열한 일람표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15083    전력지원체계/기타          목록 자료          Library  군수품에 대한 목록 관련 자료로서 목록화를 통해서 생산되는 각종 자료 (식별자료, 참조자료, 관리자료, 특성자료 등)를 말한다.

15084    전력지원체계/기타          목재용 도료의 종류                   1. 일반목재용 상도용 하도용(래커계 제외) : 일반목재에 도장되며,  에폭시/아크릴/우레탄/알키드 수지를 사용하여 목재로부터 송지 차단,  부착성 향상, 샌딩성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는 자연건조형 도료. 2. 일반목재용 상도용 하도용(래커계) : 일반목재에 도장되며 목재로부터 송지차단,  부착성 향상,  샌딩성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는 자연건조형 래커계 도료.

15085    전력지원체계/기타          무선 인식 주파수용 칩과 안테나    RFID Chip And Antenna  사물에 부착되어 사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칩과 안테나로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15086    전력지원체계/기타          무정전 전원장치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전원 차단 시 자동으로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 이를 통해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15087    전력지원체계/기타          무힌지 로터 허브 Hingeless Rotorhub        일반적인 관절형 로터 허브의 경우 블레이드의 페더링, 플래핑, 리드-래그 운동을 위한 각각의 힌지가 존재한다. 무힌지 형태의 로터 허브는 플래핑 힌지와 리드-래그 힌지가 없는 형태로서 완전한 무힌지는 아님. 제거된 플래핑 및 리그-힌지는 구성품의 탄성변형을 통해 그 역할을 대신한다.

15088    전력지원체계/기타          묶음단위           Pack     몇 개의 작은 필드들을 1개의 큰 필드로 조합하거나 통합하는 단위를 말한다.

15089    전력지원체계/기타          문서 가용성 부호           품목에 대한 기술자료의 형태 및 가용성 정보를 나타내는 부호를 말한다.

15090    전력지원체계/기타          물품 번호                    창안품에 대해 식별, 분류, 자산 관리 및 유지를 위해 군수사령부에서 부여한 번호를 말한다.

15091    전력지원체계/기타          밀폐식 환경장치            우주선 안에서 목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든 환경 장치. 이산화탄소, 요소 따위의 배출 물질을 산소, , 식료품으로 재생할 수 있다.

15092    전력지원체계/기타          반출 능력          Clearance Capacity         가용한 내륙 교통 수단으로 해안이나 항구로부터 1일 간에 내륙으로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을 적재톤 또는 중량톤의 단위로 표시한 능력판단. 내륙 교통 수단으로는 도로, 철도 및 내륙 수로가 포함되며, 이 능력 판단은 그 지역 내에 있는 수송 시설의 구체적인 특성 평가에 기초를 둔다.

15093    전력지원체계/기타          방청 도료          Rust Resisting Paint        각종 금속,  특히 철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료이다.  공기,  ,  이산화탄소 등과 금속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또 화학적으로 녹의 발생을 막는 두 가지 작용을 해야 한다.  초벌칠용은 바탕금속에 대한 부착력이 특히 강해야 하며,  덧칠용은 특히 도막이 공기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고 흡수성이 좋으며,  균열이 잘 생기지 않고 내후성과 내구력이 커야 한다.  유성 페인트가 주가 되며,  광명단 페인트가 널리 사용된다.

15094    전력지원체계/기타          백분위수           Pencentile         규정된 최대 수리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보수정비 활동의 백분율을 말한다.

15095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강 정비지원               상급 정비 지원 부대인 창정비 부대가 야전 정비 부대에 부족한 정비 지원 능력을 보강해 주고, 야전 정비 부대인 군지사의 정비 중대가 사단 정비 부대에 부족한 정비 지원 능력을 보강해 주는 지원 제도를 보강 정비 지원이라 한다.

15096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     Supply   군 임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재화를 사용 부대에 공급하여 주는 일체의 행위를 뜻하며, 군수물자의 소요 판단, 획득, 저장 및 분배, 처리에 관한 모든 업무를 말한다.

15097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 계약 관리 부호       Provisioning Contract Control Number      여러 형상/모델들을 가질 수 있는 완제품/구성품의 집단이나, 특정계약을 식별하기 위해 관련 정부 기관에 의해 부여된 번호를 말한다.

15098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 대기 불가동 Not Operationally Ready For Supply         장비가 부속품의 결여로 인하여 임무 수행에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15099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 문서 선정부호         Supply Document Select Sign       분석 대상품목이 수록될 해당 보급 기술문서 목록을 식별하는 부호로서, 품목이 적용되는 대상목록에는 ‘Y’,또는공란으로 기입한다.

15100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거래 기록대장          Supply Transaction Register         편성 부대에서 청구, 불출, 반납, 관리 전환 등 모든 거래 내용을 기록하고 통제하며 자금 계정을 통합한 문서로서 2년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보급 거래 기록 대장을 재산 소모품, 수리부속품별로 구분하지 않고 편성 부대와 각 기능별로 통합 유지하게 되므로 자대 실정에 맞도록 거래 번호를 사전에 설정해야 한다.

15101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소 인가 저장 및 선정 품목철   Depot Authorized Stockage Item File & Shop Store Item     보급소 인가 저장 품목 및 정비 지원 부대 선정 품목 관리와 저장 수준 미달 품목의 자동 보충 보급의 기준이 되는 자료철이며, 품목 선정은 해당 보급소 및 정비 지원 부대의 요청에 의거 군수 지원단에서 선정하고 재고보충 방법은 컴퓨터 계산에 의거 자동으로 보충한다. ☞ D-ASIF & SSI(Depot Authorized Stockage Item File & Shop Store Item)

15102    전력지원체계/기타          보급원 부호       Supply Source Sign        품목의 청구시 보급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을 말한다.

15103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유 재고          Retention Stocks 보유 수준 이하의 경제적 보유 재고량을 말하며, 인가된 저장 목표(SO)량을 초과하는 흑자 보급품을 말한다. 여기에는 현존 보유 중인 사용 가능 및 불가능 물자가 포함된다.

15104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장성 품목       Insurance Type Item       1. 1회 이상 소요가 예상되지는 않으나 예기치 않은 소요 발생시 체계 운용이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품목이다. 2. 일정한 기간 내에 변질되면 제조회사에서 책임지는 품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라면은 하자기간이 3개월, 전투식량은 1년일 때 그 기간 전에 변질이 되면 제조회사에서 교환해 주도록 품질을 보장하는 품목이다.

15105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정 계수          Conversion Factor          체계/장비의 연간 운용 소요를 분석 대상 품목의 연간 운용 소요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계수를 말한다.(소수점 표시부호) 계수는 분석 대상 품목의 사용율(주기, 마일, , 시간 또는 기타 적절한 측정 단위로 표시)을 체계/장비의 사용률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15106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충 보급          Method Of Resupply       인가된 보급 수준 또는 보급 기준의 소모분에 대한 보급을 말한다.

15107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충 불출          Replacement Issue         인가 문서에 규정된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 보급된 장비를 대치하는 사용부대에 대한 불출량을 말한다. 이러한 불출은 경제적인 수리를 할 수 없는 마모, 유기, 파손, 적 활동 및 도난으로 인한 손실의 보충이다.

15108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충 소요          Replacement Requirement           작전 기간 중 소모 및 피해량을 보충하기 위해 차후 재보급이 요구되는 소요로 소모 보충 소요와 피해 보충 소요로 구분한다.

15109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충 청구          Replacement Demand     과거에 수령한 경험이 있는 품목으로서 인가량의 보충을 목적으로 청구하는 것을 말한다. 즉 영수증철, 총배당량 또는 현행 운영 배당량에 부족되는 수량이나 재산 대장과 비교하여 부족한 수량 그리고 손망실로 인한 부족 수량, 규정 휴대량 청구를 말한다.

15110    전력지원체계/기타          보충율   Supplementary Rate       일정한 기간 내에 보유중인 장비가 사용 불가능하게 되었거나, 전투 피해, 포기 기타로 인해 동원으로 보충되어야 할 장비의 월간 평균 수요량을 말한다. 소모 및 보충률은 전ㆍ평시 보충 소요량의 산정 지침으로 사용되며, 전ㆍ평시로 구분하여 보급 회보(SB)에 수록한다.

15111    전력지원체계/기타          보통 분해          Field Strip         일반 병사가 병기를 손질하기 위하여 간단한 부품에 대하여 행하는 분해를 말한다.

15112    전력지원체계/기타          보호 장치          Protective Device 전기 기기에 대한 접속 도선을 거쳐서 외부로부터의 이상 상태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또는 전기 기기의 내부에 있어서의 자기 손상 또는 외부와의 접속 도선을 거쳐서 외부의 전기 기기에 손상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회로 내에 설치되는 장치를 말한다.

15113    전력지원체계/기타          복구     Recovery          이전 모양으로 회복하거나 이전과 같이 고침을 뜻한다. 파손된 물자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취해지는 조치를 말한다.

15114    전력지원체계/기타          복구 가능품       Recoverable Item 수리부속 중에서 수리 또는 재생 가능한 주요 구성품 및 결합체로써 재생 가능 품목 또는 복구성 품목이라고도 한다.

15115    전력지원체계/기타          복구성 부호       Recoverability Code        사용 불가능한 품목들에 대한 처리 행동을 지시하기 위해 지원 품목에 표시되며, 근원, 정비 및 복구성 부호(SMR) 양식의 다섯째 자리에 위치한다. (Z: 수리 불가능한 품목, 세 번째 위치에 지시된 정비 계단에서 폐기 처분, O: 부대 정비 계단에서 폐기 처분, F: 직접 지원 정비 계단에서 폐기 처분, H: 일반 지원 정비 계단에서 폐기 처분, D: 수리 가능 품목이며, 하급 정비 계단에서 수리 능력이 미치지 못할 때는 창으로 후송).

15116    전력지원체계/기타          복구성 품목       Repairable Item  통상적인 수리절차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상태로 복구가 가능한 내구재 품목이다. 경제적, 공학적으로 수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품목으로 재생가능품이라고도 한다.

15117    전력지원체계/기타          복잡 정밀 품목              제품의 형상이 복잡 정밀하며 제품 자체로 단독 성능을 발휘하는 품목을 말한다.

15118    전력지원체계/기타          복잡 품목                    제품의 품질 특성상 완성품으로서는 품질을 판정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품질 적합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품목을 말한다.

15119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대 수리부속품  Oranization Repair Parts  부대 자체가 사용하기 위하여 그 부대에 인가된 수리부속품을 말한다. 부대 수리 품목은 분배 목적을 위한 저장 수리부속품과 대응하는 용어이다.

15120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대 정비          Organizational Maintenance        1. 편성장비표 또는 배당표에 인가된 공구,수리부속품을 사용하여 운용부대 정비병이 수행하는 정비이다.부대정비 계단의 능력은 보통 주기적인 장비의 점검,고장을 확인하기 위한 조치 및 주요 품목의 제거/교환 등으로 제한된다. ,정비수준은 공구,시험장비 및 훈련된 인원에 의해 임무수행 가능여부를 점검하는 일일점검,고장 품목의 제거,교환 등과 같은 낮은 수준이다. 2. 장비를 운영하는 부대에서 지휘관 책임 하에 편제 인원과 공구를 사용하여 점검, 주유, 조정, 수리, 시험 및 결합체 교환 등 장비 사용자 및 부대 정비 요원이 실시하는 정비. 사용자 정비(1계단), 정비병 정비(2단계)로 구분한다. ☞ OM(Organizational Maintenance), 자대 정비(自隊整備)

15121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분 조립생산    Semi-completely Knock Down       부품을 제외한 일부 구성품이나 결합체가 조립된 상태로 포장되어 선적, 운반되어 현지 공장에서 전체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세미 녹다운이라고도 한다. ☞ SKD(Semi-completely Knock Down), 세미 녹다운(Semi Knock Down)

15122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분급   Partial Payment   공사, 제조 및 물품 구입 등의 계약에서 그 목적물의 완성 전 또는 완납 전에 그 대금의 일부를 지급하기로 약정한 경우 그 기성 부분과 기납 부분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것이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있어서 그 대가의 지급 시기는 계약의 이행이 완료되어 검사 조서를 작성한 후에 지급하여야 하나 예외적으로 공사나 제조 등의 도급 계약과 물품의 구입 계약에 있어서는 특약에 의하여 부분급을 할 때에는 필요한 검사를 하여 검사 조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부분급의 한도액은 공사나 제조에 있어서는 기성 부분 또는 기납 부분의 댓가의 10분의 9, 물품의 구입에 있어서는 기납 부분 댓가를 초과할 수 없다.

15123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분품   Part      1.한 개의 품목이 그 이상 분해될 수 없거나 또는 그 품목을 더 이상 분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최소단위 품목을 말한다. 볼트, 너트, 와셔, 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2. 파괴하거나 본래의 사용가치를 감소시키지 않고서는 보통 분해할 수 없는 낱개 물품. 한 개의 품목이 그 이상 분해될 수 없는 최소 단위 품목을 말한다. 볼트, 너트, 와셔, 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15124    전력지원체계/기타          부분품 도해서    Illustrated Parts Breakdown         부분품을 상세히 도식화하여 설명한 것을 말한다. 부분품 도해서는 각 부속품의 부분품 번호, 장착수량, SMR 코드 등이 표시되어 있어 각 부속품의 상호 조립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수리부속을 신청하기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공군의 경우, ‘부분품도해명세서라는 기술교범으로 항공기, 기관 및 보기류의 구성품을 상세히 도식화하여 설명함으로써 각 부분품의 신청, 분해, 조립, 식별을 위하여 부분품번호(P/N), 장착수량, SMR코드 등이 표시되어 있어 각 부분품의 상호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항공기상의 부분품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수리부속을 신청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항공기 기종별로는 해당 기종의 TO-4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15125    전력지원체계/기타          부산물   By Product        제품의 제조·가공·수리·판매나 에너지의 공급 또는 토목·건축 공사에서 부수적으로 생겨난 물건. 주산물(Main Product)의 제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파생되는 부가적 물품으로 매각 가치 또는 이용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생산 기술상 동일한 원재료에서 일종 이상의 제품이 생산되고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제품을 주산물이라고 하고, 중요도가 낮은 것을 부산물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석탄 가스를 생산할 때 산출되는 코크스와 콜타르 등이 이에 해당된다.

15126    전력지원체계/기타          부품 계측기법    Measure Analysis, Parts Measure Analysis  부품수를 이용한 신뢰도 예측으로 초기 상세 설계 단계에서 행하여지며, 설계에 이용되는 부품 형태별 부품의 개수가 명확하게 확정되어 이후 개발이나 양산 단계에서 전체적인 설계 변경이 요구되지 않을 때 이용된다. 부품 계측 기법은 부품의 일반적 형태, 수량, 품질 수준, 운용 환경 등의 세부 부품 정보가 필요하다. 부품수를 이용한 신뢰도 예측 계측 기법과 동일한 개념이다.

15127    전력지원체계/기타          부품 단위 소요량           소요단량에 손실을 포함한 부품 단위소요량으로서 중량 및 크기 개념으로 정의한다.

15128    전력지원체계/기타          부품 부하 분석기법         Parts Stress Analysis       부품의 고장률은 해당 부품의 강도와 부품이 받는 부하에 따라 달라진다. 부하 분석 기법은 상세 설계 단계에서 신뢰성 예측을 위해 적용이 가능하며 각 부품이 받는 부하에 따라 고장률을 달리 적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부품 계측 기법과 같다. ☞ PSA(Parts Stress Analysis), PSA (Psa)

15129    전력지원체계/기타          분산 데이터베이스          Distributed Database, Distributed Information Database           1.기술 및 무기체계 정보관리기관이 독립적으로 자체기관에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ata Base)화한 것을 말한다. 2.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된 가용한 모든 전장 정보를 동시에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 DDB(Distributed Database), DID(Distributed Information Database), 분산 정보 데이터 베이스(分散情報 Database)

15130    전력지원체계/기타          분체 도료          Powder Paint     유기용제 및 물을 사용하지 않은 불휘발분  100%의 분말상태의 도료로서 정전 스프레이,  용사 또는 유동 침적법에 의해 피도물에 도장한 다음 이를 가열 건조시켜 도료를 융용,  유동,  경화시켜 연속 도막을 형성시키는 도료이다.

15131    전력지원체계/기타          분해 수리          Overhaul          기계류를 완전히 분해하여 점검, 수리, 조정하는 일이다. 특히 비행기나 자동차의 엔진·변속기 등의 중요 부분을 세밀히 점검하고, 부품이 손상된 것이 있을 경우에 많이 쓰인다. 관련기술 발간물(창정비 작업요구서, 기술교범)에 명시된 정비기준에 의거 정비허용 한계까지 완전분해, 검사, 교환 또는 수리를 통하여 구성품을 사용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키는 정비행위이다.

15132    전력지원체계/기타          불량품   Defective / Discrepant     계약서 상에 명시된 규격 및 품질 요구 조건과 상이한 품목을 말하며, 납품 업체에서 완전 포장 상태 하에 납품한 군수품의 과부족, 파손품, 이종품 기능 및 상태 불량시나 사용 부서 및 군수품 관리 부서에서 군수품의 품질 특성, 재질, 시험 방법, 등급, 용도의 적합성 등 보장도가 계약서상에 규정된 규격서의 기준치 미달로 판정된 것 등이다.

15133    전력지원체계/기타          불소수지 도료    Fluorocarbon Resin Coatings       불소수지는  C-C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결합인데 폴리올레핀의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원자로 대치된 구조를 가진 합성수지이다.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  8종류의 불소(Fluorine)  수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70%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TFE)이 대표적이다.  불소수지는 실리콘 수지 이상으로 불활성,  안정하기 때문에 그 특성을 이용한 각종의 특수 기능성 코팅재가 개발되어 있다.

15134    전력지원체계/기타          불용품   Unused Item      사용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군수품(불용품)과 장래의 수요를 초과하는 재고가 있는 군수품 중 관리전환에 의하여 적절한 처분을 할 수 없는 군수품 또는 사용할 수 없거나 가치가 없는 군수품을 말하며 잉여품, 불요품, 초과품, 사용불능품 등이 있다.

15135    전력지원체계/기타          불출 및 영수증   Issue and Receipt          편성 부대에서 재산 대장을 유지하지 않는 소모품을 단위 부대로 불출시 사용하는 거래문서이며, 단위 부대의 소모품은 업무 일지에 기록 유지한다.(취사장 운영 부대는 1종 재산 대장 유지) 편성 부대와 거래하는 시설 부대에서도 1종 주부식을 편성 부대로 불출할 때 사용하게 되며, 불출 후 편성 부대 실재고량을 다음 불출시에 계속 정확하게 이월시켜 사용해야 하고, 품목별 기준수가 상이할 때는 불출 및 영수증상의 비고란에 기준수를 기록유지하고 종별 활용 분야별로 작성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성한 불출 및 영수증은 지휘관의 결재를 득한 후 분배되어야 한다.

15136    전력지원체계/기타          비대칭 키 알고리듬         Asymetric Key Algorithm  암호화 및 복호화 시 각기 다른 두 가지 키가 필요한 암호 알고리듬. 두 가지 키를 일반적으로 공개 키(public key)와 개인 키(private key)라고 하는데, 비대칭 알고리듬을 공개키 알고리듬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비대칭 키 알고리듬은 세션 키를 교환하거나 메시지나 문서를 전자적으로 서명하는 데 사용된다. 비대칭 알고리듬은 대칭 알고리듬에 비해 속도가 느리며, 암호화 속도와 복호화 속도가 서로 차이가 날 수 있다.

15137    전력지원체계/기타          비메모리 반도체  Non-Memory Semiconductor       연산, 논리작업 등과 같은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반도체로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구별된다. 인텔의 펜티엄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대표적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15138    전력지원체계/기타          비무기체계        Non-Weapon System      전력지원 체계

15139    전력지원체계/기타          비밀 통신기술    Clandestine Communication Technique      최대한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의사 전달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면접 및 문서 등을 이용한 통신 수단으로 비전자 통신이 주로 활용된다.

15140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상 보유재고    Contingency Retention Stock       1. 예상할 수 있는 요구 또는 정량화 가능한 필요조건이 없는 승인된 유지 레벨에의 아이템의 양의 재고를 말한다. 2. 흑자보급 품목량의 일부분으로 계획소요가 없고 통상 과잉저장량으로 고려되거나 예상되는 군사상 또는 국방상 우발적인 비상사태에 대비하기로 결정된 재고를 말하며, 비상 보유재고로 저장한 품목은 경제적 보유재고로는 보유할 수 없다. ☞ 경제적 보유재고 ☞ CRS(Contingency Retention Stock)

15141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상 식량          Emergency Ration          전투 상황 하에서 통상적인 보급 원천이 두절되어 있을 때 부대나 개인이 임시적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형태의 식량 또는 예비 식량을 말한다.

15142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소모성 품목    Non Expendable 소모성 품목으로 분류된 품목을 제외한 전 품목을 말하며, 각종 장비류나 기계 공구와 같이 사용 중 소모되지 않으며 사용기간 중에 통상 그 원상을 계속 보유하게 되는 물품이다. ☞ NX(NonExpendable), 비소모품(非消耗品)

15143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순환 수요       Nonrecurring Demand     1. 수요에 근거한 요구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닌 고객으로부터 일회성 청구. 2.  장차 12개월 기간(통제 기간)중 동일 목적의 수요가 반복될 것으로 예측되지 않는일시적인 수요 또는 불출을 말하며 전투 예비 지원 품목 및 계획 지원 품목 중 투자비 또는 특수 자금에 의한 조달 품목이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면 비상 소요, 창설 소요 계획 소요 등의 초도 소요, 보급 추진 계통의 증가 소요, 특수 사업 소요 그리고 장차 예측되지 않는 완제품 재생을 위한 보급창 정비 소요 등이 이에 속한다. ☞ NRD(Nonrecurring Demand)

15144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인가 저장 품목 Nonauthorized Stockage List       기준 수요 빈도에 미달되는 품목으로 보급 부대 및 보급창에서 재고 수준으로 보유하지 않는 품목을 말한다.

15145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정상 마모       Unusual Attrition           장비 및 물자를 사용(조작)중에 부주의나 사용 방법, 규정의 미준수로 인해 비정상적인 상태로서 장비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수리 및 복구시키는데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비정상 마모품이 발생 시는 손망실 처리 규정에 의거 변상을 실시한다. ☞ UA(Unusual Attrition)

15146    전력지원체계/기타          비지속성 가스    Nonpersistent Gas         살포된 가스가 통상 10분간 또는 그 이하로 유효한 전쟁용 가스를 말한다.

15147    전력지원체계/기타          비표준 장비       Nonstandard Equipment  장비의 설계 및 제작에 있어 표준화된 기존의 장비와는 달리 독자적인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장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한국상황에 맞게 독자적으로 소요를 제기하여 제작한 정보수집장비 등을 비표준장비라 할 수 있다. 작전요구성능을 충족할 수 없고 경제적으로 부적합한 장비로서 도태계획에 의거 처리해야 할 장비를 말한다. 도태계획에 포함할 장비는 비표준장비로 선행 분류한다. 완제품 및 부품의 조달이 불가능하고 부속품의 동류전용으로만 유지되는 장비를 비표준장비라 말한다.

15148    전력지원체계/기타          비품     Fixture  회사나 관청사무실 등에서 일정한 장소에 늘 갖추어 두고 쓰는 물건을 뜻하며, 다른 의미로는 소모되지 않는 성질의 물품으로서 소모품보다 가격이 더 비싸고 또 용도상의 중요성도 더 크고 교체시기를 예지할 수 있는 물품을 지칭하며, 경쟁 비품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비교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물품 또는 소모품이라 하더라도 표본이나 진열품으로 보관되는 물품을 말한다.

15149    전력지원체계/기타          비행 기록 장치   Flight Data Recorder       비행기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비행할 때 있었던 주요 사항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장치. 사고가 난 비행기의 비행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는 비행 고도, 대기 속도, 기수 방위, 수직 가속도, 시간 다섯 가지이다. 이 자료들은 얇은 스테인리스 테이프에 다이아몬드 바늘로 새기며, 비행할 때 비행 고도, 대기 속도, 기수 방위는 초마다 1, 수직 가속도는 초마다 10회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라 하며 비행 기록 장치와 조종사 음성 기록 장치(CVR, cockpit voice recorder) 두 개로 나누어져 있다. 

15150    전력지원체계/기타          비행 전 검사      Preflight Inspection        비행 중 구성품이나 계통의 심각한 결함이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비행 전에 수행되는 항공기 검사 및 시험, 작동 점검 행위를 말한다. ☞ PR(Preflight Inspection)

15151    전력지원체계/기타          사격호   Fire Bay 적의 총격을 피하면서 사격할 수 있도록 판 참호(塹壕)를 말한다.

15152    전력지원체계/기타          사계 청소          Clear Field of Fire          사계를 양호하게 하여 효과적인 사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격 진지 전면의 방해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15153    전력지원체계/기타          사용자 시험       User Test          어떤 품목이 군사적 용도에 적합한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 기관이 실시하는 시험이다. ☞ UT(User Test)

15154    전력지원체계/기타          사용자 정비       User Maintenance          1. 운용병 승무원에 의해 실시되며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지 않는 조정이나 소모성 품목의 교환,기본불출품목이나 추가인가품목으로 수리할 수 있는 정비를 말한다.부대정비공구나 지원장비가 필요하지 않는 단순 정비이다. 2.  장비를 운전 또는 사용하는 자에 의해서 수행되는 정비이며 장비 사용 전, 장비 사용 중, 장비 사용 후 실시하며, 손질, 주유, 조정 등으로 장비 기능을 회복시키는 정비이다.

15155    전력지원체계/기타          사전 배치 장비              전시에 전방으로 투입되도록 계획된 부대의 초도 배당량을 평시에 해당지역에 사전 배치해둔 장비를 말한다. 평시에는 후방에 있으면서 임무를 수행하다가 전시에는 전방으로 투입되도록 계획된 부대의 장비는 현재 후방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부대가 전시에 전방으로 투입되려면 많은 장비를 휴대하고 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될 것이며, 또한 교통에도 많은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중장비의 경우 해부대용 인가장비를 평시에 사전배치할 필요가 있다. 평시에 후방에서 운용하던 장비를 현지에 남겨두고 병력만 이동하여 사전배치 장비를 지급받게 되며, 후방에 장치된 장비는 후방지역 부대의 부속 소요를 보충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전투손실을 보충하는데 활용하게 된다.

15156    전력지원체계/기타          사전 배치 전쟁예비물자              수준 보충용 발송보급품이 도착할 때까지 어떤 특수시험 또는 계획된 군사작전을 적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전략계획에 의하여 적대행위(교전) 개시 전에 사용 장소 또는 근접지역에 배치 완료되거나 사용자에게 직접 불출해야 할 전쟁예비물자의 일부분을 말한다.

15157    전력지원체계/기타          상비품   Reserve Supplies 상비란 늘 갖추어 둠을 뜻하며, 상비품이란 유사시에 대비하여 항시 저장하여 두는 보급품을 말한다.

15158    전력지원체계/기타          상용 품목          Commercial-Type Items    1. 민수용으로 생산 유통되고 있는 품목을 군에서 군수품으로 채택 사용하는 품목을 말한다. 상용 품목으로 지정된 품목은 완제품 및 부분품의 정상 소요를 반영하여 조달할 수 있으며, 국방 규격을 제정하지 아니하고 한국 산업 규격 및 정부 관계 기관 규격 적용을 원칙으로 한다.  2. 정상적인 국제무역계통으로 수/출입되는 군사용을 포함한 민수용 제품의 품목들  (1) 민수품목을 군에서 군수품으로 채택ㆍ사용하는 품목     - 대상 : 사양서에 의한 조달이 가능하고 ILS에 문제가 없는 경우   (2) 완제품 및 수리부속품의 정상소요를 반영하여 조달 가능  (3) 상용품목은 국방규격을 제정하지 않고, KS, 정부규격, 단체규격, 업체규격 순으로 적용  (4) 군사요구도를 설정/변경시는 가능한 한 2개 이상의 다수 생산업체 제품을 참고하여 경쟁을 유도  (5) 군사요구도의 현저한 변경이 아닌 때에는 별도의 품목 지정절차를 생략 가능

15159    전력지원체계/기타          상호 인증          Cross-Certification          인증서 발급기관 상호간에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여러개의 인증 기관(CA)이 존재하는 경우 적용된다. 상호 인증을 적용할 때 다른 인증 기관이 발행한 인증서를 상호 인증서(cross certificate)라 한다. 

15160    전력지원체계/기타          생체 실험          Medical Experiment on a Living Body        전자파로 인한 생체 위해성 연구에서, 동물이나 인체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직접 전자파를 노출시켜 그 반응을 측정하는 실험을 말한다.

15161    전력지원체계/기타          생환     Come Back Alive 공중 근무 요원 및 기타 선정된 요원이 전투 지역 및 적 지역에서 작전 중 아군과 고립 차단 또는 체포되었을 때 도피, 탈출, 저항, 생존 활동을 통해서 아국 또는 우방국 지역으로 안전하게 귀환하는 것을 말한다.

15162    전력지원체계/기타          성능형 규격       Performance Specification 정식 규격의 한 종류로서 요구되는 결과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하지 않고 요구 성능, 환경조건, 연동성, 호환성 등을 명시한 규격을 말한다.

15163    전력지원체계/기타          소모성 품목       Consumable Item           1회 사용으로 소모되는 품목을 말한다. 1회 사용으로 물리적 화학적 소모가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실제에 있어서는 많기 때문에 이는 군수사의 보급방침으로 결정한다. 즉 소모성 품목은 재산의 소모삭제 권한을 편성부대장에게 주고, 비소모성 품목은 상태에 관계없이 반드시 반납하도록 되어 있으며, 소모성 품목은 다시 소모품과 수리부속품으로 구분한다. 소모성 품목의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군원품: 미 육군성 교범에 의거하여 분류하며,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품목은 표준단가 10$ 이하 품목을 소모품으로 분류한다.   국고 조달품에 대한 소모품: 군수사령관이 분류하며, 보급회보(10$ 상당) 및 교범으로 발간하여 배포한다.   당연 소모품: 상기 두 가지 경우 이외도 당연 소모품으로 분류되는 품목이 있다. 예를 들면 유류, 초자류(유리), 지류(紙類), 페인트, 연료, 절연용 테이프, , 가스, 식료품, 수입 및 보존재료, 연구발전, 생산, 시험, 실험 등의 목적으로 소요되는 품목 중 표준단가 이하의 국고 조달품 및 군원 공여품 등이 당연 소모품으로 분류되는 예이다.

15164    전력지원체계/기타          소모율   Consumption Rate         일정한 기간 동안에 소모 혹은 소비된 품목의 평균량이며, 소모 및 보충률은 보충소요량의 산정지침으로 사용되며, 전 평시로 구분하여 작성 보급회보에 수록 발간한다. 소모율은 소모품에 한해서만 적용된다.

15165    전력지원체계/기타          소자     Degaussing, Heat Cell     함정 자장을 감소시켜 자기 기뢰나 자기 어뢰로부터 함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함정 주위에 전기가 통하는 코일을 돌려 감아서 함정 자체의 자장을 감소시키는 것.

15166    전력지원체계/기타          손상     Damage 파괴 등의 충격으로 부품이 완전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 시스템의 부품 (: 하드웨어, 분배 시스템, 매질, 소프트웨어)을 파괴하거나 쓸모 없게 하기 위한 공격을 비롯하여, 고의적 또는 비고의적인 물리적, 전기적, 환경적 수단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손상을 받게 되면 서비스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15167    전력지원체계/기타          수락 검사          Acceptance Inspection    생산업체에서 생산한 탄약이나 탄약 조성품에 대해 정부기관에서 실시하는 합격검사로서, 탄약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정부 기관에서 검사 후 보증하는 제도를 말한다. 인수전 관련 서류, 칫수 및 상태 등을 확인하는 검사의 한 수단. ☞ AI(Acceptance Inspection)

15168    전력지원체계/기타          수리 가능품목    Recoverable Item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할 때, 재사용을 위해 회복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 수리가 가능한 품목. 일반적으로 수리가 가능한 품목을 말한다.

15169    전력지원체계/기타          수성 도료          Water Paint       도료를 칠하기 쉽게 하는 데 쓰는 희석용제로 물을 사용하는 도료를 총칭하여 수성 도료라고 한다.  보통 안료와 카세인(Casein) 같은 수용성  호재(糊材)의 수용액을 혼합한 도료를 일컫는다.

15170    전력지원체계/기타          아리아   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차세대 국가 암호화 알고리즘. 아리아는 전자 정부 시스템을 비롯해 앞으로 다가올 다양한 정보 보호 환경을 대비하기 위해 국가 보안 기술 연구소(NSRI) 주도로 학계, 국가 정보원 등의 암호 기술 전문가들이 개발한 국가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아리아는 민간 암호화 알고리즘 시드(SEED)와 함께 전자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용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스마트 카드 등의 초경량 환경 및 고성능 서버 환경 등에서 시드에 비하여 상대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15171    전력지원체계/기타          전용 회선          Leased Line       통신 선로를 임대받아 전용으로 사용하는 통신 회선이며, 회선을 전용으로 임대하여 사용하므로 전용 회선·전용 라인 또는 임대 라인(Leased Line)이라고도 한다.

15172    전력지원체계/기타          핫 스왑  Hot Swap         운영 중인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체의 동작에는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하는 것. 컴퓨터의 경우 동작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하드 드라이브, CD- ROM 드라이브, 전원 공급 장치 또는 기타 장비들을 교체해도 자동 인식되어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15173    전력지원체계/기타          핫 스팟  Hotspot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접근점(Access Point)이 설치된 주변 지역에서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초고속 인터넷과 각종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가능 지역이다.

15174    전력지원체계/방산운영     대체 품목          Substitute Item  표준품목 대신에 같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품목을 말한다. 주 품목대신 비슷한 성능의 품목으로 대체가능한 품목을 말한다. 호환품목은 상호교환 사용이 가능하나 대체 품목은 대체가능 우선순위가 품목표에 표시되어 있다.

15175    전력지원체계/분석평가     선박용 도료 종류           1. 선저부용 도료   (1) 선저도료 : 선저,  수선 및 외부의 방청용으로 사용된다.  이전에는 비닐계,  염화고무계가 많았으나,  현재는 콜타르 에폭시,  콜타르 우레탄 및 에폭시계가 많이 사용된다.   (2) 선저 방오도료(Conventional A/F) : 방오도료란 선체외부에 해중 생물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부착방지제(Antifoulant)를 첨가한 도료이다.  성분은 도막강도를 부여하는 바인다,  방오제의 용출을 돕는 로진과 방오제로 구성된다.   (3) 선저 방오도료(Self Polishing Copolymer-SPC A/F) :       1) 1970년대의 석유 파동으로 연료비 절약차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는 도료로 아크릴 수지와 트리부틸 주석의 코폴리마에 이산화동 등을 병용한 것이다.       2) 종래의  A/F  도료에서는 바인다가 해수에 용해하기 때문에 로진과 방오제가 방출된 후 표면이 거칠게 되어 방오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저항도 증가한다. 자기연마형 방오 도료에서는 주행 중에 점차 표면이 평활하게 되어 저항이 좋고 코폴리마 전체가 균일하게 용해하기 때문에 방오성이 계속 유지되고 우수하며 수명도 도막에 비례하여  3~5년 이상도 가능하다.      3) 연비 소비가 높은 고속선등을 중심으로 모든 선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Tin  사용 규제로 적용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Tin Free  방오 도료가 많이 개발되어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2. 수선부용 도료 : 수선부는 건습이 교대로 반복되며 내수,  내후성과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방오성도 요구된다.  사용도료는 염화고무,  비닐 및 순수 에폭시계로 나누어진다. 외현부는 에폭시,  우레탄 도료 등이 많이 사용되며 내후성이 요구될 때는 우레탄 도료가 추천된다. 3. 탱크용 도료 : Blast  탱크,  원유 및 해수 병용  Blast  탱크, Cargo  탱크 등이 있으며 각각에 적합한 도장계가 필요하며 징크 실리케이트,  순수 에폭시,  타르 에폭시 등이 주로 사용된다. 4. 갑판용 도료 : 수선부 및 외현부와 유사한 도료가 사용된다.  징크 실리케이트와 염화고무, 비닐,  에폭시의 조합이 증가하고 있다.  미끄럼 방지를 위해 모래 또는 특수한 플라스틱을 도료에 혼합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15176    전력지원체계/시설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건물에 IT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공조, 방범, 방재 같은 여러 건축 설비를 관리하는 시스템. 건물에서 쓰는 여러 가지 설비를 관리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에너지 절감과 인건비 절감은 물론 건물 수명 연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래에 있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ECBCS(Energy Conversation in Buildings and Community System)에서 표준화하고 있다. 

15177    전력지원체계/시설          건물 이력 카드   Building Record Card      각 건물별로 준공일을 기준하여 건물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상세히 작성, 기록하여 건물의 이력 내용을 표기한 것이다. 이의 기록 내용은 건물명, 구조, 규격, 준공 일자, 시공 부대, 보수 내용 등으로, 이는 보수시마다 해당 지휘관의 확인을 필하여야 한다.

15178    전력지원체계/시설          건설 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일반적 정의는 건설공사의 기획 단계부터 설계, 계약, 시공, 시공 후 단계까지 전 건설 공사 수명주기 동안의 종합적인 건설 관리 업무를 의미한다. 공정 관리, 원가 관리, 품질 관리 등은 건설 관리의 한 분야이다. ☞ CM(Construction Management)

15179    전력지원체계/시설          건설 동원          Construction Mobilization 1. 군사 작전은 물론, 기타의 전시 소요까지도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물, 토지, 중기 및 기타 건설 장비, 건설 업체 등을 사용, 통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군소요 중기는 사용 동원하고, 긴급 복구 지원에 소요되는 중기는 시·도지사가 통제 운영한다. 2.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 하에서 군사작전에 필요한 건물, 토지, 건설기계 및 정비업체, 건설업체 등을 효율적으로 동원 또는 운영하는 것이다. ☞ 동원

15180    전력지원체계/시설          격납고   Hangar  항공기 정비작업(계획, 비계획) 및 저장(보호)을 위해 기본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장소이다.

15181    전력지원체계/시설          계획 보수 공사   Scheduled Repair Work   시설물의 경제적 연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대규모 보수 공사로서 시설물 재산 가격의 20~50% 이내의 보수를 말한다. 계획 보수 공사는 시설 보수 중기 계획에 포함시키고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15182    전력지원체계/시설          기초 공사          Foundation Work          구조물의 밑바닥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 하는 공사, 즉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을 단단히 하는 공사를 말하며, 기초공사가 약할 경우에 중량이 지반을 무너뜨리거나 지반이 함몰되어 구조물이 침강하는 수가 있다. 그러므로 구조물의 기초작업은 충분히 지탱력을 갖고 침강되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15183    전력지원체계/시설          기타 공사                    대형 공사 중 대안 입찰, 일괄 입찰로 집행하지 아니하는 공사를 말한다.

15184    전력지원체계/시설          대량 유류 저장시설         Bulk Storage Tank          유류를 3,500갤런 이상 저장할 수 있는 탱크 시설을 말한다.

15185    전력지원체계/시설          대지 건물 비율   Building Coverage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백분율로서 건물의 대지 내에 보안, 위생 등에 필요한 제한을 건축법에 대지의 몇 %까지 건축해도 좋다고 규정된 율을 말한다. 건폐율의 순화어.

15186    전력지원체계/시설          도급 공사          Contract Construction     군에서 직접 시공하지 않고 민간 업자에게 도급을 주어 집행하는 공사이다.

15187    전력지원체계/시설          동산     Movable Property          토지, 건물 등 정착물 이외의 모든 유체물을 동산이라 한다. 즉 부동산 이외의 물건, 토지에 부착하고 있는 물건이라도 그 정착물이 아닌 물건( : 석탑, 가식중의 수목, 임시적인 판자집)은 동산이다. 선박은 상법에 의하여 부동산에 준한 취급을 받으며, 또 자동차와 항공기도 등록하여 저당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부동산에 준한 취급을 받는다. 동산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점에서 부동산과 다르고 양자는 관리의 득실 변경의 효력 발생 요건(동산은 인도, 부동산은 등기) 시효 취득, 선의취득, 설정되는 타물권의 종류, 거래상의 엄격성 등에 관하여 상이한 취급을 받는다. 국가의 재산 관리면에 있어서도 동산은 물품관리법과 군수품관리법에 의하여 규제되고 부동산은 국유재산법에 의하여 규제된다.

15188    전력지원체계/시설          보수 공사          Repair Work      1. 일상적인 손질로는 감당치 못할 정도로 노후 또는 손상된 시설물을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향상시켜 내용 연수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수리 또는 대체하는 시설 공사. 2. 시설물을 원상태로 유지하거나 당초의 목적대로 기능을 발휘하게 하기 위한 공사를 말하고,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대규모 보수라 함은 노후 또는 손상된 구조물의 보수, 주요 구조부(기둥, , 지붕, 내력벽)의 변형을 가하지 않는 건물의 보수 또는 설비의 교체 등을 도급공사로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2) 소규모 보수라 함은 기존 시설의 형태 변형 없이 건물이나 구조물, 설비 등의 부분적 수리를 소요자재를 구매하여 병력으로 보수하는 것을 말한다. (3) 예방유지(격별) 보수라 함은 시설 부서의 주기적인 점검 시에 발견된 결함사항을 단시간 내에 개선하여 시설물의 현상을 유지하는 간단한 보수를 말한다. (4) 전화신청 작업이라 함은 단시간 내에 보수가 가능한 시설물의 결함을 작업의뢰서에 의하지 않고 전화로 신청 받아 실시하는 보수를 말한다. (5) 자체보수라 함은 시설대대에서 소요자재를 지원하고 시설물을 사용하는 부서에서 지원된 자재를 이용하여 자체 병력으로 보수하는 것을 말한다. (6) 긴급보수라 함은 시설보수계획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천재지변이나 부대 긴급 소요 등에 의해 갑자기 실시하는 보수를 말한다.

15189    전력지원체계/시설          부대시설           Subsidiary Facilities         시설(건물)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부수 시설로써 울타리, 옹벽, 도로포장, 배수로, 맨홀, 정화조, 대문, 물탱크 등 설비 시설 이외 일체의 공작물을 말한다.

15190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건축용 도료       Architectural Coatings     건축물의 보호와 미장을 목적으로 공사현장에서 현장도장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여름철 및 겨울철에 있어서 온도,  습도 등의 자연환경 조건하에서의 건조 경화를 필요로 한다. 건축용 도료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장의 목적,  피도물의 재질 및 입지조건에 적합한 도료의 선정,  도장 방법의 선정,  경제성의 검토(재료비와 기대 내용연수)를 파악한 도장계획의 설정이 중요하다.

15191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건축용 도료의 종류         Kind of Architectural Coatings      1. 유성도료 : 대표적인 건축용 도료이나 점차 고성능 합성수지 도료로 대체되고 있으며 무공해성 측면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작업성이 좋고 도막이 한 번에 두껍게 도장되므로 흡입성이 있는 곳이나 상자 등 목재의 도장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 합성조합 도료 : 철재,  목재를 불문하고 사용되나 내알카리성은 약간 떨어지므로 새 몰탈 면이나 플라스터면에는 쓸 수 없다. 3. 에멀션 도료 : 일반적으로 물에 불용수지,  건성유 또는 바니시를 수중에 분산시킨 윤활액을 주 전색제로 하여,  여기에 안료를 혼합한 도료를 말한다. 요즘 많이 쓰이는 에멀션 도료는 거의 합성라텍스를 주전색제로 하고 있다.  에멀션 도료는 거의 유기용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안전하며 무공해이고 무취성으로 작업성이 좋다.  그래서 건축의 내벽,  외벽,  천정을 비롯하여 바닥,  목부에도 쓰이고 있다.  4. 무늬도료 : 보통 도료는 통상 단일채색으로 평평한 도면에 도장된다.  그래서 도면은 단조해 보일 수 있으며 소지,  하도에 결함이 있는 경우 눈에 띄기 쉽다. 그러나 무늬도료 칠하는 횟수를 줄여도 쉽게 얻고자하는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는 도료로 건축용 도료로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5. 방화도료 : 크게 분류하여 도막이 난연성을 나타내는 것과 가열에 의해 발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있다. 전자에 해당하는 도료는 철이나 콘크리트 등 불연성 물체에 도장하고,  후자에 해당하는 도료는 목재 등 가연성 물체에 도장한다. 방화도료는 평상시에는 일반 도료와 같은 도막 외관으로 보이지만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목재와 같은 가연성 물체가 발화점에 도달하지 못하게 또는 발화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하는 기능이 있다. 6. 상온 건조형 불소수지 도료 : 불소수지 도료는 내후성,  가공성,  내약품성이 일반적인 옥외용 도료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는 Maintenance Free  도료로서 커텐월 및  PCM(Pre-Coated Metal)  등의 분야에 응용되어 왔는데 이 불소수지는 유기용제에 거의 용해하지 않기 때문에 분산상으로 사용되어 고광택이 얻어지지 않는 점과  200℃  이상의 고온 가열 건조가  필요하여 용도가 제한되어 있었다. 최근 에스테르 및 방향족계 용제에 용해되며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상온가교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고광택을 얻을 수 있는  4불활에틸렌 공중합체가 개발되어 건축용 Maintenance Free의 초내후성 도료로서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7. 탄성 도재(塗材) : 도막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고무탄성을 보이기 때문에 벽면에 생기는 균열에 추종성을 보여 적극적인 방수기능을 가지며 더 나아가 미장성도 갖는 도료이다.

15192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건폐율   Building Coverage Ratio   대지 건물 비율

15193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관변 보급소       Pipehead Supply Point     유류품을 저장, 분배 또는 타 수송 방법에 의한 추진을 하기 위하여 송유관으로부터 받아내는 보급소로서 송유관의 하류 최종 지점에 위치한다.

15194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군용 물자 부품              방산물자로 지정받아 양산 및 배치 운용중인 장비 물자의 구성품  결합체 및 부분품과 기타 일반장비 물자의 구성품 결합체 및 부분품을 말한다.

15195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급식     Subsistences      식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의미로는 예산상 세항 중의 하나로서 병원의 기본적 식생활을 지원하는 것이며, 이는 주식, 부식, 급식 연료, 특수 식량 등을 포함한다.

15196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급식 기준          Feeding Basis     일정한 일자에 지급되는 급양 품종으로서 급양 대상 인원수에 따라 식량을 지급하게 된다.  ☞ FB(Feeding Basis)

15197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급양     Food Service / Subsistence          급식에 관한 일체의 활동. 즉 식품구매로부터 조리하여 급식에 이르기까지의 근무활동이며, 급양근무계획(給養勤務計劃)은 식품구매, 점검 또는 검열, 수송, 저장, 취급, 분배, 조리, 급식 등에 관한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계획이다.  장병의 영양 관리를 위해 운용하는 주부식의 획득, 메뉴 운용, 검사, 분배, 취사 운영, 급양 감독에 관한 제반 과정을 말한다. ☞ SUBS(Subsistence)

15198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내화 재료          Fire Resisting Materials    고온에 견디어 낸다는 뜻에서 벽돌, 블록, 콘크리트, 모래 등을 포함한 재료이다. 내화성을 가진 재료로 화재 시 조직은 변하지 않고 소정의 강도가 유지되며 타지 않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면 내화벽돌, 내화점토, 내화모르타르 등이 있다. 용도로는 도자기용, 석회, 시멘트소성, 유리제조, 보일러의 가마, 전기로 등에 쓰인다.

15199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물자 취급장비    Material Handling Equipment       물품취급장비라고도 하며 저장 및 물품취급용 장비로서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보급품을 취급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지게차, 크레인, 롤러식 운반기, 화물용 차량 등이 있다.

15200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알칼리 전지       Alkaline Battery  전해액에 수산화 칼륨(KOH) 수용액을 사용한 것으로, 양극은 수산화 제2 니켈(Ni(OH)₃)이다. 음극에는 철()의 분말을 사용한 것과 카드뮴의 분말을 사용한 것이 있으며, 전자를 에디슨 전지, 후자를 융그너 전지라 한다.

15201    전력지원체계/유지물자     제초제   Herbicide          1970년대의 산업화로 인한 농촌 노동력감소에 의하여 잡초방제를 위해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1940년 초 이사디(2,4-D) MCPA가 제초제로 개발되면서 많은 제초제가 사용되었다. 적용범위에 따라 살포된 지역의 모든 식물을 죽이는 비선택성 제초제와 특정식물종만 살상시켜서 작물재배 중 잡초를 방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선택성 제초제로 나누어진다.

15202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가열 건조형 도료 Heat and Dry-type Paint  도료를 도장 후 열을 가해서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도막이 형성되는 도료를 말한다.

15203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결합체   Assembly          장비의 수리부속품 중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품(Part)이 서로 연결되었거나 서로 관련되어 뭉쳐진 품목을 말하며, 이것은 부분품으로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뷰레터, 제네레타, 증폭기, 방아틀 뭉치, 노리쇠 뭉치 등이 결합체의 대표적인 예이다.

15204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고장 표시기       Fault Indicator    고장 또는 한계에 가까운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기나 경보등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15205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공통 장비          Common Equipment       육해공군 중 2개 군 이상이 사용하는 장비 중 3군 공통 군수지원 품목으로 선정된 장비이다. 일시적으로 특정 용도에 사용되는 장비는 공통 장비에서 제외된다.

15206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교정     Calibration        1. 정밀 측정 장비의 정밀ㆍ정확도 유지를 위해 규정된 조건하에서 표준기의 지시 값과 정밀측정 장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정밀ㆍ정확도의 변이를 확인, 보정 및 조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2. 어떤 기기나 측정 계기를 정확도가 확인된 표준 기기나 계기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의 차이를 찾아내고, 상호 비교하고, 기록하고, 그 차이를 제거하는 행위를 말한다. ☞ 검사, 검수, 시험

15207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교정 검사          Calibration Test  공급된 계량표준에 의해 정확도가 측정된 표준장비와 정밀측정장비를 비교 검사하여 정확도에 대한 변량을 조정하여 수정하기 위한 선행 활동이다.

15208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교정 주기          Calibration Interval         정밀 측정 장비에 주어진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정 검사 유효기간으로 이는 교정일로부터 차기 교정일 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15209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교체 가능 품목(구성품/모듈)분류    Line Replacement Unit / Shop Replacement Unit           대상체계를 구성하는 부분품을 장비의 계층적 구조에 따라 정비능력을 고려하여 교환 가능 수준까지 분류한다. 체계 하부의 부분품이 완제품에서 직접 탈거, 교환 가능한 경우에는 구성품(LRU)으로 그 외의 경우에는 모듈(SRU)로 분류한다.모듈로 분류된 품목의 경우에는 차상위 품목이 식별될 수 있도록 분류해야 한다.

15210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교환율   Replacement Factor        생산 완료된 완제품별로 정비제대별 정비 활동에 사용된 자재의 수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창정비 교환율 = (사용된 자재의 수량 /(창정비계획(MRS)생산대수×구성당 수량(UPA))) × 100(%).

15211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구동 장치          Drive Unit         기계나 계측기 따위의 동력 기구를 움직이는 장치를 말한다.

15212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구성 장비          Organizing Equipment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장비로서 주요구성장비와 단순구성장비로 구분한다. 주요구성장비는 무기체계의 전투력발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편성 및 운영개념, 작전운용능력(기술적 부수적 성능 제외)과 관련이 있는 장비를 말하며, 그 이외의 장비는 단순구성장비라 한다.

15213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구성품   Component       1. 두 개 이상의 결합체(assembly)가 연결 또는 결합되어 한 개의 물체로 구성된 품목으로서, 독자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외부에서 조정하거나,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품목을 말한다. 엔진, 트랜스미션 등은 구성품의 예에 속하는 품목이다. 2. 수리부속의 분류시 사용되는 용어로 2개 이상의 결합체가 연결 결합되어 1개의 물품으로 구성된 품목으로 외부에서 조종하거나 전원공급을 해주어야 하는 품목 (엔진 밋숀 등)

15214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군 정밀 측정 시험소                  1. 군에서 운용중인 정밀측정 장비에 대한 교정 및 수리업무를 수행하는 부대()로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1급 정밀측정시험소 : 군 측정표준 대표기관인 공군 제85정밀표준정비창“(이하 ”85표준창이라 한다)예하 최상급 정밀측정시험소로서 국가표준기본법에 의거 표준기 소급체계를 유지하고 군2ㆍ군3급 정밀측정시험소에 소급성을 제공하는 제1표준측정시험소로 정밀측정 장비에 대한 검ㆍ교정 및 수리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부대를 말한다. (2) 2급 정밀측정시험소 : 담당지역 부대 보유 정밀측정 장비의 교정을 지원하는 정밀측정시험소로서, 1급 정밀측정시험소로부터 표준기 소급성을 유지하며, 공군 제2, 3, 5, 6, 7, 8정밀측정시험소 및 해군시험소가 이에 해당된다. (3) 3급 정밀측정시험소 : 특수무기체계 지원용 정밀측정 장비에 대한 교정업무를 수행하는 시험소로서, 2급 정밀측정시험소로부터 표준기 소급성을 유지하며, F-16 전담지원 정밀측정부서 및 육군 종합정비창(정밀측정반)이 이에 해당된다. 2. 표준 장비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되며 먼지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군 표준을 유지 관리하는 정밀 측정 시험소를 말한다. 1급 정밀 측정 시험소는 군 정밀 측정 체계의 최상급 교정 검사 부대로서 기준 표준 장비를 보유하고, 작업 표준 장비 및 일반 정밀 측정 장비에 대한 계량 표준을 공급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예를 들어 공군 85 무장 전자 정비창이 해당된다. 2급 정밀 측정 시험소는 군 1급 표준 측정 시험소로부터 계량 표준을 공급 받은 작업 표준 장비를 보유하고, 담당 지역 내의 부대 보유 정밀 측정 장비 및 자대 교정 부서의 표준 정밀 측정 장비에 대한 교정 검사 및 수리 업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자대 교정 부서는 상급 교정 검사 부대로부터 계량 표준을 공급받은 작업 표준 장비를 보유하고 자대 교정 장비에 대한 교정 검사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15215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군 표준 차량      Standardization of Military Vehicles          우리 군의 특수성과 보급 및 정비 등의 후속군수지원 등을 고려한 군사요구도를 충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단일모델로 국방규격에 의해 표준화된 차륜식 군용차량을 말하며, 그 용도는 전술적 목적 및 화물, 인원, 기재를 수송하거나 다른 차량을 견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우리군은 군 표준차량 운영유지를 위해 단일모델별로 제정된 국방규격 등을 만족하는 제품으로 조달하고, 그 수리부속품은 정상소요를 확보하고 있다. 군 표준차량에는 K131 1/4톤 차량, K311 1 1/4톤 카고, K511 2 1/2톤트럭, K711 5톤트럭, K811 12톤 트럭 등이 있다.('13년기준) 이와  관련한 용어는 다음과 같다. 1. 군용차량(Military Car) : 군사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륜식, 궤도식, 차륜 궤도 혼합식 차량. 2. 군용수송차량(Military transport vehicle) : 전투차량으로써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군사목적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차륜식 또는 궤도차량으로써 전투차량과 근접지원에 있어서 노외 및 도로를 통과하여, 화물, 인원 및 기재를 수송하거나 다른 차량을 견인하는 차량. 3. 군용차 : 군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차. 넓은 의미로는 군용열차도 포함하는 데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전투시 위장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국방색으로 되어 있다.  4. 바퀴식 전투,공격 및 전술용 차량(Combat, Assault, and Tactical Vehicles, Wheeled): 이 군급은 완전한 전투, 공격 및 바퀴달린 전술차량과 섀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에 사용되는 완제품, 조립체, 부분품, 부속품 또는 부수품으로써 완전한 섀시 이외의 것은 이 군급 이외의 다른 군급에 분류한다.

15216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본 불출 품목   Basic Issue Item  완성장비를 사용부대에 불출시 즉각적인 운용유지가 가능하도록 주장비에 소요되는 각종 부수장비, 공구, 교범 등이 포함되며, 주장비와 동시에 보급되어야 할 품목을 말한다.

15217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본 폐기율       Basic Mortality Rate        1. 주요 수리부속품의 손실율을 계산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장비 및 구성품의 기본이 되는 품목의 폐품 발생율이다. 예를 들면 엔진의 실린더 블록이 기본 품목으로서 이런 기본 품목의 폐기율을 기본 폐기율이라고 한다. ☞ BMR(Basic Mortality Rate) 2. 폐기율중에서 구성품이나 완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기본) 품목의 폐기율이다. BMR = (폐품수/분해대수)*100(%)

15218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준 정밀 측정 표준 장비            1급 정밀 측정소에서 보유하며 1차 교정 검사 기관 또는 해외 기관으로부터 교정 및 검증된 한국군 정밀 측정의 기준이 되는 표준 장비를 말한다.

15219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준 표준기       Reference Standards       국가 측정표준 대표기관 또는 그와 동등한 수준의 측정표준 기관으로부터 소급을 받는 장비로 작업 표준기에 대해 측정표준을 제공한다. (1급 정밀측정시험소 보유)

15220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지 수리 불가능 품목     Not Repairable Item at Station     수리 작업 정도가 기지 수리 능력을 초과하는 품목 혹은 부속 대기 품목으로 신청된 부분품이 장기간 경과하여도 불출되지 않아 반납되는 품목 및 기술, 장비, 공구 등의 결핍으로 수리를 하지 못하는 품목을 말한다. 부대 수리 불가능 품목이라고도 한다.

15221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지 수리율       Percent of Base Repair    기지 수리 순환 품목에 대하여 과거 3개년 분의 기지 수리 실적을 토대로 산출되며, 정비 입고된 요수리품 중 사용 가능 재고로 환원된 품목의 비율로 나타낸다. ☞ PBR(Percent of Base Repair)

15222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기지 조달          Base Procurement          중앙 보급되는 품목을 제외한 소량 소액(少量少額) 품목으로써 부대에서 조달하는 것이 적기 지원(適期支援)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 품목을 각 부대 단위로 배정된 예산으로 구매ㆍ제작 또는 수리하는 것을 말한다. 공군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15223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긴급 품목          Immediate Attention Item           긴요 품목(緊要品目)

15224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긴급 품목운용    Immediate Attention Item Operational      상시 작전 준비 태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비 정비에 소요되는 부품을 신속히 지원하는 개념을 말한다. 품목의 적용은 장비 운용간 발생된 D/L의 조기해소에 소요되는 품목의 신속한 지원을 위하여 지휘 및 지원 계통으로 긴급 지원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지만 장비 긴급 품목은 별도로 지정하여 운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비 지원부대장은 운용 부대에서 소요 부품을 청구시 재고가 없을 경우 지원 부대 간 설치된 전산망을 이용, 최기 지원 시설의 보유 재고를 확인, 우선 지원한다.

15225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긴요 품목          Critical Supplies and Material       1. 요구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생명의 안전 또는 군사 임무수행에 치명적인 위험을 미치는 성질을 지닌 품목을 말한다. 2. 부대 또는 장비의 임무 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품목. 전투 긴요, 전투 필수 및 임무 필수 품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CI(Critical Item)

15226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내열 도료          Heat Resistance Paint      1. 고온 환경 하에서도 박리,  부풀음,  갈라짐,  변색,  분해 등의 이상을 나타내지 않고 도막으로서 미장효과를 유지하며 소재의 열화를 방지하는 도료이다. 2.  100 ℃ 이상의 고온이 되는 물체에 칠하여 내식(耐蝕)이나 미관 유지의 구실을 하는 도료. 변색·균열·연화(軟化휘발·박리(剝離)등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거나 손상이 가벼운 도료를 말한다.

15227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내열 재료          Heating Proof Materials   높은 온도에서 견디는 것을 주요한 특성으로 하는 재료이며, 특성은 천연물질 자체가 지니고 있는 것도 있고, 합금과 같이 목적에 맞도록 인위적으로 특성을 개선한 것도 있다. 또한 강도는 고려치 않고 단지 고온 산화에만 견디는 것도 넓은 의미로는 내열재라 한다.

15228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다단계 보급 제도 Multi-level Supply System 사용자 부대에서 청구해서 수령할 때까지 보급 체계가 다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물자(서비스), 정보, 야전 자금의 흐름이 서로 연계되지 않아 재고 및 사용자 대기시간의 과다와 불확실성이 발생하게 되어 군수 보급 체계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15229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단순 품목          Simple Item       검수관의 육안 식별만으로도 검수가 가능한 외형 및 형상이 단순한 품목으로 성능검사가 불필요하며 장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품목을 말한다.

15230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단순 품질 보증형           공인된 우수 품질 표시품, 대량 자동화 전문 생산품과 같이 품질이 단순하고 안정되어 업체가 자체적으로 품질 보증 활동을 수행하고 국방 기술 품질원이 품질 보증 입증 서류에 의하여 확인하는 품목이다.

15231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단위 부대 식별부호         Unit Marking     부대표지라고도 하며, 이는 특정 부대로 송달될 보급품 혹은 장비를 구별하기 위한 표지로서 이동 명령에 부여하는 문자 뒤에 붙이는 적하번호이다.

15232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단위 장비          Unit Equipment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불출하도록 할당표에 인가되어 있는 용기와 그 내용품, 즉 세트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전투화 수리기구 세트, 내과 및 외과 기재 세트 등이 이에 해당된다.

15233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대당 장착 수량   Quantity Per Application  장비에 장착되는 특정 품목의 총수량을 말한다.

15234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대충 장비          Float     사용 불가능한 장비를 정비 지원 시설에서 정비하고자 할 때, 운영 부대의 준비 태세 유지나 임무 수행에 영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고장난 장비의 대치용으로 불출하기 위하여 정비 지원 시설에 저장하도록 인가된 완성 장비를 말하며, 운영 대충 장비, 정비 대충 장비, 주기 대충 장비 등이 있다.

15235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대파                장비의 원상 회복을 위하여 재생이나 분해 수리를 요하는 상태로서 원상 회복에는 창정비가 필요하다.

15236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동력장치                      원동기를 중심으로 하여 변속, 동력 전달 장치 등을 포함한 동력 발생 장치의 총칭이다.

15237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동류 전용          Cannibalization   사용 불가 장비로부터 사용 가능한 부속이나 부분품(구성품 및 완제품)을 제거하거나 취득하여 동일 종류의 장비를 수리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정비의 원칙에서는 이와 같은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단시간 내에 보급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접적 지역에서의 비상 사태 하, 군수 참모 부장이 설정한 특정 장비의 특정 부속품 및 폐 처리가 인가되었을 때는 허용되고 있다.  ☞ CANN(Cannibalization)

15238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동종 장비          Conspecific Equipment    동종 장비란 임무와 기능 또는 정비체계 등이 동일한 장비를 말하며, 장비별 비교 평가를 위하여 제대별로 같은 종류의 장비를 묶은 장비의 집단이다.

15239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불가동 장비       Dead Line Equipment      고장으로 인하여 수리부속품이 필요하거나 정비를 요하는 고장장비를 말하며, 파손 또는 고장으로 수리를 요하는 사용불가능 장비, 긴박한 전투 상황 하에서 사용가능 하더라도 안전에 유해로운 상태의 장비나 계속 사용으로 장비에 심한 결함을 초래케 하는 장비 등이 있다. 단 계획적인 예방정비나 검열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운용 및 대기상태에 있는 장비는 제외되며, 불가동장비는 부대DL과 시설DL으로 구분된다.

15240    전력지원체계/일반장비     선택형 장비       Selected Equipment       장비 개념에서 분류한 장비 인가 현수표(EAID)상의 장비, 통신 장비, 기상 장비, 의무 장비, 항공기 장비를 제외한 품목 중에서 국고품 단가 50,000원 및 군원품 $100 이하의 장비, 공구, 비품 및 엔진 등 비소모성 품목을 말한다. ☞ EAID(Equipment Authorization Inventory Data)

15241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SMS     Short Message Service    단문메시지서비스. 휴대전화 간에 짧은 문장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한 부가서비스로써 개인 사용자 간 의사소통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사용자에게 공지, 안내 사항을 발송하는데 주로 활용된다. 청에서는 각종 조달/계약업무, 인허가 민원 처리 등 주요 업무 단계마다 LMS(Long Message Service, 한글 1000자까지 보낼 수 있는 문자 서비스)를 발송하여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정보를 민원인에게 제공하고 있다.

15242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로 VPN 장비를 통해 해당 업체와 방위사업청 간에 보안성 높은 회선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재 방위사업청에서는 통합사업관리정보체계(협업체계), 국방통합원가시스템,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에서 VPN을 운용하고 있으며 시스템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 PC VPN 소프트웨어를 설치 후 별도의 VPN ID 부여 및 승인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15243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격자형 통신망    Grid Communication System / Mode Communication System 차기 전술 통신 체제의 운용 방식으로서 작전 책임 지역 내에 수개의 지역 통신소(노드)를 설치하여 격자형으로 연결하고 지역 단위로 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이는 현 나뭇가지형 지휘 제대 통신망의 취약점인 생존성을 보장하고 통신의 융통성을 향상시킨 개선된 통신망이다.

15244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고속 이더넷       Fast Ethernet     많은 수의 100Mbps 이더넷 규격 중의 하나. 고속 이더넷은 10Base-T 이더넷 규격보다 10배나 증가된 속도를 지니고 있으며, 프레임 포맷, MAC 메커니즘, MTU 등과 같은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그런 유사성 때문에 기존의 10Base-T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관리용 도구를 고속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IEEE 802.3 규격 확장판을 기초로 하고 있다. 비교 항목: Ethernet(이더넷). 참조 항목: 100Base-FX, 100Base-T, 100Base-T4, 100Base-TX, 100Base-X, IEEE 802.3.

15245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공공 데이터 개방 Public Data Open           정부기관이 업무 목적으로 보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전자파일을 단순한 외부 공개에서 벗어나 민간이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데이터를  홈페이지 및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15246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국립 지리 정보 체제       National System For Geospatial Intelligence           여러 가지 복합적인 환경에서 지리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 정책, 기능, 원칙 등을 통합할 목적으로 조직된 지리정보 전문가, 생산자 및 이용자들의 통합된 공동체를 말한다.

15247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국방 CALS 체계  Defense 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 System           군수품(무기체계)의 수명주기 동안에 발생되는 모든 수작업 업무와 서류정보를 자동화ㆍ디지털화하여 수명주기비용을 절감함으로 군수품의 신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15248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국방 정보 보안 시스템     Defense Intelligence Security System         정보기술에 의한 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군의 지휘 통제 및 통신체계, 전력지원체계 내의 군사기밀 및 소프트웨어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제반 보안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으로 보안시스템, 사이버 보안시스템, 전자파 보안시스템으로 구분한다.

15249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국방 정보보호 제품         Defense Information Protection Product    인증기관에서 CC인증을 획득한 국가 정보보호 제품 및 각급 부대(기관)에서 자체 개발하였거나 외부업체에 의뢰하여 개발한 정보보호 제품 중 국방부 적합성 검증을 받을 제품을 말한다.

15250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군수 지원 분석용 표준 소프트웨어 SOftware for Logistics Support Analysis and data Management Of Next generation  무기체계의 군수지원 분석을 위하여 국가가 개발한 도구로서 SOLOMON(SOftware for LOgistics support analysis and data Management Of Next generation) 등을 말한다.

15251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동시 조달 수리부속 소요 산출용 표준 소프트웨어    Optimal Allocation of Spares Initial Support 무기체계의 동시조달 수리부속 소요산출을 위하여 국가가 개발한 도구로서 OASIS(Optimal Allocation of Spares Initial Support) 등을 말한다.

15252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무선 전자입찰    Wireless Electronic Bidding         이동개인정보 단말기(휴대폰, PDA )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입찰에 참가하는 것으로서 입찰서 전송 등 제한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입찰을 말한다.

15253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무선 정보          Wireless Information       적이 사용하는 무선 전파를 엿들어 알아낸 정보. 적의 무선소 위치, 주파수 대역 따위의 무선 운용에 관한 정보가 이에 속한다.

15254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무선 항법 방해   Radio Meaconing           항행 혼란을 목적으로 무선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동일 주파수로 재방송하는 체제를 말한다.

15255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무선 항행          Radio Navigation 무선 전파로 조종하는 항공기, 함정 따위의 항행.

15256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무지향성 안테나  Non-directional Antenna, Omnidirectional Antenna 수평 방향으로 360° 전 방향으로 고르게 전자파가 방사되는 안테나를 말한다.

15257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시스템 분석       System Analysis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앞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 및 필요한 자료를 분석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 분석 활동은 절충 연구, 효과도 분석, 설계 분석을 포함한다. 이들은 기술 요건과 프로그램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 접근법을 평가하고, 성능, 기능 및 실제 요건을 선정하기 위한 엄격한 정량적인 기준을 제공한다. 분석 활동에 입력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는 모델링, 시뮬레이션, 실험 및 시험 등이 포함된다.

15258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시스템 분석에 따라 경제성과 신뢰성, 성능 등이 가장 적합하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일을 뜻한다. 시스템 디자인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을 새로 설계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변경할 때의 작업단계이다. 특히 복수의 요소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의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요소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전체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완전히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조정하는 것이 시스템 설계이다.☞ 시스템 디자인(System Design), 체계 설계(體系設計)

15259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운용개념 기술서  Operational Concept Description   정보 융합 체계는 크게 필요한 정보를 신속ㆍ정확히 제공하기 위하여 적시 적소에 감지기를 배치하는 감지기 관리, 각종 감지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사건별, 시간별로 적절히 연계 및 갱신시키는 데이터 연계 과정, 중복되어 수집되는 표적이나 사건들을 범주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들을 결합하여 정보의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감소시키는 데이터 결합과정, 그리고 결합된 데이터들로부터 표적의 이동과 의도를 밝히는 데이터 추론 과정, 상황 위협 평가를 실시하여 지휘관 지휘 결심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지휘 결심 지원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 OCD(Operational Concept Description)

15260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자원관리 정보체계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전력지원체계 중 정보를 수집, 가공, 전달, 전시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통신수단이 통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체계로서 기획 재정, 군수 시설, 인사 동원, 전자행정 등의 국방업무체계와 국방M&S체계 및 교육훈련보조체계(CBT )를 통칭한다.

15261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전산 매체          Computation Media        데이터(Data)가 전산장비에 의해 입력돼 보관되고 있는 천공 카드, 종이 테이프, 플로피, 미니 플로피, 하드 디스크, 비디오 테이프 등을 말한다. 각종 자료가 수록되는 매체에 따라 입력 매체와 출력 매체로 구분된다.

15262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 부분으로 여기에 입출력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된다.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컴퓨터의 동작을 조절하고 관리한다. 이것은 주기억 장치로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꺼내와 해독하고 이에 따라 지정된 순간에 컴퓨터의 다른 부분을 작동시킨다. 모든 입력된 자료들은 주기억 장치를 통해 산술 연산 장치로 넘겨져 처리된다. 처리는 덧셈·뺄셈·곱셈·나눗셈의 4가지 기본 산술 연산과 자료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원칙에 따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순서 또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과 같은 논리 연산을 하는 것이다. ☞ CPU(Central Processing Unit)

15263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컴퓨터 도상 기동 모의     Computer Maneuver Simulation    컴퓨터 상의 지도를 사용하여 전술 상황을 부여하고 지휘관 및 참모는 판단, 결심, 계획 및 명령 등을 준비하는 전술 연습의 한 형태이다.

15264    전력지원체계/정보체계     컴퓨터 통제식 시뮬레이터 Computer Control Simulator        컴퓨터 모델의 명령을 실행하여 시뮬레이션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15265    전력지원체계/지휘정찰     공중 교환 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전화에 의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소통시킬 목적으로 설치된 통신망으로 전화를 발명한 벨의 시대로부터 발전해온 회선 교환 방식 전화망의 집합체를 말한다. ☞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15266    전력지원체계/지휘정찰     분산 모의 시뮬레이터      Distribute Simulation      팀 훈련 혹은 연구개발을 위해서 개별 모의 실험(simulation)을 연합적으로 구성하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대규모 모의 실험을 구현하는 장치. 대표적인 분산 시뮬레이터에는 1982년에 미 DARPA에서 개발된 SIMNET이 있다. SIMNET은 전차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훈련용으로 활용한 세계 최초의 분산 시뮬레이터이다. ☞ 분산 시뮬레이터(分散 Simulator)

15267    전력지원체계/지휘정찰     분산 모의 실험 엔진       Distribute Simulation Engine        기존의 모의 실험(simulation) 엔진과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체계로 구성된 엔진을 말한다.

15268    전력지원체계/지휘정찰     분산 처리          Distributed Processing     (1) 1. 하나의 중앙처리장치가 처리 또는 제어하고 있던 기능을 여러 개의 처리 장치에 분산시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각 처리 장치들은 자기만의 일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처리 장치와 통신하기도 한다.  (2) 2. 중앙의 대형 컴퓨터에 의한 집중 처리와는 달리 지점, 영업소, 공장 등 데이터의 발생 장소에서 처리를 하는 방식을 말한다. 최근의 온라인 실시간 시스템의 일반화와 고성능 소형 컴퓨터의 출현을 바탕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1526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1.4후퇴             중공군의 개입으로 인하여 1951 1 4일 한국전쟁 중 두 번째로 서울을 포기한 사건을 가리킨다. 인천상륙작전의 성공 이후 국군과 UN군은 빠르게 북진을 계속하여 10월 말에는 한국군이, 11월에는 동부전선의 미군이 압록강까지 도달하였다. 그러나 그 직후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참전을 결정하여 한반도에 진입, 공격을 개시하였고, 방심한 상태에서 연계가 희박해진 채 각각의 부대가 거의 개별적으로 북진해 올라가던 국군과 UN군은 큰 피해를 입고 남쪽으로 되밀려 내려오게 되었다. 중공군의 맹렬한 공격과 급속한 진격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UN군을 지휘하던 워커 장군이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였고 그 후임으로 부임한 리지웨이 장군은 1951 1 4일 서울을 포기하고 금강 지역에서 새로운 방어선을 만들 것을 결정하게 되는데, 1.4 후퇴의 명칭은 이 결정이 이루어진 날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1월에 실시된 반격작전으로 수원지역까지 진출한 뒤 2월에 있었던 중공군의 공격을 막아낸 국군과 UN군은 1951 3 14일 서울을 재탈환하게 된다.

1527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3.5인치 로케트탄            M20 로켓발사기, 통칭 수퍼바주카라고도 불리는 3.5인치 바주카포의 탄체. 혹은 당 바주카포 그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2차 세계 대전 당시부터 사용되던 종전의 2.36인치 바주카포는 소련군의 T-34에 대해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탄두 성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개발이 지체되어 한국전쟁 발발 시기에 이르러서야 개발이 완성되었다. 이후 맥아더 원수의 요청에 의해 7 3일부터 급거 생산을 시작하였으며, 인민군의 T-34에 대응하기 위한 대전차 무기로 3.5인치 로케트탄을 보급해 줄 것을 건의한 미24사단장 딘 소장의 의견이 극동사령부에 의해 수락되어 7 10일에 대전에 공수되고 동월 12일에 각 보병중대의 화기소대 및 공병중대에 배치, 이후 대전전투에서 최초로 사용된다. 미 육군에서는 60년대 이후 완전 도태되었으나, 한국군은 장갑차 및 구형전차를 파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아직 상당수를 예비군용 대전차 화기로 보관하고 있다.

1527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38                북위 38도선의 준말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 양국의 합의에 의해 서로간의 점령지역을 나누었던 경계선을 가리킨다. 이 경계선의 설정 원인에 대해서는 1945 8월 초, 일본에 선전포고를 한 소련은 약체화되고 기갑전력이 부실했던 관동군을 쉽게 격파하고 급속도로 남하하였고, 당시 가장 가까운 부대조차도 한반도에서는 6000마일 이상 떨어진 오키나와에 주둔하여 한반도에 신속하게 상륙하기 어려웠던 미국측이 소련에 의하여 한반도가 전부 장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딘 러스크 대령 등이 급히 제안하여 38선을 설정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분할선이 북위 38도선으로 정해진 근거는 당시 한반도에 주둔한 일본군의 지휘체계 및 작전구역 분할을 따른 것이라는 설이 일반적으로, 당시 북위 38도선의 이북은 관동군 사령관이, 이남은 (일본군)대본영 아래의 조선군관구 사령관이 관할하고 있었다. 38선이 설정되자 병력 일부가 이미 서울까지 들어와 있었던 소련군은 곧 38선 이북으로 철수하였다. 처음의 38선은 임시적인 군사 분계선이었으나 48년 남북이 별개의 정부를 세우면서부터 실질적인 국경선화되었고, 한국전쟁과 휴전협정의 결과로 인해 38선 대신 만들어진 휴전선이 아직까지 남북한을 갈라 놓고 있다.

1527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3군 공통품목 통합군수지원                     ..공군 중 2개 군 이상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장비 및 물자 등에 대하여 특성을 고려하여 1개 군에서 전담하여 타군을 지원하는 제도를 가리킨다. 기존에 각 군이 별도의 군수지원체계를 유지함에 따라 보급지원체제의 이원화 및 인력예산의 낭비 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를 제도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군은 1985년도부터 통합군수지원제도를 시행, 현재까지 꾸준하게 발전시켜 왔다. 그 결과 인력의 절감은 물론 공통취급 장비 및 물자를 통합하여 획득 및 보급하고 정비지원을 하게 되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군수지원이 가능해졌다. 또한 1997 5월에는 3군 공통품목 통합지원규정을 보완하여 보급절차뿐 아니라 수송 및 정비 분야까지 확대한 지원체제를 재정립하였다.

1527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6.25전쟁           1950 6 25일 북한군의 전면 남침으로 인하여 한반도를 전장으로 하여 벌어진 전쟁을 가리킨다. 한국전쟁이라고도 한다. 전쟁의 초기에는 기갑전력을 앞세운 북한의 우세한 전력에 후퇴를 거듭하였고, 유엔군이 참전한 이후에도 후퇴가 계속되어 낙동강 전선을 최후 방어선으로 하여 방어전을 전개하게 되었으나, 9월 중순에 실시된 인천상륙작전과 그에 맞추어 개시된 낙동강 전선에서의 유엔군 총반격으로 인하여 전세가 역전되어 9월 말에 서울을 탈환하고 10월에는 38선을 돌파하였다. 이후 쾌속으로 진격을 계속한 끝에 유엔군과 한국군은 압록강까지 진격하였으나, 중국군의 개입으로 되밀려 내려와 한때 서울을 다시 포기하였다가 탈환하였다. 이후 전선은 교착화되어 어느 한 쪽의 일방적 승리가 어려운 상황이 되어갔으며, 1951년의 중국군 춘계대공세가 실패로 끝난 뒤 휴전협정이 제안되었다. 이후 긴 휴전회담 끝에 1953 7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전쟁은 휴전이라는 형태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 전쟁의 결과로 한반도에서는 좌우의 대립이 극심해졌으며, 분단체제가 고착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1527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가변익항공기      Variable Wing Airplane    항공기의 속도에 맞추어 날개의 후퇴각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통해 어떤 속도에서도 최상의 비행특성을 얻을 수 있게 한 항공기를 가리킨다. 직선익은 저속에서 유리하며 안정성이 높지만 일정 이상의 속도가 되면 날개가 부러질 위험이 있고, 후퇴익은 아음속에서 유리하지만 저속에서는 전진익보다, 초음속에서는 델타익보다 유리하지 못하다. 델타익은 초음속에서 유리하지만 저속에서의 안정성은 매우 떨어진다. 비행 중의 후퇴각 조정을 통해 이러한 3가지 날개 모두의 장점을 취하는 것이 가변익의 목적으로, 이론상으로는 가장 우수한 날개 형태이나 가변익 가동을 위한 작동 장치나 연결부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 및 유지비용이 높아지고 항공기 자체의 무게도 늘어나기 때문에 일부 항공기에서만 채택하고 있다. 최초의 가변익 항공기는 2차대전 말기 독일에서 개발된 P1101, 비행중 날개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가 목표였으나 완성된 기체는 지상에서 임무에 맞게 각도를 조정한 뒤 비행하는 방식이었는데다, 시험기 1대만 완성된 상태에서 전쟁이 끝나 실제 전장에서는 쓰이지 못했다.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F-111을 시작으로 F-14, B-1등의 가변익 항공기를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이외에 유럽의 토네이도, 소련의 MIG-23,27 등이 개발, 운용되고 있다.

1527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가상돌파구        Assumed Penetration      상세설명 상황을 통제할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방어의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적에게 돌파를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허용범위를 가상한 폭과 종심을 말한다. 가상돌파구는 도상작전, 워게임 결과를 기초로 적의 부대 구성과 임무, 지형 및 아군이 가진 저지능력의 정도를 고려하여 구상하게 된다. 이때 적 부대가 직사화기로 통제할 수 있는 범위를 산출하고 이를 고려하여 역습부대의 공격개시선을 결정할 수 있다.

1527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가상적국           Hypothetical Enemy State 한 국가의 국방계획을 위시한 국가전략의 구상시 적국으로 가상되는 나라. 실질적 교전상태가 아니라는 점에서 적국과는 구별된다. 본래 국방계획은 그 작성 및 작전의 실행에 있어 군의 동원, 이동, 결전장의 선택 등에 대한 계획을 미리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상적국의 설정과 당 가상적국의 상태에 따라 국방계획이 바뀌게 된다. 가상적국의 설정은 국가간 이익의 대립여부, 상대국이 가진 능력과 그 위협성, 역사적 조건 등에 의해 달라지나 실질적으로는 역사적인 조건이나 국제관계, 지리적 요건 등에 의하여 거의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미 잠재적인 전쟁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상적국의 설정이 반드시 가상적국과의 전쟁만을 전제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대등 혹은 가능한 한 유리한 상태에서의 안정된 관계 유지나 우호관계의 성립 움직임 등과도 상충되는 것은 아니다.

1527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가용보급률        Available Supply Rate ASR           탄약의 소모율을 나타내는 개념.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중에 허용된 보급 한계량을 가리키며, 충분한 소요량의 탄약을 확보하고 있어 통제보급률(CSR)을 적용하지 않아도 될 때 사용한다. 무기를 사격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탄약의 화기당 1일 발사 탄 수로 표시된다.

1527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가정     Assumption       지휘관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황판단을 완성하고 대응할 방책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예측의 한 부분으로, 현재의 상황이나 장차 일어날 상황 및 사건에 대한 예상으로서 명확한 증거 없이 사실로 간주하는 하나의 가설을 가리킨다. 가정은 계획수립 과정의 전반을 통하여 적용되며, 확실한 증거가 제반 가설의 정당성을 입증할 때는 하나의 사실로 간주된다. 최초에 수립한 가정은 첩보를 통해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가 들어옴에 따라 가정이 사실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정보를 통한 수정을 가한다. 이러한 수정은 작성중인 계획에도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되며 융통성을 위해서 모든 참모부서간에 신속히 전달되고 협조되어야 한다.

1527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각개격파           defeat in          각개격파(各個擊破)는 작전 중인 부대가 적 세력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시기를 틈타 분산된 각각의 병력을 순차적으로 공격하여 전력을 무력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에 비해 적은 병력을 가진 상태에서 공세를 취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 특히 유용한 전술행동으로, 비록 전체 병력 상에 있어서는 적보다 열세에 있더라도 전투가 벌어지는 구역에 있어서만은 항상 적보다 병력의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그 목적이자 기본 방침이다. 각개격파는 내선작전(內線作戰)을 수행하는 가장 핵심적인 작전행동이며, 실제로 내선작전은 아군의 병력을 집중해서 분산된 적의 일부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는 각개격파에 성공여부가 달려있다.

1528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균     Bacillus  막대기 또는 원기둥 모양의 세균을 가리킨다. 분열균(分菌)의 하나로. 구균(球菌)이나 나선균과 대비해서 사용된다. 길이에 따라 장간균(長桿菌)과 단간균(短桿菌)으로 크게 구분되나, 이 안에서도 양 끝의 모양이나 배열 형태 등에 있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위험한 생물학 무기 중 한 가지로 꼽히는 탄저균이 바로 간균의 일종이다.

1528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접사격           Indirect Fire       시계를 사용하지 않고 간접 조준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격을 가리킨다. 목표물의 위치가 멀고 표적을 직접 시야에 포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직접조준을 할 수 없는 목표에 대하여 이루어지며, 박격포나 장거리 야포와 같은 곡사화기에서 이러한 사격방식이 사용된다. 사격진지에서는 목표물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사격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관측소나 공중에서의 도움이 필요하다.

1528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접전략           Indirect 국가가 분쟁상황에 대처함에 있어 군사력의 직접적 사용을 필요 최소한도로 한정하고, 그 대신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수단 및 심리적 수단 등을 최대한도로 활용하여 적의 전의를 좌절시켜 굴복시키는 전략적 접근방법을 가리킨다. 또한 이는 군사적 협상태세와도 병행하여 사용된다. 국가전략 수행 수단상의 문제로 군사적 수단 외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국가목적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군사적 수단의 사용을 전제하는 간접접근과는 구별된다

1528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접침략           Insurgency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동맹한 두 나라 중 한 나라가 무력에 의해 공격받았을 경우, 공격받지 않은 쪽의 국가가 침략을 받고 있지 않지만 동맹국과의 협정에 의거하여 같이 침략받았다고 여겨지는 경우 실제 공격받지 않은 국가에 간접침략이 가해진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특정 세력이 정규군에 의하지 않고 타국 내의 반정부세력을 조종하여 무장봉기 및 정부의 전복을 도모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바뀌었으며, 정규군에 의한 직접적인 무력공격은 이에 대응하는 의미로 직접침략이라 칭한다. 이와 같은 간접침략의 정의가 처음으로 문서화된 것은 1947 3월에 발표된 트루먼 독트린에서으며, 이후 1947년의 북대서양조약, 1948년의 보고타헌장 등 여러 국제조약에서 간접침략에 대하여 현재의 의미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간접침략은 직접침략의 이전에 행해지거나 직접침략과 병행해서 행해지는데, 그 수단으로는 무장봉기나 저항운동의 사주 및 지원, 상대국 지배계급 내에서의 쿠데타 획책, 게릴라 침투 등의 무력을 동원하는 수단과 정권탈취를 위한 모략 등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침략 이후에도 간접침략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1528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첩     Spy Espionage    상대편의 내부에 침투하여 각종 수단을 통하여 그 정보를 탐지하고 기밀을 알아내어 자기 편에 통보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또한, 상대편의 내부에 침입한 상태에서 허위의 사실이나 유언비어 등을 유포하여 상대편의 혼란 및 오판을 유도하게 하는 사람이나 파괴활동을 일으키는 사람들도 간첩의 범주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교전국이나 적대국에 대해서 간첩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행해지나, 간첩 활동이 반드시 교전국이나 적대국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간자(間者), 세작(細作), 첩자(諜者), 스파이(Spy) 등 여러 가지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손자병법서에서는 간첩에 대해 그 역할이나 출신 등을 기준으로 향간(鄕間), 내간(內間), 반간(反間), 사간(死間), 생간(生間)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528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간첩선   Spy Boat          적국의 해안에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하거나 간첩을 적지에 침투시키는 역할을 맡는 배를 가리킨다. 한국의 해안에 침투하는 북한 간첩선은 공작모선, 공작자선, 잠수함 및 잠수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공작모선은 공작자선으로 이용되는 해안침투용의 반잠수정을 탑재할 수 있는 200톤에서 250톤 가량의 대형 간첩선을 가리키며, 통상적으로 중고선박을 이용하여 어선으로 위장하고 있으나 통신장비와 더불어 무장을 갖추고 있으며, 개량을 가하여 매우 빠른 속력(35내지 40노트)을 보유하고 있다. 공작자선은 공작모선에 탑재되어 간첩의 직접 침투에 이용되는 소형의 간첩선을 가리키며, 과거에는 소형 어선이나 낚시배로 가장한 배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고속 중무장의 반잠수정을 사용하고 있다. 잠수함 및 잠수정의 경우 드러나지 않게 간첩을 해상으로부터 침투시키는 데 이용된다.

1528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감마선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방사선의 한 가지로, 물질을 투과하는 능력이 매우 강하나, 납으로 된 방호장비를 착용하면 어느 정도의 방호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장이 10^-1010^-12㎝로, 에너지로 환산하면 1100MeV이며, 최근에는 일렉트론, 싱크로트론 등의 입자가속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 내는 파장 10^-13㎝ 정도의 1000MeV급 고에너지 X선 역시 감마선이라 부른다. 전리작용, 감광작용, 형광작용 등은 X선에 비해 매우 작아서 검출이 곤란하나 투과력이 매우 강하여, 핵공격 이후 발생하는 감마선은 알파, 베타선에 비하여 인체에 훨씬 심각한 상해를 입힌다. 그러나 방사성 동위원소가 많이 만들어지면서 평화시의 용도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주물이나 용접부의 비파괴검사나 암 치료, 물성 연구 등에 이용되고 있다.

1528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감응기뢰           Influence Mine   폭발 및 발화방식에 따른 기뢰 분류의 한 종류로, 표적함정이 움직임에 따라 생겨나는 함정 주변의 자기, 음향, 압력 등과 같은 물리량의 변화를 센서를 통해 원거리에서 감지하여 폭발하는 기뢰를 가리킨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뢰로서, 어떤 물리량의 변화에 감응하느냐에 따라 자기 감응기뢰, 음향 감응기뢰, 압력 감응기뢰 및, 이들 센서를 복합적으로 탑재하여 소해를 복잡하게 하고 신뢰도를 높인 복합 감응기뢰가 있다. 현대의 기뢰는 대개 복합 감응기뢰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1528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감청     Monitering        전기통신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없이 전화기계장치등을 사용하여 통신의 음향문언부호영상을 청취공독(共讀)하여 그 내용을 지득하거나 전기통신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전화/PC 통신/FAX 등의 통신내용을 청취/입수하는 형태를 취하며, 통신의 비밀은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이기 때문에 민간에 대한 감청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나, 증거수집이나 범인체포 등 범죄수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혹은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엄격한 절차를 거쳐 검열이나 감청등을 할 수 있음을 허용하고 있다. 합법적인 감청의 경우 전기 통신시설로부터 통신내용을 청취/입수하는 형태를 취하며 사전에 법원의 허가가 필요하다

1528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갑종사태           Class Kab Situation        통합방위사태의 종류 중 하나로, 대규모의 적의 침투도발로 인한 비상사태로서 통합방위본부장 또는 지역군사령관의 지휘통제하에 통합방위작전을 수행하여야 할 사태를 말한다. 국방부장관은 갑종사태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한 때 또는 2이상의 특별시광역시도(이하 &quot시도&quot라 한다)에 걸쳐 을종사태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한 때에, 행정자치부장관 또는 국방부장관은 2이상의 시도에 걸쳐 병종사태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한 때에 즉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에게 통합방위사태의 선포를 건의하여야 하며, 대통령은 위 건의를 받은 때 중앙협의회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통합방위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 갑종사태의 선포권자는 대통령뿐이다.

1529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강습     Assault  국부적인 목표에 대하여 짧고 맹렬하면서 질서있는 공격을 감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상륙작전시 상륙특수임무부대의 강습 본대가 목표지역에 도착하여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의 기간이나 도하작전시 최초 도하가 개시되어 교두보가 확보되고 도하지역 지휘관에게 책임이 인계될 때까지의 기간, 혹은 공정작전시 공정부대가 목표지역에 낙하하여 목표를 공격한 후 최초 공두보를 강화하는 단계를 가리키기도 한다. 도하작전시 최초 도하가 개시되어 교두보가 확보되고 도하지역 지휘관에게 책임이 인계될때 까지의 기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강습작전은 기동성이 양호한 부대로 행하게 되는데, 이의 예로는 공중기동부대나 전차부대 및 기계화보병부대를 들 수 있다. 강습작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능한 한 신속히 적에게 최대한의 전투력(전차 및 기계화부대)을 가하여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을 격멸하는 데 있다. 강습작전은 작전 자체가 갖는 신속한 기동성으로 인해 기습의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1529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강제착륙           Forced  비행 중의 각종 사태로 인하여 항공기가 본래의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하고 강제적으로 착륙하는 일을 가리킨다. 테러단체 등에 의한 하이재킹으로 인하여 강제착륙되기도 하며, 타국의 영공이나 중립지대 상공, 혹은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불법적인 침범을 행하였을 경우 당사국에 의해 강제착륙되기도 한다. 이 경우, 강제착륙을 요구받은 항공기가 계속적으로 강제착륙을 거부할 때에는, 침범당한 당사국 측에서는 상황에 따라 상대 항공기를 격추시키는 조치도 가능하다. 또한 비행 중인 항공기에 중대한 기계적 결함이나 전투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규정된 일련의 조치를 거친 후 강제착륙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1529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개별동원           Individual Mobilization    병력 동원지정시에 동원자원 배정지역 내의 소요자원이 부족할 경우 타지역 자원을 동원지정하여 소속된 예비군부대와는 별도로 동원지정된 소집부대로 개별 입영하는 것을 가리킨다. 집단동원이나 부대단위 동원개념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개별동원의 대상이 되는 것은 해군, 공군 자원 및 육군의 장교, 부사관과 주요특기병, 특수부대 요원으로, 이들은 동원자원이 전국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부대단위 동원이나 집단동원의 개념에 따른 특정지역에서의 집중동원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동원지정을 광역화하는 것이 불가피하여 개별동원에 의해 충원하게 된다.

1529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부     Denial   적에 의해 지역, 인원, 시설 또는 물자가 사용되는 것이나 사용으로부터 이점을 얻는 것을 방지 또는 방해하는 것을 가리키며, 적의 전진속도 지연 및 적 전투력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거부작전이나 거부방책과 같은 개념으로 적용되거나 사용되기도 한다. 거부계획의 작성 권한은 전구 사령부급 이상의 부대에 있으며 야전군 예하에 있어서는 장벽계획에 통합되어 하달된다. 야전군은 상급부대의 거부 지시에 명시된 거부표적에 대한 거부 준비 및 실시의 책임이 있으며 자체의 거부표적을 선정할 수 있고, 예하 부대에는 장벽계획으로 하달한다. 거부표적은 군단 또는 전구수준에서 지시되나 실시는 거부표적이 위치한 방어구역 내에 있는 부대에 의해 이행된다. 거부계획은 장벽계획과 비교하여 개념 및 목표 등에서 차이가 있는데, 거부계획이 전술 및 전략적 개념을 포괄하며 효과가 가시적이지 못하면서 장기적으로 적에 영향을 주고, 복구에 장기의 시간이 소요되며 전략적 표적을 목표로 삼는데 비해, 장벽계획은 전술적 개념으로 운용되며 가시적이고 즉각적인 효과로 전방부대에 도움을 주고 복구에도 단기의 시간만 걸리며, 전술표적을 목표로 삼는다. 주로 사용되는 거부의 수단으로는 제거, 파괴, 오염 및 원자폭파 등이 있다.

1529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부작전           Denial Operation 전술 및 전략적인 가치를 갖는 목표물이나 지역을 적이 점령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 계획된 작전을 가리킨다. 또한 거부작전은 적의 전체적인 작전실시 능력과 이동 능력을 방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주로 전략적인 개념으로 운용된다. 거부작전은 장벽운용과 더불어 공격작전 및 방어작전에 공히 운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방어작전과 지연작전에서 더 많이 운용된다. 공격시의 거부작전은 장벽 운용과 함께 병력을 절약하고 측방 경계를 도우며, 역습을 방지하고 철수하는 적을 함정으로 몰아넣는 데 사용된다. 방어시의 거부작전은 병력절약과 더불어 그로 인한 더욱 광범위한 분산이 가능하게 하고, 적이 전방 혹은 측방으로 전진해 오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와해시켜 아군의 방어화력에 대한 적의 취약점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측방 및 후방지역 경계를 돕는다. 거부작전이 적의 전체적인 작전의 실시와 이동 능력을 방해하는 데 비하면 장벽운용은 적 전술부대의 전술적 기동을 감소시킨다는 차이가 있다.

1529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점     Strong Point      어떤 활동의 근거지가 되는 지점을 가리키며, 군사용어에서는 전투부대의 전투 지속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적인 요지를 가리킨다. 전투부대가 처한 입장에 따라 가리키는 바에 다소 차이가 있는데, 공격부대에 있어서는 적에 대하여 손쉽게 공격을 전개하고 전선을 펼칠 수 있는 지점을 말하며 방어부대에 있어서는 강력하게 요새화되어 자동화기 및 대전차화기 등으로 중무장되고 주위의 다른 진지들로부터 보호를 받는 진지내의 중요 지점을 말한다.

1529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점방어           Strong Point Defense      방어작전의 한 형태로, 방어지역에 존재하는 지형상의 요충지에 진지(통상 대대급 규모)를 구축하고 사주방어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거점화하는 방식으로 편성한 방어를 가리킨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방어전력을 거점에 집중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1529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제도포로폭동사건                   한국전쟁 중인 1952 2, 공산군 포로를 집단수용하고 있던 거제도에서 발생한 포로들의 폭동사건. 폭동 당시 거제도에는 약 13 2,000명의 포로들이 수용되어 있었다. 폭동사건 이전부터 수용소의 포로들은 친공포로와 반공포로로 나뉘어 심각하게 대립하는 상태였고 이미 1951년부터 유혈사태가 일어나고 있었는데, 이는 처음 이들을 수용할 때 두 집단을 분리하지 않고 대단위로 혼합수용했던 데서 기인한다. 친공포로들은 해방동맹을, 반공포로들은 대한반공청년단을 조직하였고, 수용소의 각 동은 어느 계열이 주도권을 잡았느냐에 따라 친공계열과 반공계열로 분리되었다. 이후 1951년 말 포로교환 문제가 논의되었을 때, UN군은 제네바 협정의 자동 송환원칙을 어기고 자유 송환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타결이 지연되자 북한측 대표는 북으로 송환되기를 원하는 인민군 및 중공군 포로의 숫자를 제시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송환요구자와 미 요구자의 분류를 위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1952 2월에 착수된 분리심사에 대하여 일부 포로들에게 본국으로의 귀환 포기를 권유했다는 이유로 친공포로들이 격렬하게 저항하였고, 이들이 주도권을 잡은 동에서 폭동을 일으켜 분리심사에 불응하였다. 최초의 충돌이 일어난 것은 2 18일로, 이 충돌에서 미군의 발포로 포로측에서 77명의 사망자와 140명의 부상자가 나왔고 미군측에서도 1명의 사망자 및 3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3 13일에는 한국군 군경비대와 포로들이 충돌하여 12명의 포로가 사망하고 26명이 부상하였으며, 5 7일에는 미군병사들에 의한 포로 금품 약탈에 대한 건으로 사령관 면담을 요구한 뒤 친공포로들이 주동하여 수용소장인 돗드 준장을 납치하였다. 새 소장으로 부임한 콜슨은 포로들과 협상한 끝에 포로측 요구조건 일부를 수용하여 수용소의 야만행위 시인, 전원송환 보장, 강제심사 중지, 포로 대표단 구성 인정을 승인하고 돗드를 구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즉시 동경으로 소환되고 1계급씩 강등되어 퇴역했다. 그 후임으로 부임한 보트너는 강력한 수용소 관리를 시작하여 수용소 경비병들에 대한 군기 확립, 500명 규모의 포로 분할 수용, 거제도 이외의 수용소 건설, 적기 게양 포로 사살 등의 방침을 세웠다. 5월 말부터 계획에 착수하여 6 1일 포로대표 이학구를 영창에 감금하고 6 10일 소단위로 분산 수용하기 위해 친공포로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었던 76수용소에 전차와 군대를 앞세워 위협하면서 진입하였다. 이후로도 유혈사태는 계속되어 6 13일에도 76수용소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포로측 38명이 살해되고 195명이 부상당했으며 미군측 1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을 당했다. 10 1일에는 중공군 포로수용소에서 중공군 56명이 살해되고 120여 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12 4일에는 봉암도수용소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포로 87명이 사망하고 115명이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1952년도에는 이러한 크고 작은 폭동이 계속되었다.

1529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거창양민학살사건           1951 2월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일대에서 있있던 양민 대량학살 사건. 당시 지리산을 근거로 출몰하던 공비에 대한 토벌작전을 진행중이던 국군 제11사단(사단장 최덕신 준장) 9연대(연대장 오익경 대령) 3대대(대대장 한동석 소령)에 의해 행해졌다. 대현(大峴), 와룡(), 내탄(內呑), 중유(中楡) 6개 마을 주민들이 공비와 내통한다는 이유로 1951 2 9일 신원면 덕산리 청연골에서 주민 84명을 학살하고, 2 10일 대현리 탄량골에서 주민 100명을 할살하였으며, 2 11일 과정리 박산골에서 주민 517명을 학살하고, 2 9-2 11일 기타지역에서 주민 18명을 학살하는 등 총 719명이 학살되었으며, 이 중 15세 이하 남녀 어린이가 359명에 달하였다. 사건 이후 후환을 두려워했던 한동석 소령은 시체를 소각하고 신원면 일대에 대한 타지인 출입을 막은 상태에서 어린이 시체를 골라내어 다른 곳에 암매장한 뒤 공비와의 전투로 희생자가 발생한 것으로 사건을 은폐하려 하였으나, 3 29일 거창 출신의 신중목 국회의원이 당시 부산에 피난중이던 국회에서 보고함으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3 30일 국회와 내무부, 법무부, 국방부의 합동진상조사단이 구성되어 4 7일 합동진상조사단이 신원면 사건 현장으로 향하였으나, 길 안내를 맡은 경남 계엄민사부장 김종원 대령은 신성모 국방 장관과 사전에 모의하여 9연대 정보 참모 최영두 소령의 수색 소대로 하여금 군인을 공비로 위장 매복시킨 뒤 조사단에게 사격을 가하여 현지조사를 저지시켰다. 그러나 5 8일 국회는 비합법적 행형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 공개함으로써 그 부당성을 지적하였고, 그 결과로 내무부, 법무부, 국방부의 장관이 사임하였고, 7 27일 대구고등군법회의에서 심판부가 구성되어 12 16일의 판정판시에서 사건의 직접 책임자인 김종원, 오익경, 한동석에게 각각 징역형을 선고하였으나 얼마 후 모두 대통령 특사로 석방된 뒤 김종원은 경찰에, 오익경과 한동석은 군에 각각 복권, 복직되었다. 이후 4.19의거로 자유당정권이 무너진 뒤인 1960 5월 유족 70여 명이 보복으로 당시의 면장 박영보를 끌어다 생화장하는 참사가 일어났고 대검찰청의 재수사로 사건의 진상이 드러났으나, 1961 5.16 군사정부는 유족회 간부들을 반국가 단체 혐의로 구속시켰고 6 25일 경남지사 최갑중은 학살된 양민을 합장한 박산합동묘소에 개장 명령을 내려 묘역을 파헤친 뒤 공동묘지에 각자 개장하게 하였으며, 위령비를 땅에 파묻게 하였다. 이후 끈질긴 신원운동으로 1967년 봉분이 복구되었고 1988년 위령비를 다시 파냈으며, 1995 12월에 거창사건등 관련자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 조치법이 통과되었다.

1529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건국치안대                   광복 직후 사회 혼란 수습과 치안 유지를 위해 조직된 단체.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을 인수받은 여운형이 1945 8 16일 휘문중학교 강당에서 장권을 대장으로 조직하였다. 9 2일 건국준비위원회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미군정 시기의 사설 치안조직 불허 방침에 따라 해산되었다. 건국치안대는 안국동의 풍문학교에 본부를 두고 청년 및 학생 2,000명을 동원하여 서울의 치안 확보를 담당하게 하는 한편 전문학교 이상의 학생 200명을 전국 각지에 파견하여 지역별 및 직장별 치안대를 조직하고 각각 그곳의 치안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중요 자재 및 기관들과 특수 수원지를 보호하게 하고 전기회사 및 철도국과 연락하여 교통 원활화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한 광복 이후 분노한 한국인들의 격앙된 민족감정에 의해 일본인들이 린치를 당하는 것에 대해서도 보호하였으나, 일본인들은 소유의 재산 및 물자를 파괴, 매각하고 친일파에게 무기를 분배하는 등의 행위를 자행하여 건국치안대의 행동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또한 경찰서의 접수 및 관리과정에서 일본인 경찰이나 헌병 및 조선인 일제경찰과의 충돌도 다소 있었다. 건국치안대는 급조된 조직이었던 이유로 인해 소홀한 점이 있었고 유사단체에 의한 폐해도 다소 있었으나 이들의 활동으로 인하여 해방된 대한민국은 곧 질서가 유지될 수 있었으며, 해방 직후 국민들에 의한 자주적인 치안유지 조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1530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건설동원           Construction Mobilization 군사작전은 물론, 기타의 전시소요까지도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물, 토지, 중기 및 기타 건설장비, 건설업체 등을 사용, 통제, 운영하는 것으로, 군 소요 중기는 사용동원 하고, 긴급 복구지원에 소요되는 중기는 시, 도지사가 통제 운영한다. 보상금액은 물자동원시의 보상기준액에 따른다.

1530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건제부대           Organic Unit      전술상의 목적으로 인해 평시 때부터 그 편성법을 제정하여 건설한 부대로, 건제에 따라 편제상의 단일지휘관하에 고정편성되어 결합된 부대를 가리킨다. 건제란 국군 건설을 위하여 정해진 근본제도로, 편제표에 따라 정해진 군 조직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건제부대에는 (야전), 군단, 사단, 여단, 연대, 대대, 중대, 소대 등이 있으며, 건제부대에 대한 지휘 및 통제는 교리 또는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1530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게릴라             유격전에 종사하여 적 후방을 공격하고 교란하는 소부대 또는 그 전투원으로 정규군이 아닌 자를 가리킨다. 나폴레옹 군대의 에스파니아 원정 때 에스파니아인들이 행했던 무장 저항을 게릴라라고 칭했던 데서 비롯된 말로, 게릴라라는 단어는 소규모 전쟁이라는 의미의 에스파니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소련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던 이들의 호칭을 따서 파르티잔(partizan) 혹은 빨치산이라 불리기도 한다. 조직적인 군대식 편제는 갖고 있지 않으며, 근거지로 작은 기지를 두면서 일반 민중의 지원을 받으며 그 속에 숨기도 한다. 별도의 보급체계를 거의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활동지역 주민들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것이 없이는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없다.

1530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게릴라전           Guerrilla Warfare 게릴라 부대에 의해 행해지는 전투로, 유격전이라고도 한다. 게릴라 부대는 대항할 적 부대에 비하면 일반적으로 화력이나 병력이 열세하기 때문에 정면작전을 회피하고 주로 적의 후방을 활동무대로 하며, 소부대로 지형 등을 이용한 기습을 가하여 적에게 피해를 가하고 신속하게 후퇴하거나 경비가 허술한 적 후방의 통신소나 군용물자 집적소, 철도 등을 공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때에 따라서는 정규군과 연동하여 작전을 수행하기도 한다. 유격전의 성공 요소로는 주민지원과 유리한 지형 외에도 외부로부터의 지원, 유능한 지휘통솔, 엄격한 기율, 선전활동과 정보활동, 노력의 종합과 치열한 저항 의지 등을 들 수 있다. 게릴라전은 기본적으로 전략적으로 약한 자가 강한 자에 도전하는 것이며, 전략적으로 수세에 놓여 있다 할지라도 전술적으로는 항상 공세를 취하는 것이므로 적의 약점을 최대한 이용할 필요가 있다.

1530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격자형 통신망    Mode Communication System      데이터 통신망의 형태 중 하나로, 2차원적인 형태를 갖는 망을 가리킨다. 1차원 망에 비하여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되나, 신뢰성이 뛰어나고 트래픽 처리의 능률이 우수하여 광역 통신망에 적용되거나 화상처리 등의 특수분산처리 컴퓨터망에 이용된다. 한국 육군의 차기 전술통신체계로 채택되어 운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스파이더(SPIDER)체계 역시 기존의 트리형 통신망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격자형 통신망을 채택하고 있으며, 작전책임지역 내에 수개의 지역통신소(노드)를 설치하여 격자형으로 연결하고 지역단위로 통신지원을 제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격자형 통신망을 채택할 경우 통신망의 생존성이 높을 뿐 아니라, 통신소 파괴시 우회통신이 가능하고 최단 통신경로를 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정성을 비롯한 전술통신체계로서의 기능 및 유용성이 이전의 트리형 통신망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1530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격파     Rupture, Defeat  적의 인원, 장비 및 시설 등에 피해를 주어 적 전투력의 기능을 감소 내지 상실하도록 하여 그 전투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격행동을 가리킨다. 적의 방어진지 내에 신속히 간격을 형성하는 것(미 육군 야전교범 101-5-1, 작전용어 및 도식, 1980)을 뜻하기 때문에 와해로도 표현할 수 있고, 전술적인 의미에서 와해는 격파와 동의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격파 행위의 목적은 적 부대를 분산시켜 방어의 지속성을 깨트리는 것으로, 적의 진지 및 적 부대에 공히 적용되는 개념이다.

1530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견제     Contain 일반적 의미로는 적에게 심리적 혹은 물리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전략적으로 유리한 정세를 전개하거나 전개하기 위한 조건을 획득하는 것이며, 군사전술상으로는 아군의 주력방향에 대치한 적 전투력을 분산 소멸시켜 주력방면의 전투력비가 아군에게 유리하도록 할 목적으로 아군이 목적하는 주력방면 이외의 지역에 가능한 한 많은 적 병력을 고착시키거나 적의 행동을 방해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 견제의 수단으로는 군사적 혹은 정치적 시위나 경제적인 압박, 심리전술 등이 있으며, 군사전술상의 견제는 위협에 의해 달성된다. 견제를 위한 위협의 방법으로는 아군 주력부대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과감한 급습을 행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견제작전은 기본적으로 주작전의 종속적 작전으로 주작전에 의해 시간적, 공간적 구속을 받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만적 성격의 작전으로 결전을 회피하여야 하나 상황에 따라서는 결전을 행할 필요도 있다.

1530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견착식 화기       Shoulder Weapon          운용하는 병사의 어깨 부분으로 지지하며 사격을 행하는, 보병이 사용 가능한 무기를 가리킨다. 소화기, 대공 무기, 대전차 무기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보병용의 일반 소총과 유탄발사기 등은 개머리판을 장착하여 이를 통해 견착식 사격을 하고 반동을 어깨로 흡수한다. 권총의 경우에도 반동이 강한 경우에는 이를 억제하고 사격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의 견착용 지지대를 장착하여 견착식 사격이 가능한 종류가 존재한다. 견착식 대공 무기의 경우 보병만으로 운반 및 사용이 휴대용 대공 무기의 필요성에 의해 생겨났으며, 한국군에서는 재블린, 스팅어 등의 미사일을 운용 중에 있다. 견착식 대전차 무기 역시 견착식 대공 무기와 같은 개념으로 생겨났으나, 그 역사가 좀 더 오래되어 최초의 등장은 제 2차 세계대전 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한국군은 판저파우스트 3, LAW이외에도 예비용 화기로 구형의 3.5인치 바주카포나 KM202 로켓발사기 등도 보유하고 있다.

1530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결정적 작전       Decisive 전반적인 작전수행의 한 과정으로서 부대의 주력을 투입하여 승패를 결정짓는 작전을 가리킨다. 적에 대하여 정보우위가 달성되고 유리한 작전여건이 조성되었거나 적의 결정적인 취약점이 노출되었을 때 모든 전투공간에서 모든 전투부대가 일제히 공격하여 적의 중심을 마비 또는 교란시키고 적의 전투수행 의지를 약화시켜 아군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작전이다. 결정적 작전의 수행시에는 발견되거나 조성된 적의 약점에 전투력을 집중하여 신속하고 대담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530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경계     Security 부대의 전투력을 보존하고 적의 정보활동을 거부하여 부대의 안전 및 행동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의 공격, 기습, 관측 및 기타 위협으로부터 아군 부대를 보호하기 위해 취하는 제반 활동 및 수단을 가리키며, 이 중 적에 의한 기습을 방지하는 것이 최대로 강조된다. 적 접근의 조기 발견 및 경고, 적 전진 지연 및 적 기만, 가능한 한도 내에서의 적 격파, 철수작전시 우군 철수부대의 엄호, 적 지상관측의 방해, 적의 공중공격 및 ABC병기 경고, 책임 지역내의 감시 등이 주요한 경계임무이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는 기본적으로 전장감시, 조기경보, 경계부대의 운용, 정찰 및 역정찰, 장애물 운용 등이 있고, 적 정보활동의 제한 및 효과 감소를 위한 수단으로 은폐와 엄폐, 소산, 전자전, 기만작전, 작전보안 등이 있다

1531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경순양함           Light Cruiser CL  순양함의 분류 가운데 한 가지. 1931년의 런던 군축조약에서 처음 그 정의가 정해졌으며, 주포의 구경을 기준으로 하여 그 구경이 15.2cm 이하인 것을 경순양함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중순양함이 전함의 축소판이라면 경순양함은 구축함의 확장판이라 불릴 수 있는 함으로, 주로 10문 정도의 함포를 탑재하고 이를 사용하여 전투를 수행했다. 기준배수량은 일반적으로 4000톤에서 9000톤 정도였다. 현대의 순양함은 함포보다는 미사일 등을 주요 탑재무기로 하기 때문에 구경에 따른 분류는 거의 의미가 없어졌고 굳이 구분한다면 배수량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겠으나, 현대함선에 대한 분류에서 경순양함과 중순양함의 분류는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1531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경제수역           Economic Zone   배타적 경제수역의 준말로, 영해 밖으로 해안기선으로부터 200해리 안에 설정된 수역을 가리킨다. 1982년의 국제연합 해양법조약으로 제도화되었으며, 연안국의 영해 바깥 해양자원에 대한 권한을 보장하고 있다. 해양법조약에 따르면 연안국은 경제수역에서 해저의 상부수역, 해저 및 그 아래의 생물과 비생물을 포괄하는 천연자원을 탐사, 개발, 보존, 관리하기 위한 주권적 권리 및 해수, 해류, 바람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 등 수역의 경제적 탐사와 개발을 위한 다른 활동에 관한 주권적 권리와 인공섬, 설비 및 구축물의 설치와 이용, 해양의 과학적 조사, 해양환경의 보호와 보전에 대하여 해양법조약에서 정한 관할권 및 해양법조약에서 정한 기타의 권리를 갖는 동시에 생물자원의 보존과 최적 이용에 대한 의무를 진다. 또한 연안국이 아닌 모든 나라는 경제수역에서 항행의 자유, 상공 비행의 자유, 해저전선과 파이프라인 부설의 자유 및 그 운용에 따르는 그 밖의 국제적으로 적법한 해양 사용의 자유를 가지나 그 자유의 행사와 의무의 이행에 있어 연안국의 권리와 의무를 고려하고 연안국의 법령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경제수역의 제도와 양립하는 한도 내에서 공해제도에 관한 국제법의 다른 규칙도 이 수역에 적용된다.

1531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경포     Light Artillery     포의 구경에 따른 분류의 한 가지로 중포에 대치되는 개념이다. 육군에서는 구경 105mm, 해군에서는 구경 120mm이하의 포를 가리킨다. 곡사포와 평사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한국 육군에서 운용하는 것으로는 105mm 유탄포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으며, 3,000문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 공용화기로 사용되는 60mm, 81mm 등등의 소구경 박격포 역시 경포의 분류에 포함된다

1531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계기비행           Instrument Flight           시계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항공기의 계기에 의존하여 행하는 비행으로, 통상 야간이나 악천후일 경우와 같이 육안으로는 비행하기 힘든 경우에 주로 행해진다. 계기비행이 가능해진 것은 전파를 이용한 항법이 개발되면서 항공기의 위치 파악이나 항로 유도 등을 전파를 통해 행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으로, 계기비행이 발전하면서 기상현상으로 인한 비행의 제한이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 현재 규정상 시정, 운고 등의 기상조건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계기비행기상조건으로 분류하여 반드시 계기비행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조종사가 계기비행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계비행을 익힐 필요가 있으며, 별도의 계기비행 지식을 교육받고 계기비행 훈련을 행한 뒤 계기비행증명을 받을 필요가 있다.

1531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계기착륙장치      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계기착륙을 위한 착륙용 표준시설을 가리키며, 1947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의해 표준시설로 채택되었다. 계기착륙시설은 착륙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전파로 항공기의 강하경로정보(수평 및 수직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지점에서 착륙지점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운용되며, 이를 통하여 극히 낮은 운고와 저시정 상태에서도 항공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계기착륙시설은 활주로 중심선의 지시정보를 제공하여 수평정보를 알려주는 방위각 장비(Localizer)와 착륙 활공각(통상 3) 정보를 제공하여 수직정보를 알려주는 활공각 장비(Glide Path)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착륙지점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마커 비콘(Marker Beacon)으로 구성되며, 완벽한 계기착륙을 위해 계기착륙시설과 병행하여 VOR, DME, NDB 등의 무선시설 장비를 병행설치하여 운용한다. 계기착륙시설 시스템은 그 편리성이 탁월하나 시설의 특성상 지형적, 지리적 조건에 따라 설치의 제약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1531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계략     Ruse     기만을 달성하기 위한 꾀를 가리킨다. 통상적으로 계략은 사단급 예하 모든 제대에서 사용되며, 적을 기만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작전으로 일반적으로 단일 행동이다. 사전에 계획할 수도 있으나 준비 없이 즉응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공격측 방어측 모두 적에게 허위 첩보를 주도록 노력하거나, 적의 의도와 사기, 전투준비 및 그 태세 등을 아군에게 노출시키게 하기 위해서 실시되기도 한다. 간단한 계략의 예로는 적절한 전자기만을 통한 유리한 적 반응의 유치라든가 소수의 전차로 전 지역을 운행하여 대규모 이동 흉내를 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531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계류기뢰           Moored Mine    

1531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계엄령   Martial Law       국가 원수가 계엄 실시를 선포하는 명령을 가리킨다,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방상의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공공질서의 안녕을 위해서 군사력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 계엄법에 의거하여 대통령이 선포하는 명령으로서 계엄령이 선포되면 행정권과 사법권 등이 군의 권력하로 이관되며 헌법에 보장된 개인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경비계엄과 비상계엄의 두 종류가 있으며, 대통령이 선포하는 것이 원칙이나 교통 및 통신의 두절로 인하여 대통령의 계엄선포를 기다릴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그 지방을 관할하는 군사책임자가 임시로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 선포시에는 계엄의 종류, 이유, 지역 및 계엄사령관을 명시하여야 한다.

1531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립방어           Isolated Defense 적에 의하여 고립된 부대가 상급부대(아군부대)와의 연결이 불가능할 때 전세가 호전될 때까지 전면방어 개념하에 취하는 방어작전을 가리킨다. 고립된 상황 하에서는 연락 두절이나 보급의 제한을 비롯한 제반조건의 제한으로 인하여 사기가 떨어지기 쉬우므로 지휘관 및 참모는 사기의 유지를 위해 특히 신경써야 하며, 고립된 부대가 독자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행정지원 시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는 임시 매장지역, 탄약 보급소 외에도 지상보급의 불가능, 혹은 심한 제약으로 인하여 공중을 통해 보급물자를 수령하기 위해 설치되는 공중투하 및 착륙지역이 있는데, 특히 고립된 상황 하에서의 공중보급 실시 여부 및 그 효율은 방어자의 방어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방어지역-특히 도시지역-내에 민간인이 거주할 경우, 외부와의 연락 두절로 인하여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을 군의 배급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물자의 분배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고립방어 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면적인 방어 작전의 효율적 운영 외에도, 연결작전을 통해 반격의 실마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1531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속정   Patrol Killer Medium PKM 속도에 중심을 둔 소형의 배를 가리키며, 군사용 함정 중에서는 연안 및 항만을 방어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소형의 배를 가리킨다. 속도를 우선시하여 일반적으로 30노트 내지 40노트의 속도를 가지며, 50노트 이상의 속도를 가진 고속정도 있다. 중량은 최대 1,000톤 이내로, 일반적으로 연, 근해용일 경우 200-250, 연안용이 500톤 정도이나, 미군의 페가수스급(57)이나 한국군의 참수리급(170)과 같이 용도에 따라 더 가볍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고속정은 용도에 따라 유도탄정, 대잠정, 초계정, 함포정, 어뢰정 등의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대함 및 대공방어능력을 보강한 신형함이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선형 역시 속도를 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고 있으며, 활주형, 배수량형, 수중익 장비형, 표면효과정(SES), 해면효과정(WIG) 등이 있다. 현재 한국해군의 주력 고속정은 참수리급 고속정(PKM)으로 한국 해군의 연안전력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요 임무는 적 함정에 대한 요격과 항만 방어, 대간첩 작전 및 연안해전이다. 참수리급 고속정은 연평해전을 통해 초계정으로서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1999년 말부터는 해군에서 차기 고속정 건조계획인 PKM-X가 구상되고 있다.

1532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수방어           Defense in Place 강력한 방어편성과 결전의 의지를 기초로 방어지역의 상실을 최대로 억제하면서 적의 공격을 저지 격멸하기 위한 방어작전의 개념을 가리킨다. 퇴각하지 않는 확고한 저항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는 중요지역의 확보와 적의 격멸에 주안점을 두고 적의 공격력을 약화 또는 무력화시키고 결정적인 지형을 고수하며 적을 불리한 지형으로 집중하도록 하여 적극적인 공세적 방어로써 격멸한 후 조기에 공세이전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부대가 전면 포위된 상황에서 연결작전 없이 전술적 고수방어개념만을 고집해서는 공세적 방어라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1532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엽작전           Defoliation Operation      일반적으로는 수목이 우거진 지역에서 적의 은신처를 제거하기 위해 고엽제를 사용하여 수목을 고사시키는 작전을 가리키며, 좁게는 미군이 1966-1969년 사이에 베트남에서 수행한 정글 파괴작전을 가리킨다. 고엽제는 말려 죽이는 방법으로 초목을 제거하는 제초제로 농약의 낙엽제에 해당하는 것을 통칭하나, 일반적으로는 베트남전쟁 당시 미군이 베트남의 밀림에 살포했던 2, 3, 5-T(트리클로롤페닐) 계열의 제초제를 가리킨다. 이에 포함된 TCDD(2, 3, 7, 8 사염기화다이옥신)은 기형이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이들은 30년대에 개발되어, 2차 세계대전 말기 동남아 전선 등에서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사용 이전에 전쟁이 끝났다. 이후 영국이 말레이시아에 대하여 수행한 식민지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베트남전쟁 시기인 1966-1969년 사이에 미군은 게릴라의 은신처를 없애고 군량 보급을 차단한다는 명분으로 공중살포 등의 방식을 동원하여 베트남의 정글에 고엽제를 대량으로 살포하였다. 미군에서는 이를 오렌지작전 이라는 명칭으로 불렀으나, 일반에서는 이를 고엽작전이라 불렀고 이에 사용된 제초제는 고엽제라 불렀다. 처음에 미군은 직접적인 인마살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엽제를 무기로 인정하지 않고 밀림에 대한 고엽작전을 강행하였으나, 생태학적 측면에서 고엽작전을 반대한 일단의 과학자들과 귀환병과 학생을 주축으로 한 반전운동 및 환경보전에 대한 여론 등에 힘입어 닉슨 대통령에 의해 1970년 말 고엽작전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전쟁 후 지금까지도 후유증을 겪는 이들 및 고엽제의 부작용으로 인한 기형아들이 상존하고 있다. 현재 국제연합(UN)은 고엽제를 제네바의정서에서 사용금지한 화학무기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그 사용을 감시하고 있다.

1532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정식 탄약       Fixed Ammunition          발사체, 발사약, 뇌관이 모두 탄피에 물려 있는 형태의 탄약을 가리킨다. 권총이나 소총을 비롯한 현용 소화기의 탄약은 모두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차포나 소구경 포 역시 이러한 탄약을 사용한다.

1532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정익 항공기    Fixed Wing Aircraft         고정된 날개를 가지고 거기에서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항공기를 가리킨다. 로터(rotor)를 사용하는 회전익 항공기와 대치되는 개념이다. 가변익 항공기의 경우 더 유리한 비행특성을 얻기 위해 주익의 후퇴각을 바꿀 수는 있으나, 회전익처럼 날개의 움직임으로 양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후퇴각 변경을 통해 고정익 항공기의 각종 평면형상과 그에 따르는 비행특성을 얻어내는 것이므로 고정익 항공기로 분류된다. 양력을 얻기 위해 일정 이상의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헬기와 같은 자유로운 저속 비행이 어렵고 호버링을 행할 수 없으나, 순항속도나 행동반경 등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헬기에 비해 우수하다. 헬기-회전익 항공기-를 제외한 일반적인 항공기는 모두 고정익 항공기로 분류되나, 미군의 V-22 오스프리(Osprey)와 같이 회전익과 고정익 양쪽의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틸트로터(Tilt rotor) 항공기와 같은 특수한 예도 존재한다.

1532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정포   Fixed Artillery     완전히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운용하는 포를 말한다. 거점의 방어를 위해 설치해 놓는 것이 일반적인 운용 방식으로, 지상의 요새포나 상륙거부 등을 위한 해안포와 같은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나, 현재 한국군에서 완전한 고정포 형태로 운용되는 것은 해안포 정도이다. 한국군에서 사용하는 해안포는 주로 76mm 구경이며, 구형의 M47 전차, 혹은 M48 전차의 초기형(주로 A2C)중에서 도태전차로 분류된 것들을 포탑만 떼어서, 혹은 원형 그대로 해안포로 사용하기도 한다 (구경 90mm). 다만 지대공 미사일을 사용하는 방공포대 역시 포병의 범주에 들어가므로, 이 경우 고정형 SAM 체계(운용은 반 기동형임)인 한국군의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미사일의 경우도 넓게 보아 고정포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1532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고착부대           Fixing Force       기동방어 수행시 조기 경고, 방어, 지연, 기만 및 적공격 와해를 수행하며, 지연진지를 집중하여 적의 병력을 집결시켜 적으로 하여금 아군 역습에 취약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 방어지역에서 운용되는 비교적 경장비의 부대를 가리킨다. 고착부대의 임무로는 적의 공격예상을 경고하고 적의 공격진행 사항에 관한 첩보를 제공하는 조기 경고, 특정 지역의 방어 수행, 지연과 기만, 적 공격 및 공격수행 부대의 와해, 아군 예비대를 이용한 공격이 적합한 지역으로 적 부대를 유인, 적 공격부대의 집결 강요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임무의 수행을 위하여 관측소와 청음초를 비롯한 감시 수단의 강구, 수색 정찰의 수행, 저지진지의 점령 및 방어, 지연 행동, 능력범위 내에서의 공세행동 등의 활동을 혼용하여 부대를 운용한다. 규모가 작을 수 있으며 기계화 사단일 경우에도 비교적 경장비의 차량 및 기계화 보병으로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적의 기계화부대와 대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차로 적절히 증강될 필요가 있다.

1532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곡사포   Howitzer           일반적으로 탄도의 형태와 발사각이 평사포와 박격포의 중간적 특성을 가진 곡사화기를 가리킨다. 다만 발사각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곡사포라도 직사 혹은 평사포와 같은 저사계사격이나 박격포와 같은 산사면 뒤에서의 고사계사격을 행할 수 있다. 탄도가 포물선을 그리기 때문에 장애물이 많은 지대에서의 사격시 평사포보다 유리하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비교적 소형의 차체와 짧은 포신으로도 장포신의 대형 평사포에 필적하는 사정거리를 가진다. 현재 한국군에서 사용되는 견인포 및 자주포는 대부분 곡사포이다. 곡사포의 의미를 폭넓게 해석하면 곡사가 가능한 모든 포를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고사계사격을 위주로 하는 박격포가 곡사포의 범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1532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격개시선        Line of Departure          공격부대 또는 정찰부대가 공격방향 및 시간을 협조하고, 공격임무를 수행할 위치를 지정한 선을 가리킨다. 상륙작전에 있어서는 돌격주정 제 1파가 예정시간에 지정된 해안에 상륙할 수 있도록 해상에 적절히 표시한 조정선으로, 대략 상륙해안과 평행을 이루도록 해상에 지정되는 선이며, 이 선을 연하여 계속되는 제 2, 3파 및 이후의 배들이 해안으로 최종적인 이동을 위해 전개하는 곳임

1532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격작전           Offensive Operations      적의 전투의지를 파괴하고 적 부대를 격멸하기 위해 가용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여 전투를 적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작전으로, 아군의 의지를 적에게 강요하여 결정적인 성과를 달성하는 적극적인 작전형태이다. 공격작전은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 전투력을 집중하여 적을 격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부대가 노출된 상태에서 기동하므로 전투력이 조기에 소모될 수 있다는 약점이 있으므로, 작전한계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작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전투력을 운용하여야 한다. 또한 공격작전은 본질적으로 적을 수동적인 태세로 유도하여 공격하는 측에 행동의 자유를 갖도록 하는 것이므로 항상 주도권을 장악하고 유리하게 행사하여야 하며, 결정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적에 비하여 상대적인 전투력 우세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투력을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1532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격준비사격      Counter Preparation Fire  공격작전에서 공격을 가할 주력부대의 공격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의 진지와 물자, 화력지원수단, 통신 및 지휘소, 관측소를 파괴하고 제압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사격을 가리킨다. 이것은 통상 포병사격으로 대표되는 지상화기나 공중으로부터의 폭격으로 맹렬한 사격을 가하는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륙작전 등의 특수한 상황에 있는 관계로 전투장소가 해안과 가까운 경우에는 함포에 의하여 실시되기도 한다. 공격준비사격은 공격작전의 진행 예정에 맞추어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 미리 준비한 계획에 따라 시간계획에 의거하여 실시하게 된다.

1533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격준비파괴사격 Counter Preparation Fire  적의 공격이 임박했음이 발견되었을 때 실시하는 강력한 예정사격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적의 공격준비사격이 가해진 직후 행하여지게 되는데, 이는 적 공격준비사격의 완료가 멀지 않은 시간 내에 적의 공격이 개시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격준비파괴사격은 적이 행한 공격준비사격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적의 공격대형을 파괴하며, 지휘, 통제, 통신 및 관측체제를 와해시켜 적이 가진 공격역량과 공격정신을 저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33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격헬기           Attack Helicopter           병력 수송 능력보다는 전투 및 공격능력에 중점을 둔 헬기. 장갑능력 역시 병력수송용 헬기보다는 강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로 보병을 비롯한 지상부대와 협조하여 적의 지상목표를 제압하는 데 이용된다. 베트남전쟁 시기에 처음으로 이러한 개념의 헬기가 탄생하였으며, 이후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다. 저공, 저속비행 능력과 호버링 등의 기동을 십분 이용하여 명중률 높은 공격으로 지상부대에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며, 특히 전차의 약점으로 꼽히는 상면장갑을 공중에서 용이하게 노릴 수 있는 동시에 공격받는 측의 대응수단이 지상공격에 비해 제한되기 때문에 적의 기갑부대에 대해서 가장 유용한 공격수단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군은 AH-1 코브라 시리즈를 주력 공격헬기로 운용하고 있다

1533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기부양 상륙정  Landing Craft Air Cushion           장비 및 인원을 고속으로 상륙시킬 수 있는 공기부양정을 가리킨다. 해안에서 수십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으로부터 발진할 수 있어 초수평선상륙작전에 필수불가결한 장비이며, 일반적인 상륙정이 전체 해안의 15% 정도만 이용할 수 있는데 비해 LCAC는 전세계 70-80% 이상의 해안에 상륙할 수 있고, 수륙양용의 공기부양정이기 때문에 15% 이상의 해변 위에 직접 올라서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LHA(amphibious assault ship:강습양륙함) 등의 함선에 탑재되어 운용되는데, 60톤에서 75톤까지의 화물을 만재하고 40노트라는 고속으로 이동하며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원수송 외에도 다수의 험머나 장륜식 장갑차, 2대의 브래들리 보병전투차나 1대의 M1계열 전차를 수송할 수 있다. 현재 미군에 80여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본이 6기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군은 자체적으로 솔개급 공기부양정을 제작하였으나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미군 LCAC의 면허생산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1533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대공 유도탄    Air To Air Missile AAM    공중에서 공중, 즉 항공기에서 발사되어 상대의 항공기를 공격하는 유도 미사일을 가리킨다. 최초의 공대공 유도탄은 2차대전 말기 독일에서 개발된 X-4, 유선유도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로켓추진 미사일이었으나, 실전에서의 사용례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항공전에서 최초로 공대공 미사일이 사용된 것은 1958년으로, 대만의 F-86F 세이버 전투기가 중공의 미그기에 발사한 것이 최초로 알려져 있다. 현대의 공대공 유도 미사일은 유도방식에 따라 수동, 능동 및 반능동, 유도수단에 따라 열추적과 레이더 추적, 목적에 따라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등으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베트남전쟁 때 사용된 공대공 유도 미사일의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사용에 있어 한계가 있었던 점이 지적되어 F-4 항공기의 초기형에서 제거했던 기관포를 후기형에 다시 장비한 이래 현대 전투기도 기관포를 장비하고는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보조 무장으로 현대 공중전은 상대의 항공기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전에 원거리에서 발사된 공대공 미사일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더 넓은 탐지거리와 포착거리, 사정거리와 정확도를 가지는 공대공 미사일의 개발 및 보유는 현대전의 공중전에서 공중우세를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1533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대지 유도탄    Air To Surface Missile ASM          공중에서 지상, 즉 항공기에서 발사되어 지상이나 해상에 있는 목표를 공격하는 유도미사일을 가리킨다. 해상의 함선을 공격하는 공대함미사일도 공대지미사일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유도의 수단에 있어서 공대공미사일보다 다양하여 열추적과 레이더 호밍 외에도 TV유도방식이나 레이저 유도방식, 전파유도방식 등이 쓰이고 있으며, 공격헬기에서는 유선유도의 토우미사일을 사용하기도 한다. 지상목표를 공격하는 미사일로는 팝아이나 헬파이어 등이 대표적이며, 해상목표를 공격하는 미사일로는 하푼이나 함, 엑조세 등이 대표적인, 이러한 대함미사일은 함에 장착하여 함대함 미사일로 운용하기도 한다. 또한, 토마호크와 같은 지대지 순항미사일을 항공기에 탑재하여 발사하는 공중발사순항미사일 역시 공대지 유도탄의 범주에 포함된다.

1533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세이전           Counter Offensive          적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어로부터 적극적인 공세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가리킨다. 반격과 동의어로 쓰이며 방어태세에 있던 부대가 공격태세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때 공격태세로 전환하는 부대는 전 부대의 주력이거나 적어도 그 대부분을 차지하여야 한다. 부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공격태세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의 전투는 방어에 필요한 전투의 한 과정, 즉 방어시 공세행동으로 분류된다. 방어시 공세행동은 적의 전투력을 약화, 격멸시키는 것을 통해 방어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공세로 전환하여 적 부대를 격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세이전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역습이나 역공격과 같은 방어시 공세행동은 성공의 여부 및 그 규모에 따라 호기를 이용하여 공세이전 단계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양자가 무관한 것은 아니다. 공세이전을 행함에 있어서는 시기와 위치, 방법 등의 선택이 정확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모든 방어작전은 공세이전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하나, 그 시기를 잘못 택할 경우에는 오히려 혼란에 빠져 결정적인 손실을 입고 더 어려운 지경에 처할 수도 있다. 그런 면에서 적의 작전한계점을 파악하는 것은 공세이전 시기의 포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세이전은 일반적으로 공격측의 공격시 발생한 약점이나 과오를 이용하는 경우와 공격측이 작전한계점에 도달했을 때를 이용하는 경우, 공세이전을 전제한 방어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1533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세적 방어       Offensive Defense          적지 종심지역으로 전장을 조기에 확대하고 적에게 최대한의 전투력 소모를 강요하여 조기에 작전 한계점에 도달시킴으로써 공세이전의 여건을 조성하는 방어작전을 가리킨다. 다만 공세적 방어란 어디까지나 방어개념이므로, 선제공격을 지향하거나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 전투력이 공자에 비하여 약한 상태에서 국부적으로 보다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방어자는 공세적 방어를 통하여 적의 전투력을 최대한 약화시킨 뒤, 방어자의 전투력이 공격자에 비해 우위로 돌아서 그것이 유지될 때 공세이전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어시 공세행동과 어느 정도 상통하는 개념으로, 방어시 공세행동은 공세적 방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사용된다

1533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세제공작전      Offensive Counter Air Operation   작전의 성격에 따른 제공작전의 분류 중 한 가지. 적극적으로 적의 공군력을 제압하여 제공권을 확보하고 적의 다양한 지상목표(주로 고정표적)에 대한 공격을 행하는 임무로써, 적지의 전투기를 탐색하여 파괴하는 전투기 소탕(Fighter sweep)임무, 적의 산업시설물 및 군사자산을 공격하는 타격(Strike)임무, 적 종심 깊은 곳의 목표에 대하여 타격을 행하는 종심타격(Deep Strike)임무 및 공세제공작전을 수행하는 항공기를 호위하는 호위(escort)임무로 나뉘어진다. 과거에는 전투기 소탕을 대공제압기가, 지상타격을 공격기나 폭격기가 행하였으나, 현재는 다용도의 전폭기가 등장하여 단일 플랫폼으로 공세제공작전에 관련된 모든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1533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수     Airlift    항공기를 이용한 수송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상업적인 여객과 화물의 수송을 가리키나, 군사적 의미로는 수송용 항공기를 이용하여 병력이나 장비 및 물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전장에서 공수를 이용한 작전이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한 것은 제 2차 세계대전 시기로, 공수를 통한 침투, 공수를 통한 보급, 공수를 통한 이송 등 넓은 범위에서 항공기를 이용한 수송이 쓰이기 시작했다. 지형의 구애를 받지 않고 육로에 비해 속도가 빠르며, 대공부대가 없는 한 피아의 전선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점을 살려 고립부대에 대한 보급이나 적 후방 침투 등에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1533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수작전           Airlift    공중수송을 통해 병력이나 물자를 이동시키는 작전. 적 후방의 중요지점에 전투부대를 침투, 전개시키는 것이나 고립되어 있는 아군 지역에 공중을 통해 물자를 보급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공중수송을 통한 병력침투의 경우,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높은 기습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침투하여 전개된 부대가 고립되기 쉽고, 완전한 제공권을 갖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는 작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제공권에 따른 제약은 물자보급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수송기를 통해 목표 상공으로 이동한 후 낙하산이나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하강하거나(병력침투), 미리 정해진 좌표로 이동한 후 낙하산에 매단 물자 컨테이너를 투하(고립지역에 대한 물자보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아군 점령지 내에서 공수작전을 수행할 때는 단순히 아군 공항에 착륙해서 하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차 세계대전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공수작전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베트남 전쟁 시기에 이르러서는 수송기 외에 헬기에 의한 대규모 저공침투 작전도 사용되었다.

1534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역     Airspace 공중공간을 구획지어 나눈 것으로, 육상 또는 해면을 포함하는 지표상에 구역과 고도로 표시되는 공중영역을 가리킨다. 용도와 목적에 따라 일반적으로 국내외 민간항공기과 군항공기의 구분 없이 자유항행권이 인정되는 일반공역과 국가안보나 군 작전업무의 필요성, 항공기 안전 등의 이유로 항공기 운항에 제한을 두는 특수공역으로 나뉘며, 일반공역은 다시 관제공역과 계기비행관제공역, 계기/시계비행관제공역 및 시게비행면제공역으로 나뉘고, 특수공역은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구역, 경고구역, 주의구역, 위험구역, 훈련공역으로 나뉜다. 또한 일반공역의 경우 관제공역과 비관제공역으로 나누어 등급기준에 따라 공역을 분류하기도 하는데, 국내에서는 A, B, C, D, E 클래스의 관제공역과 F(미지정), G 클래스의 비관제공역을 두고 있으며 각 등급에 따라 비행방식이나 항공기 분리 및 비행정보의 제공여부, 공지통신용 무선장비 장착의무 등에 차이가 있다

1534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역통제           Airspace Control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융통성있는 공역사용의 제고로 작전효과를 증대하도록 전투지대에서 제공되는 업무로서 지정된 공역통제 권한자가 작전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적절히 공역이용을 협조, 조정, 통합, 규제, 지시하는 제반 활동을 가리키며, 평시에 있어서도 특정한 행사 등으로 인하여 일부 지역에 공역통제를 행하기도 한다. 공역통제의 세부내용은 항공고시보(NOTAM)로 공지된다

1534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용화기           Crew Served Weapon      2인 이상이 1개 조로 편성되어 팀 단위로 운용하는 화기를 가리킨다. 한국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공용화기로는 60mm, 81mm, 4.2인치 박격포와 90mm, 108mm 무반동총, K-4 고속유탄 기관총, K-6 중기관총, 토우 미사일 등이 있으며, 이동시에는 분해하여 각 팀원들이 나누어 들고 이동하거나 차량에 싣고 이동하는데, 이는 무기에 따라 다르다.

1534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익근무요원      Public Good Service Member       국기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 및 사회복지시설의 공익 목적수행에 필요한 경비, 감시, 보호, 봉사 또는 행정업무의 지원과 국제협력 또는 예술, 체육의 육성을 위하여 병역의무의 한 형태로 운영하는 제도이다. 행정관서요원은 징병검사결과 보충역으로 병역처분된 사람이 소집대상으로 26개월간 복무하며, 국제협력봉사요원의 경우 현역입영대상 혹은 보충역 중 외교통상부장관이 선발하여 추천한 사람, 예술체육요원의 경우 현역입영대상 혹은 보충역 중 예술체육 분야의 특기를 가진 사람으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이 추천한 사람이 소집대상이 되며 각각 30개월, 34개월간을 복무하며 예술체육분야의 경우 예술분야는 병무청장이 정하는 국제경연대회 2위이상, 국내대회 1위이상 입상자 및 중요무형문화재 5년이상 전수교육이수자가 대상이 되며, 체육분야는 올림픽 3위이상, 아시안게임 1위입상, 월드컵 축구대회 16위 이상의 성적을 거둔 사람이 대상이 된다. 자가숙식 및 출퇴근 근무를 행하며 소속기관장의 지휘 감독을 받고, 행정관서요원에 대하여는 60일의 범위내에서 교육소집을 실시한다

1534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정부대           Airborne Force   공수작전에서 강하부대의 임무를 맡는 부대를 말한다. 공중수송에 의해 목표지점 상공으로 이동하여 낙하산이나 글라이더를 통해 강하한 뒤 적 군사상의 요지를 기습, 점령하거나 파괴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수송량에 제약을 받는 공수의 특성상 강하한 부대는 제한된 장비와 탄약으로 일정 시간 동안 고립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항공기에서의 강하 기술을 포함한 강도 높은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 최초의 공수부대는 소련에서 만들어졌으며, 2차 세계대전 시기에 독일이 공수부대를 운용하여 높은 전과를 거둔 이후 미국, 영국에서도 대규모 공수부대를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대전 이후 60년대에 이르러서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저공에서의 공수작전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강하를 수행하기 위한 특수한 훈련을 받지 않은 상태의 일반 보병들로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공수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1534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중 재급유       Air Refueling      비행 중인 항공기에 공중에서 연료를 보급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기록수립 등의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군사작전에 적용된 이후로는 항공기의 항속거리 및 항속시간을 연장하여 원거리 공격작전시 경유지에서 연료 보급후 이동해야 하는 시간적, 작전적 측면의 장애 요소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중급유를 행하는 항공기를 공중급유기(tanker)라고 부르며, 대개 수송기를 개조하여 대형의 연료탱크와 급유용 장비를 장착한 형태이다. 특수한 경우로는 라팔과 같이 동종의 항공기 사이에서 상호 급유를 행할 수 있는 기체도 있다. 공중급유 방식으로는 영국식과 미국식이 있는데, 영국식은 프로브드로그(probe-drogue)방식이라 하여 공중급유기에서 내린 드로그(급유구가 달린 호스)에 피급유기의 프로브(수유봉)을 연결하여 급유를 받는 방식이며, 미국식은 플라잉 붐(flying boom)방식이라 하여 수유관을 장착한 피급유기가 접근하면 급유기에서 내린 플라잉 붐(수유관)을 후방 승무원이 조작하여 수유관에 연결한 뒤 급유를 행하는 방식이다. 프로브드로그 방식은 동시에 여러 대에 급유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며, 플라잉 붐 방식은 한 대에만 급유를 할 수 있는 대신 급유량이 많다는 것이 장점이다.

1534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중감시           Air Surveillance   공중공간을 조직적으로 관측하고 감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로 관측하는 공간 내의 피아간 항공기 및 미사일의 이동을 확인하고 식별하며, 육안이나 레이더 전파, 공중감시 임무를 띤 항공기 등이 공중감시 임무를 행한다.

1534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중경보 통제체계          Airborne Warning And    감시용 레이더 및 각종 통신장비와 항법보조장비, 컴퓨터 등을 탑재한 항공기에 전문요원이 탑승하여 공중감시 및 조기경보, 방어작전시의 요격기 관제 및 공격작전시의 공격기 부대 지휘와 공중급유 및 구조작전을 지원하는 것을 임무로 하는 체계, 혹은 그러한 역할을 하는 항공기를 가리킨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항공기는 조기경보통제기라고도 불린다. 공중경보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로 대표적인 것이 보잉 707-320B 항공기를 개조한 미국의 E-3으로,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통해 본래의 기능 외에도 ECCM 능력을 향상하는 한편 ESM 기능, 위성항법(GPS), 통합전술정보 배분 시스템(JTIDS), 탄도미사일 추적능력 등을 갖출 예정이다. 한국군에서도 2012년까지 공중경보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조기경보통제기를 도입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1534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중우세           Air Superiority    공군력에 있어서 적보다 우세한 전투능력을 가지고 적 공군력에 의한 대항이 있더라도 실력에 의해서 적의 항공활동을 봉쇄하고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아군기가 자유롭게 행동하면서 적의 유효한 간섭을 받지 않고 지상, 해상 및 공중작전을 행할 수 있는 공중작전에서의 상대적인 우세정도 혹은 그러한 우세가 보장된 상태를 가리킨다. 제공권의 일부에 속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공중우세를 보장하는 것을 임무로 하는 위한 항공기를 공중우세기 혹은 대공제압기라 한다.

1534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중전투초계      Combat Air Patrol CAP    방어제공작전의 한 종류로서, 전투기로 공중대기 상태에서 공중감시 및 초계를 행하면서 적의 침입을 방지하고 보호대상을 방어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임무의 성격에 따라 적기의 임무공역 침범을 저지하는 방호 공중전투초계(Barrier CAP:BARCAP), 지형을 이용한 매복 초계를 행하다가 임무공역으로 진입하는 적기를 격추하는 매복 공중전투초계(Ambush CAP:A-CAP), 구조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의 보호를 위해 초계를 행하는 구조 공중전투초계(Resque CAP:RESCAP), 고가치의 주요 자산(조기경보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초계를 행하는 고가치 자산 보호 공중전투초계(High Value Asset CAP:HVACAP), 목표상공에 도달하여 지상공격을 행하는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목표지역 주변에 대한 초계를 행하는 목표 공중전투초계(Target CAP:TARCAP), 공격편대군의 전방에서 초계를 행하는 전방공중전투초계(Forward CAP:FORCAP) 및 예상되는 적 침투로에 대하여 박명시간대에 초계를 행하는 박명 공중전투초계(Dawn And Dusk CAP:DADCAP) 등으로 나뉘어진다

1535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지작전           Airland Operations         공지전투를 확장 발전시킨 개념이며, 전쟁 전의 전쟁준비단계에서부터 전쟁시행단계 및 전쟁후속단계까지를 망라하여 화력과 기동을 이용하여 불확실한 전장환경에서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대한 개념이다. 공지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결조건으로 전장을 감시할 수 있는 신속 정확한 정보의 수집과 적 종심을 포착할 수 있는 장거리 및 정면 사격체제,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 감독할 수 있는 C4I체제 및 적절한 군수지원이 필요하다. 공지전투의 개념이 공지작전으로 발달한 것은 90년대 초반의 다국적군-이라크 전쟁이었다.

1535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지전투           Airland Battle     소련의 제파식 돌진전법에 대항하기 위한 전술로 80년대에 개발된 개념으로, 공중과 지상의 가용전투력을 최대한 통합한 상태에서 제공권을 장악하고 적 종심 깊숙히까지 전장을 확대하여 적의 선두부대와 후속제대를 동시에 타격하는 방법으로 적의 후속제대가 전장에 도달하기 전에 최대한 그 전력을 약화시키고 조기에 주도권을 장악하여 적을 분쇄하는 전술을 가리킨다. 적 후방의 종심목표를 육군만의 부대에서는 장사정포가 담당하나, 공군의 항공기는 장사정포의 사거리보다 적 종심으로 훨씬 더 멀리 침투해 들어가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지전투의 핵심인 선두부대와 후방제대에 대한 동시공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군전력과 지상전력의 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다. 적의 선발부대로부터 종심 깊숙이까지 고루 공격하기 때문에 화력의 불필요한 중복을 막을 수 있는 작전개념으로, 적의 돌진전술을 막는다는 목적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수비형 전술이나 그 운용에 있어서는 공세적 기동전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수비형 전격전으로 볼 수 있다.

1535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해     High Seas, Open Sea      어느 나라의 주권에도 속하지 않고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다를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국가의 내수나 영해 및 군도수역 또는 배타적 경제수역에 포함되지 않는 해양의 모든 부분을 가리킨다. 최초로 성문화된 공해조약은 1958년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 1 차 국제연합해양법회의에서 채택한 공해에 관한 협약으로, 공해에는 기본적으로 공해자유의 원칙이 적용되나, 어업이나 항행, 해저전선의 부설 등 특정문제에 대해서는 각각의 조약이 체결되어 있다. 공해자유의 원칙과 같은 개념은 국제법의 아버지라 불리는 네덜란드의 그로티우스가 주장한 해양자유론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현재 공해는 국제법상 어떠한 국가도 영유하거나 배타적으로 지배할 수 없게 되어 있다

1535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해자유권        Freedom of The High Sea 공해가 어느 국가의 영역에도 속하는 것은 아니나, 주인이 없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인류 전체의 공공물이므로 어느 나라의 선박이라도 자유로이 항해하고 어획을 행할 수 있다는 뜻의 원칙이다. 공해 자유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원칙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국제법의 아버지라 불리는 네덜란드의 그로티우스로, 이후 국제 교통의 필요와 같은 이유로 이 원칙이 각국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이르러서는 국제 관습상의 원칙으로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1535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공황     Panic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사물이나 급변한 사태로 인하여 심리적 불안상태에 빠져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을 가리키며, 저항할 수 없는 공포를 특징으로 하는 극심한 정신적 장애를 일컫는다. 실제적인 위험상황에 빠지게 되었을 때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반사적으로 작동되는 공포반응으로서, 공포나 불안에 압도되어 평소의 자제력을 상실하고 방황하거나 극도의 이상 흥분으로 무기력, 허탈, 무감각 상태에 빠져 공포자극으로부터 무조건 이탈하려고 하는 도피행동을 보이게 되는데, 이를 공황발작이라고 한다.

1535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관성 항법장치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항행하는 물체의 속도와 현재위치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고도 및 자세 등을 결정하고 조정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미사일의 유도에 처음 도입되어 현재는 항공기 및 선박의 항법에도 사용되며, 내장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유도 전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만큼 외부에서의 전자방해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군사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이를 자동 조종 장치와 연동시키면 미리 설정된 항로를 자동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그 정밀도가 지속적으로 발달하여 현재 수천 km의 비행거리에서도 그 오차는 10km 이내이다.

1535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관성유도           Inertial Guidance 관성항법장치를 이용한 미사일 유도방식을 가리킨다. 관성을 이용하여 비행 중 전후, 좌우, 상하의 3축에 대하여 컴퓨터로 계속 정확한 비행체의 속도를 구하여 이 속도에서 경로상의 비행거리를 산출, 현재의 위치를 판단한 뒤 사전에 결정된 진로와 오차가 생겼을 경우 제어기구로 미사일의 운동상태를 조정하여 진로를 수정한다. 속도의 측정 및 위치파악에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는데, 관성공간에 대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기준 테이블을 만들고 그 위에 정밀한 가속도계를 장치하여 미사일에 탑재한다. 이 장치에 의해 발진한 순간부터 임의의 시각까지 3축 방향의 가속도를 2회 적분하면 비행거리가 얻어지며, 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등 내부에 장착된 장비만으로 유도를 행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 2차 세계대전 때의 V2 로켓으로부터 시작하여 현재의 장거리 탄도미사일에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1535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관측소   Observation Post 전장에 있어서 그 형세를 관측하기 위하여 선정되어 관측인원을 배치한 지점을 가리킨다. 관측대상에 따라 그 선정기준이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피아의 부대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면서 화기에 의한 사격을 지휘할 수 있는 위치나 포사격 후 탄착의 관측 및 수정이 용이한 위치, 적의 항공기 등에 의하여 쉽게 탐지되지 않으면서 그 접근을 탐지할 수 있는 위치(대공감시소의 경우) 등을 관측소로 선정한다.

1535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광통신   Optical Communication    넓게는 빛을 이용하는 통신형태를 총칭하는 단어로, 원시적인 거울반사 신호를 비롯하여 대기중에 직접 빛을 투사하여 공간 자체를 전송매체로 이용하는 방법, 광파이버 섬유 케이블을 통해 빛을 전송하는 방법 등을 모두 포함한다. 공간전파 통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범위 내의 파장을 가진 빛을 사용하는데, 현재는 주로 근거리 통신망(LAN) 등의 일부로 간이전송로를 구성할 경우에 사용된다.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은 광섬유 통신이라고도 하는데, 광통신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어 통상 광통신이라 하면 광섬유 통신을 가리키며, 대개 공간전파 통신에 비하여 파장이 긴 적외선 파장대의 빛을 사용한다. 전파에 비해 대역폭이 훨씬 넓어 적은 회선으로도 다량의 정보를 고속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축케이블에 의한 통신방식에 비해 손실이 적어 중계기의 설치가 대폭으로 줄어들고 번개나 전자방해 등에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1535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교감신경           Sympathetic Nerve         부교감신경과 더불어 척추동물의 자율신경계를 구성하는 한 부분. 부교감신경과 같이 심장, 혈관 등의 불수의근이나 땀샘, 소화선 등에 분포하며, 신체의 호흡, 순환 소화기능을 조절한다. 교감신경의 작용은 정신적으로 흥분상태에 놓였을 경우나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강해지는데, 동공이 크게 떠지고 안면혈관이 수축되는 동시에 정신성 발한이 왕성해지면서 호흡이 촉진되고 심박수가 늘어나는 현상이 일어나며. 소화 활동이나 비뇨생식기계의 활동은 억제된다. 또한 교감신경의 작용은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데, 이는 교감신경에 의한 흥분효과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1536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교두보   Bridgehead       공격부대에 의하여 확보되었거나 장차 점령될 하천의 적측 대안을 가리키며, 의미가 확대되어 작전에 있어 후속부대의 전진과 그를 통한 장차의 작전전개를 위한 기지를 제공하는 장애물 너머 적측 지대의 거점진지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일반용어로는 상대 세력권 내에 만든 발판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의미로는 하천전투에서 교량의 확보 및 엄호를 위해 축조한 진지를 가리키기도 한다. 하천전투에서의 교두보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는 혼잡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도하부대가 기동할 수 있으며, 도하부대 대부분의 수용이 가능하고, 잔류부대의 도하를 방호하는 동시에 장차작전의 기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최소한 도하지점에서의 관측 간접사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지상면적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1536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교란     Harassing         사전적 의미는 뒤흔들어 어지럽게 하는 것을 말하며, 적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혼란을 불러일으켜 작전행동을 방해하기 위한 행동을 가리킨다. 게릴라나 적지에 침투한 특수부대에 의해 적의 후방에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중공격으로 적 종심 깊숙한 곳을 타격하는 방법으로 혼란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교란작전에 속한다.

1536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교전규칙           Rules of Engagement      타국의 군대와 조우하였을 경우 교전을 시작하거나 시작된 교전을 지속하고 수행하는 데 대한 환경 및 조건, 제한, 금지 등을 명시한 지시가 담긴 규칙을 말하며, 소관 군 당국에 의하여 발행된다. 타국군과의 조우시나 전투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조건에 대하여 세밀하게 규정되어 있으며, 매우 엄밀하게 지켜져야 한다. 여하한 상황에서도 군인에 의한 교전규칙의 위반은 군법에 의한 처벌의 대상이 된다.

1536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구축함   Destroyer          고속으로 항행하면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소형의 군함. 19세기말에 등장했던 최초의 구축함들은 어뢰정들의 공격에 대비하여 전함이나 순양함 등의 대형함선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배수량은 400톤 전후였으나, 양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대형화되어 1500톤 내지 3000톤 정도의 크기를 갖게 되었다. 양차 세계대전 기간을 통해 어뢰정의 위협이 약해지면서 어뢰정에 대한 구축이라는 임무는 부차적인 것이 되었고, 수송함대의 호위나 대형함선의 호위 및 보조, 적 구축함에 대한 공격, 방어의 임무를 주로 수행하였으며, 특히 대잠 탐색 및 적 잠수함 세력 격멸에 크게 활약하였다. 현대의 구축함은 대함, 대잠, 대공능력을 고루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그 크기는 점점 대형화되어 현재에는 미국의 알레이버크급과 같이 배수량 10,000톤에 가까운 구축함도 존재하고 있다. 본래 순양함과는 임무나 배수량 등으로 구분되고 있었으나, 현재의 최신함들에 있어서는 임무나 배수량에 의한 경계나 구분이 다소 모호해지고 있는 경향이 있으며, 보통 임무보다는 배수량 기준을 통해 분류하여 대양에서의 독자적인 작전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일반적으로 순양함보다 경량급이고 행동반경이 작은 함선들을 통칭하고 있다.

1536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구토작용제        Vomiting           비치사성의 화학무기 중 한 가지. 일반적으로, 다른 치사성의 화학무기 중에서도 구토 증세를 일으키는 종류가 있으나, 구토작용제는 비치사성으로 구토 등의 효과로 적의 행동력을 제약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이 다르다. 들이마셨을 경우 구토, 기침, 두통 등의 증세와 함께 코 및 식도의 고통이나 콧물과 눈물이 나오게 된다. 응급처치로는 클로르포름을 흡입하게 한다.

1536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가동원           National Mobilization      전시 혹은 그에 준하는 국가적 위기와 같은 비상사태에 국가안전보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국가가 통제, 관리, 운영하여 국력을 더욱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한 조치, 혹은 그러한 국가권력작용. 본래의 군사적 의미에서는 단순히 군의 편제를 평시편제에서 전시편제로 전환하는 것을 가리켰으나, 현대전의 양상이 총력전의 형태를 띠는 데 따라 군만이 아닌 정치, 산업, 물자 등의 넓은 범위에 대하여 국가동원의 개념이 적용되게 되었다. 현재 한국의 경우 인적자원으로는 병력, 동원업체 종사자, 기술인력 등을, 물적자원으로는 식량, 공산품, 수송장비 등의 물자와 제조업체, 건설업체, 수송업체 등의 업체를 대상자원으로 보고 있으며, 국가동원을 위한 평시준비사항으로 동원대상이 되는 인력, 물자, 업체 등을 중점관리대상 자원으로 지정하여 비상시 임무를 고지하고 그 실태확인을 위한 자원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536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가비상사태      State of National Emergency        사변이나 폭동과 같은 내우 혹은 외환, 천재지변 등의 발생이나 중대한 국가재정 및 경제상의 위기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 질서를 개개의 경찰력으로 유지할 수 없고 상황의 해결을 위해 허락된 시간이 촉박하여 통상적인 국회입법 절차를 위한 소집을 기다릴 여유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19세기에는 국가비상사태를 전쟁, 내란, 폭동 등으로 유형화하였고 공공의 안녕질서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이나 파괴행위를 비상사태의 내용으로 규정하여 치안 및 행정조치에 대한 부분만을 가리키고 있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로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관련된 부분으로 비상사태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1536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가안전보장회의 National Security council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대외정책, 군사정책과 국내정책의 수립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는 것을 역할로 하는 대통령 자문 기관의 하나로, 국무회의의 전심기관(前審機關)이기도 하기 때문에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대외정책, 군사정책 및 국내정책 사항은 국무회의 심의에 앞서 될 수 있는 한 이 회의의 자문을 거쳐야 하나, 대통령이 자문을 거치지 않고 바로 국무회의의 심의에 붙인 경우에도 효력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법적인 면에서는 그 존재의의가 거의 없다. 60년대 초반에 설치되었으며 이전에는 거의 유명무실하였으나 1999년 이후 매년 연초에 회의를 개최하여 지난 한해 동안의 통일, 외교, 안보 분야의 정책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이를 통하여 새해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등, 현재는 그 위상이 매우 강화되었다.  대통령을 의장으로 국무총리, 통일부장관, 국방부장관, 외교통상부장관 및 국가정보원장과 대통령령이 정하는 약간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회의에서 위임한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상임위원회와 회의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를 두고 있다. 회의 진행에 있어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관계부처의 장, 비상기획위원회위원장, 합참의장 및 기타의 관계자를 회의에 출석하여 발언하게 할 수 있다.

1536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가영역           National Territory Domain           한 국가가 국제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배타적으로 지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적인 영역을 가리키며, 영토, 영해, 영공으로 구성된다. 국제법상 그 법적 성질에 있어서는 객체설, 구성요소설, 권한설, 결합설 등의 여러 설이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국가의 영역 자체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하여 국가가 영역을 자유로이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항을 인정하며, 영역내의 인민에 대한 지배권도 인정하여 자국인 뿐 아니라 외국인도 영역내에 존재하는 이상 지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국제법상 일정한 특권과 면제가 인정된 외국인에 대해서는 국권이 제한된다

1536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민방위군 사건            한국전쟁 중 편성되었던 국민방위군들이 1.4 후퇴로 인해 남쪽으로 이동, 수용, 교육, 훈련받는 과정에서 사령부 및 예하 교육대의 부실운영과 사령부 간부들의 예산횡령 및 군수품 부정처분 등으로 보급 부족 등의 사태가 일어나 국민방위군 소속 장병들 중에서 다수의 사망자와 병자를 냈던 사건. 1951 1월 중순부터 사건이 폭로되기 시작하여 3월 말부터 국민방위군이 해체되기 시작하였고 국회에서는 3월 말 진상조사위원회를 열어 조사에 들어갔다. 이 사건의 여파로 4 30일 국민방위군 폐지법이 통과되어 5 12일 국민방위군은 해체되었고 이시영 부통령과 신성모 국방부장관이 사임하였으며, 7 19일의 군법회의에서 사건의 핵심간부인 방위군사령관 김윤근 준장, 부사령관 윤익헌 대령, 보급과장 박기환 중령, 재무실장 강석한 중령, 조달과장 박창원 소령의 5명에게 사형이 언도되어 8 12일 공개 총살되었다. 부정하게 착복된 자금 및 물자의 일부가 각계 요로에 무마비조로 지급되고 정치자금으로 제공되었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정치자금에 대한 부분은 국회 조사시에서도 유야무야되어 결국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였다. 한편 착복된 자금과 물자의 규모 및 사망자의 집계에서도 국회조사와 헌병대 조사의 결과가 상이하여 논란을 빚었다

1537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방경비대                   대한민국 국군의 모체가 되었던 군사조직으로, 미군정하인 1946년 조직되어 남한 정부가 수립된 직후인 1948 9월까지 주로 국내 치안을 담당했다. 해방 후 남한 지역에는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을 실시하였는데, 당시 국내에는 각종 사설군사단체들이 조직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군정은 통일적인 군사기구를 조직하기 시작하여 1946 1 14일 국방경비대를 창설하였다. 통위부 산하기구로 1개 중대를 창설한 것을 시초로 8개 도청소재지에 각각 1개 중대를 편성하였으며, 1946 5월에는 국방경비사관학교를 창설하여 간부 육성체계를 확립하였다. 6월에 조선경비대로 개칭되었으며, 해안 및 도서지역의 순찰 및 경비를 목적으로 조선해안경비대가 창설되었다. 정부수립 직후인 1948 8 16일 국방부장관 훈령 제1조에 의하여 다시 대한민국 국방군으로 호칭을 바꾸었고, 8 24일 한미 양국 정부간의 협정으로 조선경비대에 대한 통수권이 이양되면서 9 1일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가 국군에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경비대는 육군으로 개편되었고, 1 30일 국군조직법이 국회에서 인준되어 조선경비대는 육군본부로, 조선해안경비대는 해군본부가 설치되면서 정식으로 대한민국 국군에 편입되었다. 한편 48 5월 통위부 직할의 항공부대로 창설된 공군은 육군본부 항공군으로 있다가 49 10월 육군에서 독립하였다.

1537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제 민간항공기구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국제연합(UN) 산하 전문기구의 하나. 약칭 ICAO. 1944 10월 시카고에서 미국의 요청으로 항공운송통제에 대한 의견을 일치시키고 동시에 항공운송을 발전시키기 위해 50여개국이 모여 국제민간항공조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비준한 26개국에 의하여 1947 4 4일 설치되었고 같은 해 국제연합 산하의 전문기구가 되었다. 이 기구의 기본적인 목적은 민간항공의 안전, 규칙, 능률을 도와주어 민간항공의 질서와 안전 운행을 확보하며 국제항공노선의 운항에 있어서 모든 국가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항공기의 설계나 운항 기술, 항공로, 공항이나 항공 보안 시설(항공 무선 관계 기기 포함)발달을 장려하며 국제항공운항과 안전기준을 설치하고 항공운항에 관한 정보를 수집, 검토, 공개하며 국제민간항공에 관한 회권국간의 분쟁해결을 위한 재판소 역할을 한다. 한국은 1952년에 가입하였다. 본부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으며 사무국 산하에 지역별로 7개의 사무소가 있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사무소는 타이 방콕에 있다.

1537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제연합                     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 평화와 안전의 유지와 국제우호관계의 증진 및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인도적 문제에 대한 국제협력을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기구로 국제연맹을 계승하였다. 1943 10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 , 3국의 외상회의에서 제 2차 세계대전 후의 국제적 평화유지기구 설립문제가 정식으로 거론되으며, 그 결과 이 3개국에 중국을 더한 4개국이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하여 세계적 국제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모스크바공동성명을 발표하였고, 이후 1944년 국제연합헌장의 원안이 된 미국의 던버튼-오크스제안 및 1945 2월 얄타회담에서의 미결사항 합의를 거쳐 동년 6월 샌프란시스코 전체연합국 회의에서 국제연합헌장이 조인되어 10 24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현재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신탁통치이사회의 3개 이사회와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및 100여개의 보조기구과 16개 전문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은 48년 국제연합에 의해 유일 합법정부로 인정받은 뒤 계속 국제연합 가입을 시도하였으나 상임이사국인 소련의 거부권 행사로 실행되지 못하다가, 냉전시대가 종료된 이후인 1991년 북한과 함께 동시가입하였다. 국제연합에서는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중국, 소련, 프랑스의 5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동등한 주권을 가지며, 복잡한 국제환경으로 인하여 그 기능 수행면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으나 나름의 타개책을 시도하면서 인류복지에 일정 부분 공헌해 오고 있다.

1537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국지전쟁           Local War          전면전쟁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제한전쟁의 한 형태이다. 전면전쟁을 회피하면서 제한된 지역에서 특정한 조건 아래 국가정책 및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전쟁 형태로, 전투가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행해진다.

1537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단     Corps    육군의 편제 중 하나로 사단, 여단의 상급부대. 크게 전투부대와 전투지원부대로 구성되며, 인사, 병참 등의 전투근무지원 기능은 대개 군단사령부에서 갖지 않고 예하 사단 및 여단에 위임하거나 상위 부대인 야전군에 맡기고 있다. 한국군의 경우 군단사령부 아래 직할여단, 직할대대 및 직할대를 두며, 2개에서 7개의 사단 및 여단을 아래에 두고 있다. 지휘관은 중장으로 보임되며, 인원수는 3만에서 15만 내외이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군단을 처음으로 조직하여 운용한 인물은 프랑스의 나폴레옹으로, 2개 이상의 사단을 통합하여 군단으로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최근 각 국에서는 사단을 폐지하고 군단, 여단, 대대 단위로 부대를 편성하는 추세가 있다.

1537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령     Military Command          한 나라의 원수가 군의 통수권을 지닌 자로서 군대에 내리는 명령 및 통수사무, 혹은 다른 의미로 군중에서 일어나는 명령 전반을 폭넓게 가리키기도 하며, 구체적으로는 국방목표 달성을 위하여 군사력을 운용하는 용병기능으로서 군사전략기획과 군사력 건설에 대한 소요제기 및 작전계획의 수립과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 및 운용 등을 의미한다. 통수권을 지닌 자가 행하는 군령의 경우 한국은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여 대통령이 통수의 권한을 가지고 군령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군정과 상대적인 개념이며, 현재 한국을 비롯한 일반적인 문민국가의 경우 군령, 군정의 일원주의(병정통합주의)를 택하여 군령의 독립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민주주의 국가의 기본원칙인 문민통제를 법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1537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비     Armament         한 국가의 군사설비, 즉 군대의 병력, 무기, 장비, 시설 등을 총칭하며 이를 갖추어 편성, 보유 및 유지하기 위한 군사상의 준비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는 국가의 안전보장 및 대외정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역할을 하며, 타 국가나 세력이 행하는 무력에 의한 위협 및 무력의 행사에 대응하여 영토를 보존하고 독립을 지켜 국권을 유지하기 위한 군사적 방편 중 하나이다.

1537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비경쟁           Arms Race        국가안보 및 상대국에 대한 우위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군사력이라는 확신을 가진 나라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군대 증강, 무기의 개발 및 양의 증가 등을 통한 군비의 양적, 질적 경쟁을 가리킨다. 군비란 자국에 의한 선제공격을 배제한 상황에서는 타국의 선제공격을 막기 위한 억지력으로서 작용하는데, 그 효과는 타국의 군비 수준에 따라 상대적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 우위를 유지하거나 획득하려는 목적으로 군비의 경쟁은 특히 강대국들 사이에서 늘 이루어져 왔다. 이는 분명 어느 정도 전쟁에 대한 억지의 효과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국제적 긴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쉬우며, 이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벌어졌던 핵군비경쟁의 예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러한 위험에 대한 자성으로 지나친 군비경쟁의 억제나 군축을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진행되기도 하나, 실질적으로 군비경쟁은 멈추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1537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비통제           Arms Control     잠재 적대국 상호간의 군비경쟁을 억제하여 국가간 긴장을 낮추고 전쟁위험을 낮추는 것에 관련한 모든 노력을 가리킨다. 상호 합의에 의해 상호간의 군사력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고 합의사항의 위반에 대하여 제재를 가함으로서 전쟁의 위험과 그에 따르는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호간 신뢰구축, 특정 또는 비특정기간의 군비수준을 어떤 일정규모 이상으로 늘리지 않도록 규제하여 상호간의 군비 예산 및 규모에 제한을 두는 군비제한, 현 군비의 규모를 부분적으로 감축하는 군비축소, 군비를 실질적으로 소멸시키는 군비해제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1537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개입           Military Intervention       진행 중인 국가간의 분쟁, 혹은 내전과 같은 국가내의 분쟁에 제 3자인 다른 국가 혹은 단체가 자국이나 자기 단체의 의도를 관철시키기 위하여 군사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개입하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정규군을 파견하는 것을 주요 수단으로 삼지만, 분쟁의 한 쪽 당사자에 무기나 자금을 지원하는 일도 넓게 보아 군사개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기도 한다. 미국의 베트남 파병과 같은 경우가 군사개입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1538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교리           Military Doctrine 광의적으로는 군사문제에 관한 원칙이나 원리로서 전쟁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이에 대한 원칙과 행동지침을 서술한 것을 가리키며, 군사력 운용에 맞춘 협의의 의미로는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식적으로 승인된 군사행동의 기본원칙과 지침이라 할 수 있다. 군에 있어서 군사교리는 그 군의 운용에 필요한 개념과 원칙의 기초를 제공하는 이론체계로서, 그 군이 존재하는 의의와 역할, 운용지침과 원칙, 발전방향 등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행동에 관하여 준거가 되고 기준이 되는 지침이다. 또한 군내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교육적인 표준화를 기하는 개념통일의 역할을 하는 한편 대외적으로 군사력의 운용개념을 전파하여 이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군사교리는 권위 있고 규범적인 내용이지만 이의 활용과 적용시에는 융통성이 발휘되어야 하며, 기술의 발전이나 정책에 변화에 따라 도태된 개념이 되지 않도록 계속적인 검토와 수정을 가할 필요가 있다.

1538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기술                     군사에 관련된 기술 전체를 폭넓게 이르는 말로, 전장에서 사용되는 무기나 통신수단 등 군용물 그 자체의 개발에 관련된 기술과 그것을 운용하는 전략, 전술 등과 관련된 기술로 크게 나뉜다. 현대 무기와 관련된 군사기술의 개발은 냉전 시대에 군비경쟁의 한 양상으로 미국과 소련을 주축으로 하여 매우 격렬하게 진행되었으며,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에는 미국이 유일 군사대국으로서 월등히 앞서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등이 군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538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동원           Military Mobilization       군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쟁 혹은 기타의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평시체제로부터 전시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가리킨다. 평시의 병력과 자원으로는 전쟁소요를 충족할 수 없으므로 전시체제를 위하여 병력을 소집하고 물자와 차량을 징발하며 기자재를 정비하고 전시기관을 편성함으로서 동원절차를 진행한다.

1538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력   Military Power    군사작전을 수행하고 전쟁을 지속할 수 있는 한 나라의 군사적 역량을 가리킨다. 군력이라고도 하며, 병력, 무기, 훈련, 사기, 군사잠재력 등 군대와 군비의 모든 요소를 종합하여 평가된다. 군사력은 국력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한 나라의 안전보장과 그를 통한 독립적 주권의 유지를 위하여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다

1538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보안           Military Security  군사와 관련된 부문에 대하여 가해질 수 있는 적의 간첩, 파괴, 태업, 전복행위 및 그러한 행위를 행하는 자들의 활동을 막고 보안대상을 보호하기 위해 행하는 제반대책 및 활동을 가리킨다. 비밀문서의 누설을 막는 문서보안, 인원에 대한 심사 및 보안대책을 가리키는 인원보안, 군사시설 및 시설물 내의 문서, 자재,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보안, 아군의 통신수단을 통해 오가는 내용이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행하는 통신보안 및 기타 작전보안, 전산보안 등이 있으며, 그 수단으로는 암호체재와 암호자재의 사용 등을 포함한 각종 보안대책이 있다.

1538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분계선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전쟁이 끝나고 휴전이나 정전이 맺어져 작전행동이 중지될 때, 대치한 양군의 태세를 고정시키거나 전선에서 병력을 분리해 내기 위해 전쟁 당사자들간의 협정에 의해서 구획한 군사 활동의 한계 기준선. 군사 경계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휴전이나 정전이 성립된 시점의 전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며, 휴전 및 정전 후에 불미스런 양측간의 적대행위가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군사분계선의 양측에 비무장지대를 설치하여 완충지대로 삼기도 한다. 비무장지대에서의 무장금지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국제적인 감시위원회와 같은 제 3자의 인원이 감시를 행한다. 한국전쟁의 경우 휴전 당시의 전선을 군사분계선으로 결정하여 휴전협정을 성립시켰고, 군사분계선에서 각각 2km씩을 물러나 폭 4km의 지대를 비무장지대로 하였고 그곳과 접하는 선을 휴전선으로 정한 것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1538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이론           Military Theory   군사력 형성 및 운용에 필요한 제반 지식체제로서 전쟁에서 적용되는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원리를 가리킨다. 이는 국가안보문제의 군사적 차원에 관한 하나의 지식체계로서 국가목표 달성을 위한 전시 및 평시에 있어서의 군사력 건설과 관리, 자원 및 운용 문제와 이와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 심리, 과학 등 다양한 국력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항들을 과학적 기초위에 체계화한 것이다.

1538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작전           Military Operations        군대가 행하는 작전행동을 총괄하여 가리키며, 전투 그 자체만이 아니라 이에 관련되는 기동, 정찰, 경계, 보급, 정비 등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모든 행동을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작전이라는 용어는 지속적이고 독립적인 전술 작전 수행이 가능한 부대-일반적으로 사단 이상-의 임무 및 전략, 전술행동에 대해서 사용하며, 그보다 하위의 부대가 수행하는 활동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전투라 칭한다

1538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정보           Military Intelligence        군사활동의 계획 및 실시를 위해 수집되는 정보 및 지식을 가리킨다. 적의 규모나 위치, 작전행동을 행할 지역의 지형, 적의 기도 등 여러 가지가 포함되며, 넓은 의미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조직 및 활동을 포함하기도 한다. 모든 정보에 적용되듯이 군사정보 역시 적시성과 정확성을 갖추고 있지 못할 경우 정보로서의 가치를 가지지 못한다. 군사정보에는 전투정보, 전략정보가 포함된다

1538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사통신위성      Military Communication Satellite   군사목적의 인공위성 중 군용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전략지령의 전달과 지휘통제 목적으로 사용되며, 해외기지와의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범위하게 전략체제 및 군사력을 배치, 운용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가 군사통신위성을 사용하는 대표적 국가로, 1960년대부터 군사용 통신위성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여 1978년 첫 위성을 발사하였고, 1981년부터 운용을 시작하였다. 이전의 위성이 UHF SHF를 사용하여 전파방해에 취약하고 보안성이 낮으며 데이터 전송속도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1982년부터 밀스타 계획을 추진하여 EHF 통신을 구현하려 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군사통신위성을 이용하여 운용중인 체계로는 국방위성통신체계(Defens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 DSCS), 함대위성통신체계(Fleet Communications System : FLTSATCOM), 공군위성통신체계(Air Forc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 AFSATCOM)외에 2004년까지 체계구축 및 운용예정인 차세대 육//공 통합체계인 군용전술 위성통신체계(Military Stratgic and Tactical Relay System : MILSTAR)가 있다. 미국 외의 군사통신위성 사용국가로는 몰니야 및 코스모스 위성을 사용하는 러시아와 스카이넷을 사용하는 영국, 그 외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등이 있다.

1539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수     Logistics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장비 및 물자의 소요판단, 생산 및 조달, 보급, 정비, 수송, 시설, 근무의 각 분야에 걸쳐 물자, 장비, 시설, 자금 및 용역 등의 모든 가용 자원을 효과적, 경제적, 능률적으로 관리하여 군사작전을 지원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1539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수산업           Logistic Industry 군수용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군수산업은 전쟁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물자를 만든다는 점에서 일반산업과 차이가 있으며, 군수품의 소비는 생산적 소비가 아니며 자원을 투입하여 재생산의 여지가 없는 물자를 생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군수산업은 그 생산자원의 사용과 생산품의 소모를 통해 일반산업을 비롯한 사회의 기타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생산과정에서 확대재생산 및 소비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부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군수산업으로 인하여 생산되는 물자는 대개 판매시장이 국가 그 자체이기 때문에 수입과 이윤을 국가재정에 의해 보장받고 있다. 이는 군수산업이 국민소득의 재분배에 의하여 그 이익의 확보를 보장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군수산업에 대한 지나친 집중은 국가의 사회적 부를 크게 감소시켜 경제를 기형화시키고 국민생활의 질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적정량의 자원만을 투입할 필요성이 있다.

1539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수품   War Supplies      군사상의 수요에 의해 군용으로 쓰이는 모든 물품을 가리키며, 법적으로는 국방부 및 그 직할기관과 각 군에서 관리하는 물품을 가리킨다. 대통령령에 의거하여 크게 전비품과 통상품으로 구별되며, 국방부령에 의하여 규격별(표준품-비표준품), 특성별(특수품-공통품), 기능별(일반장비-일반물자), 종별(식량, 피복, 병기 등), 통제별(통제품-비통제품), 경제성별(고급품, 중급품, 저급품), 수요도별(순환수요품-계획품), 소모성별(소모품-장비품), 주종별(주장비품-보조품), 주종분류된 물자의 상태별(신품, 중고품, 요정비품, 폐품) 및 기타 국방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한 분류방법들이 있다. 군수품은 무기와 장비, 비품 및 소모성 보급물자 외에 그 생산을 위한 각종 원자재도 포함한다.

1539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정     Military Administration    1. 군령의 상대적 개념으로, 군대를 만들고 편제 및 관리를 행하는 등 군대가 그 작전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 및 군수분야의 지원업무를 가리킨다.  2. 군 지휘관이 법률의 원리, 원칙 및 전쟁규칙에 의거하여 입법, 사법, 행정권을 가지고 군사력에 의하여 통치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군인들이나 점령군의 군인들에 의해서 행해진다. 군정은 일반적으로 군사 쿠데타의 종료나 평화조약 등으로 인한 점령군의 퇴각시에 종료되어 민정으로 이양되며, 이 경우 군정시의 입법, 사법, 행정권 행사로 이루어진 행위들의 효력이 어디까지 인정되느냐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것은 원칙적으로 군정 행사자측의 행위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느냐가 판단근거가 된다.

1539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군제     Military System   한 국가에 있어서 실시되는 군의 건설과 유지, 관리와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비롯한 군사상에 관한 제도를 총칭하여 가리킨다. 국가의 정치체제를 비롯한 사회적 상황에 따라서 정해지게 되므로 나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문민통치를 기반으로 하는 근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군의 지휘에 관한 군령과 군의 편제, 유지, 관리에 관한 군정 및 군의 질서유지 및 군사재판에 관한 군사사법제도로 군제를 구분하며, 군사부문에 대한 문민우위를 지키기 위하여 군령, 군정의 일원주의(병정통합원칙)에 따라 군령권과 군정권을 분리시키지 않고 있다.

1539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규격서   Specification SPEC          제품 및 용역에 대한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요구 필요조건의 일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서술한 문서를 가리킨다. 이 안에는 제품의 성능, 재료형상, 치수, 용적, 색채, 제조, 포장 및 검사방법 등이 포함되며, 국방규격서의 종류에는 정식규격서와 약식규격서가 있다. 정식규격서는 일정한 내용을 구비하여 계속적으로 통용하고 반복사용하기 위하여 제정된 규격서를 가리키며, 군수품의 구매 및 획득시 포장사항이 규제되지 않는 품목의 수송, 저장, 취급의 편리를 위하여 포장조건을 규제한 포장규격을 포함한다. 약식규격서는 군수품의 구매 및 획득시 기술자료가 미비할 때 제정하는 규격서로서 정식 규격화하지 아니하고는 동일 품목의 군수품 구매에 재사용하지 못하는 규격서를 가리킨다.

1539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근접방어무기체계 Close in Weapon System CIWS     대함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함정에 배치되는 방어무기를 가리키며, 대개 함정으로부터 2km 이내의 영역을 맡는다. 최초의 근접방어무기는 영국의 Sealwolf 단거리 미사일이었는데, 고공의 목표에는 대응 가능하나 엑소세나 하푼과 같이 저공비행으로 함정을 노리는 대함미사일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현재의 근접방어무기로는 기관포가 쓰이고 있는데 다수의 포신을 묶은 개틀링 형식을 이용하며, 이것을 목표수색 레이더 및 목표추적 레이더,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사격지휘 컴퓨터와 일체화하여 전자동 요격을 시행한다. 미국 Hughes사에서 개발한 팔랑스 체계(20mm 6포신 기관포/분당 3000-4000)와 네덜란드 시그널 사의 골키퍼 체계(30mm 7포신 기관포/분당 4200)가 서방국가의 시장을 거의 양분하고 있으며, 이외에 스위스의 시거드 체계 등이 있다. 한국 해군은 한국형 구축함(KDX)에 골키퍼 체계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1539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근접전투           Close Combat    지근거리에서 소총, 수류탄, 기관총 등의 근접화기 및 총검 등을 이용하여 벌어지는 전투로, 백병전이나 육박전이 수반되는 일이 많으며 주로 공격자측이 돌격을 시도하는 시점에서 이루어진다.

1539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근접항공지원작전 Close Air Support Oper-  아군의 육군 및 해군과 우군과 근접하여 대치하고 있는 전선의 적 군사력에 대하여 항공공격을 가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이는 아군의 우세를 확보하고 돌파구를 형성하게 하거나 적의 공격을 둔화시키고 육군 및 해군의 전투자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행해지는 항공작전을 가리킨다. 직접 교전이 이루어지는 전선에서 항공공격을 행하기 때문에 아군에 대한 오인사격으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근접항공지원작전의 수행시에는 육군, 해군과 공군 사이의 긴밀한 협조 및 통제체계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전방항공통제(FAC)의 도움과 함께 작전을 수행한다. 근접항공지원작전은 크게 기계획 근접항공지원과 긴급 근접항공지원으로 나뉜다. 또한 지상군에 대한 엄호를 행하는 종대엄호임무 및 공중엄호임무 역시 근접항공지원작전의 범주에 포함된다. 근접항공지원작전이라 할 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인 전선에 대한 공격작전은 이와 구분하여 공중타격(Air Strike)임무라 부른다.

1539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급속공격           Hasty Attack      최소한의 준비로 최대한 신속하게 가용부대를 투입하여 적이 방어준비를 충분히 갖추기 전에 격멸하는 공격작전의 형태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조우전시, 혹은 적의 경계진지나 급편방어진지 등의 미약한 진지를 접했을 때 공격속도의 증가를 위해 행해지며, 공세이전시의 방어진지에서 시행되기도 한다. 급속공격은 주도권 장악과 공격기세의 유지를 위해 적과 접촉하는 즉시 불충분한 정보하에서도 최소의 준비로 신속하게 공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통합성의 발휘보다는 민첩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지휘관은 접적전진시 급속공격을 행해야 할 경우를 예상하여 사전에 준비해야 하며, 급속공격시에는 신속한 작전수행을 위해 신속하고 간단한 계획작성과 더불어 부대예규를 최대한 활용하고, 단편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간을 절약해야 한다.

1540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급속도하           Hasty River Crossing       복잡한 준비 없이 보유 또는 쉽게 가용한 도하수단을 이용하여 신속히 하천을 도하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도하지역의 방어태세가 경미한 경우, 하천선까지 신속히 전진할 수 있을 경우 및 가용한 대량살상무기(, 화생무기)의 사용으로 적의 하천선 방어를 와해시킬 수 있을 때 사용되며, 하천선에서의 공격부대가 공격기세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도하를 완료할 수 있도록 계획 및 실시되어야 한다. 급속도하는 성공할 경우 속도와 기습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등, 정밀도하에 비하여 많은 이점이 있으므로 기회만 있다면 언제든지 시도하여야 한다.

1540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급편방어           Hasty Defense    방어작전의 한 형태로, 적과 접촉중이거나 접촉이 이루어질 시기가 매우 가까워 통상적인 방어편성을 위한 가용시간이 제한될 때 편성되는 방어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지연전을 실시하거나 철수작전시에 빈번하게 일어난다. 급편방어시에는 정밀한 방어용 구조물을 세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개인호나 엄체호, 장애물을 이용하여 지형의 천연적인 방어력을 보다 개선하여 방어작전을 실시하게 된다.

1540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간편성           Cadre Organization        평시에는 기본부대의 존속에 필요한 핵심 인원만으로 구성하여 부대를 편성한 것을 가리킨다. 전시에는 본래 부대의 핵심인원으로 있던 기간인원을 중심으로 하고 인원을 보충하여 완편부대로 만들게 되며, 이에 따르는 부대의 증, 창설시에 증, 창설요원에 대한 편성 및 교육을 실시한다. 현재 한국군의 동원사단이 대표적인 예로, 평시에는 기간인원만으로 운영하면서 할당 지역의 동원예비군 자원에 대하여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고 전시에는 예비군 인원을 충원받아 완편사단이 된다.

1540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갑부대           Armmor Unit     좁게는 전차부대 그 자체를 가리키나, 일반적으로는 전차 부대를 주축으로 하는 지상군 부대를 가리킨다.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전차와 합동 작전을 벌이기 위한 기계화보병이나 기계화공병, 자주포병 및 기타 필요로 하는 부대들이 같이 편성되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전차 부대를 그 전력의 핵심으로 하고 있다. 기갑사단의 보병들은 전차와 유효한 합동작전을 행하기 위해서 인원수송장갑차나 보병전투차를 이용하여 기동성을 확보한 기계화 보병으로 편성되어야 하며, 실제로 현대적 기갑사단의 경우 모든 전투병력을 기계화하고 있다.

1540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계화   Mechanization Unit        장갑차량을 이용하여 기계화된 보병부대를 가리킨다. 국가에 따라 용어의 사용이 상이한 관계로 차량화보병과 의미가 확실히 구별되지 않은 채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서방식의 분류로는 차량화보병에서 한발 더 나아간 개념을 가리킨다. 차량화보병이 단순히 기동성 및 이동속도의 획득만을 목적으로 하여 운송용 차량으로 이동과 전개를 행하는 부대라면 기계화 보병부대는 인원수송장갑차나 보병전투차 등을 사용하여 차량화부대에 비해 방어력 및 전장기동력을 높이고 어느 정도의 승차전투가 가능해진 부대를 의미한다. 현대전에서 보병부대가 기갑부대와의 보전협동작전을 유효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기계화 보병부대가 필수적이며, 그렇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보병이 차량화되어 기갑부대의 전진속도에 맞추어 보병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기계화보병이 전투력의 주체가 되는 이른바 기보사단과 같은 부대의 경우에는 기계화보병을 중심으로 이를 지원하는 포병, 공병, 전차 및 기타 병과의 부대가 합쳐지게 된다.

1540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계획 근접항공지원       Preplanned Air Support   작전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협조되고 계획된 절차와 순서에 따라 실시하는 근접항공지원을 가리킨다. 이는 매일 종합되는 육군과 해군의 지원요청 및 공군의 자원현황에 의거하여 가용한 지원전력을 할당하고 지원계획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실시하게 된다.

1540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동방어           Mobile Defense  적의 주력을 의도한 방향으로 유인하여 방어측이 선정한 장소 및 시간에서 결정적 전투를 수행하는 방어작전의 형태를 가리키며, 지역방어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기동방어의 수행시, 전방의 방어지역에 배치하는 부대는 필요 최소한도로 배치하여 견부진지를 확보하고 적을 지연 및 유인하는 임무를 맡기게 되며, 주전력은 역습을 위한 예비대로서 최대한 집중하여 온존시켜 두었다가 의도된 장소와 시간에서 결정적 전투를 벌이는 시기에 일시에 투입되어 과감한 역습으로 적을 격멸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이는 적 부대 격멸에 주안을 두는 방어작전의 형태로, 기동방어 작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방어측이 결정적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 부대를 격멸하고 방어지역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기동방어는 공격, 방어, 지연전이 혼합되어 작전이 수행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주방어지역 부대에는 방어 및 지연작전의 준칙이 적용되며 역습을 위한 예비대에는 공격작전 준칙이 적용된다.

1540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동부대           Maneuvering Forces       기동력이 높은 유격 부대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자유로이 행동하여 작전하기 때문에 일정한 담당 구역이나 위수지역을 갖지 않는 부대이며, 지상군에 있어서는 전차화 혹은 기계화, 차량화되어 적의 측방이나 후방으로 급속히 기동할 수 있는 부대나 공수 또는 해상수송에 의하여 먼 거리의 전장에 급속히 파견될 수 있는 부대를 가리키며, 해군에 있어서는 항공모함을 부대의 중심으로 하고 호위를 위한 순양함이나 구축함 등의 함선을 같이 편성하여 항공전을 주임무로 하는 고속 함대를 가리킨다. 이러한 기동 부대의 활동에 있어서는 신속한 이동 및 전개가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540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동전   Maneuver Warfare          높은 기동력과 화력을 앞세워 선제권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적의 심장부를 향해 신속히 진격하여 적을 마비시키고 방어진의 유기성을 파괴하여 격멸하는 전투방식을 가리킨다. 통상적인 기동전의 전개 양상은 먼저 상대보다 압도적인 부대와 화력을 집중하여 적의 방어진지에 돌파구를 생성한 후 그 견부를 장악하여 후속부대의 돌파를 보장하고, 기계화부대가 그 돌파구를 통해 적 후방 깊숙이를 향해 신속하게 돌진하면서 일부 부대가 측방기동으로 돌파구를 확장하면서 적을 와해, 마비시킨다. 동시에 주력부대는 계속 전진하고 그에 후속하여 전과확대를 위한 부대들이 확장된 돌파구로 전진하여 공격기세와 선제권을 유지하며, 선두부대는 적이 병참이나 퇴로를 차단하고 적의 지휘부를 비롯한 중심을 파괴하여 적을 마비시키고 적 전투력을 전멸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동전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전투력과 속도의 결합이며, 이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전차는 기동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1차 세계대전에서 처음 전차가 사용되었을 때 이러한 기동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2차 세계대전 시기에 높은 전과를 올렸더 독일의 전격전은 기동전의 모델로서 각국에서 연구되었다. 또한 이라크전에서 보여준 미국의 기동전은 첨단무기를 이용한 미래의 기동전 양상을 예시하고 있다.

1540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뢰     Mine     기계수뢰의 준말로, 해면상이나 수중, 해저에 설치하여 목표물의 접촉이나 접근에 반응하여 폭발하게 하는 방법으로 파괴하는 무기를 가리킨다. 미국 독립전쟁시기인 1776년에 미국인 부쉬넬에 의하여 발명된 통기뢰를 기뢰의 효시로 보고 있으며, 양차 세계대전 기간에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무기로서 높은 전과를 보여 대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부설되는 위치에 따라 부유기뢰, 계류기뢰, 해저기뢰로 나뉘며, 기폭방식에 따라 목표물과의 직접 접촉으로 폭발하는 접촉기뢰와 센서를 통하여 목표물의 접근에 따른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여 폭발하는 감응기뢰 및 통제소에서 폭발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조종기뢰로 분류된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각종 감응기뢰이며, 항공기나 잠수함, 혹은 기뢰부설용의 수상함을 이용하여 부설한다. 기뢰의 부설에 있어서는 국제법상 지속시간, 부유시간, 공해부설의 제약등의 제한사항이 있다.

1541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뢰부설함        Mine-Layer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기뢰를 운반하여 목표 지점에서 부설하는 함정을 가리킨다. 다량의 기뢰를 한 번에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공기나 잠수함에 의한 설치에 비해 경제적이지만, 적 해역에서의 부설시 적에게 노출되기 쉽다는 위험성이 있다. 한국 해군은 공격 기뢰전을 위해 원산급으로 불리는 기뢰부설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1541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뢰탐색함        Mine Hunting Coastal MHC         기뢰탐지용의 고정밀 소나체계를 탑재하여 기뢰가 부설된 위치를 조사하여 탐색 및 식별을 행하고 정보를 획득, 전시, 타 함선에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함정을 가리킨다. 기뢰 탐색만이 아닌 처리 및 무력화도 가능하며, 무인기뢰처리기 및 재래식 소해구 등을 사용한다. 임무중에 감응기뢰의 폭발을 불러일으키지 않기 위하여 비자성 금속이나 목재, 유리강화섬유,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뢰의 수중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뎌낼 수 있게 설게되기도 한다. 한국 해군에서는 강경급 기뢰탐색함 6척 외에 이를 확대 개량한 신형 소해함인 양양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 기뢰제거정으로 분류되는 구식의 금산/남양급 5척도 보유하고 있다.

1541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만작전           Deception Operation      적에게 허위의 상황을 제공하여 아군의 작전의도, 능력, 배치 등의 각종 상황에 대하여 적이 오판하도록 유도하는 계획적인 작전활동을 가리킨다. 적에게 결심의 지연과 우유부단을 초래하게 하거나 판단상의 의견대립으로 인한 내분을 조성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적을 아군의 의도대로 유인하거나 적의 기도를 사전에 포기하게 하여 아군의 경계 및 기습달성에 기여하고 적을 불리한 상황으로 유도하여 아군 작전의 성공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만작전은 허위정보를 연출하고 흘리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기만의 수단으로는 양공, 양동, 계략, 허식 등이 있다.

1541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본화기           Primary Weapon 1. 각 부대에 지급되는 비교적 소형, 소화력의 경장비 무기를 가리킨다. 소총, 기관총 및 기관단총, 수류탄, 유탄발사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전투부대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화기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소총중대의 기본화기는 제식소총이며, 조종사의 기본화기는 권총이다. 각 나라별로 상이하며 일반부대와 특수부대의 경우처럼 부대 성격이나 목적별로 차이가 나기도 한다.  3. 항공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무장을 가리킨다. 현대의 전투기들은 대부분 기관포를 기본화기로 장착하고 있다.

1541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상요소           Meteorological Elements  특정한 기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소를 가리킨다. 독립된 요소로 사용되는 풍향, 풍속, 기온, 습도, 풍향, 풍속, 강수, 강설, 운량, 기압 등과 이들을 복합시킴으로서 계산되는 실효습도, 불쾌지수 등이 있다. 각각의 기상요소는 항공기의 운항가능 여부, 부대의 이동 및 숙영, 화학작용제의 운용 등 여러 가지 군사행동에 대하여 많은 영향을 끼친다.

1541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술도입생산      Production by Technical Transfer   외국에서 개발되어 실용화되었거나 실용화를 위하여 시험평가결과를 행한 결과 전투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생산중인 무기체계를 외국의 원 제작업체와의 기술협력에 의하여 생산권한을 양도 또는 대여받거나 원 제작업체의 지원을 받아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을 가리킨다. 기술도입생산은 생산이 이루어지는 형태에 따라 해외 업체와 공동으로 생산하는 공동생산, 부품이나 구성품을 구입한 후 이를 국내기술진이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생산, 외국의 원 제작업체로부터 생산권한을 양도 혹은 대여받아 외국의 기술지원 없이 생산을 행하는 면허생산 등으로 나뉘며, 계약의 내용에 따라 단일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1541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습     Surprise 적이 예상하지 못한 시간과 장소에서 예상하지 못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적을 타격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통하여 적을 심리적, 물리적으로 교란시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없게 만들 수 있으며, 전투력 집중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열세한 전투력으로 적을 공격할 수 있다. 기습 달성의 전제조건으로는 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전장감시와 아군의 기도를 은폐하기 위한 기만, 적의 대응능력을 박탈할 수 있는 신속한 작전을 위한 속도, 적의 대응능력을 초과하는 강도의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기습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적에게 대응할 여유를 주지 말고 교란효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적이 통일된 행동을 보이지 못하게 해야 하며, 이렇게 하여 적이 기습임을 알았다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이상적인 기습의 모습은 적의 최대약점에 신속하게 최대한의 집중을 가하여 단 한번으로 승리를 확정짓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541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기함     Flag Ship         

1541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긴급근접항공지원 Immediate Air Support    사전에 계획된 바 없는 상태에서 전투수행 중의 긴급한 요청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접항공지원을 가리킨다. 교전 중의 긴박한 상황에서 공군의 화력지원이 요구될 경우 항공지원작전본부(Air Support Operation Center:ASOC)에 지원을 필요로 하는 해당 군이 긴급히 요청하여 항공지원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공군이 보유한 전력이 한정된 상태에서 모든 지원요청에 대하여 지원을 행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요청은 일단 해당 군의 상위부서를 거쳐 항공지원작전본부에 전달하게 된다.

1541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긴급동원           Emergency Mobilization   긴급상황이거나 정상동원이 이루어지기 불가능한 상황일 경우 등, 전시 추가적인 동원소요 가 발생하였으나 사태가 긴박하여 주무부장관에게 동원을 요청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소요기관이 직접 시, 도지사에게 동원을 요청하고 시, 도지사는 요청자원을 우선 동원해 준 뒤 사후에 주무부 장관의 승인을 얻는 동원방법을 말한다.

1542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긴급피난           Right of Necessity          갑자기 닥친 위난을 피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타인에게 저지른 가해 행위를 가리킨다. 민법상의 긴급피난은 타인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자기 또는 제 3자의 이익을 방위하기 위하여 부득이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행위를 말하며, 긴급한 위난을 피하기 위한 경우임이 인정될 경우 손해배상의 책임이 없다. 형법상의 긴급피난은 자신이나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을 피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 취한 피난행위를 말하며, 상당한 이유가 성립하여 긴급피난으로 인정되면 행위가 형법에 해당하더라도 죄가 되지 않으나,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에는 정황에 의하여 그 형을 경감하거나 면제할 수 있다. 민법상 및 형법상의 긴급피난은 위법성조각사유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며, 자초한 위난이라 할지라도 긴급피난권의 남용이 아닌 한 인정받는다. 국제법상의 긴급피난은 한 국가가 타국의 행위로 인한 급박한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나라의 권리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같은 권리를 국제법에서는 긴급권이라 칭하며, 자위권의 개념과 비슷하나 자위권의 경우 타국의 행위가 불법인 데 비해 긴급권의 경우는 불법이 아니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긴급피난의 경우에는 타국의 행위가 불법이 아니므로 국가는 긴급피난으로 인한 손해를 보상할 의무를 가진다.

1542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나포     Arresting          외국의 선박을 붙잡아 지배하에 두는 행위를 가리킨다. 평시에는 자국의 영해, 접속수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법령을 위반한 외국 선박에 대하여 임검, 수색 후 나포를 행하며, 임검이나 수색에 저항할 경우 도주하여 공해상으로 달아나더라도 계속 추적권을 행사하여 공해상에서 나포할 수 있다. 또한 해적행위 및 노예매매에 관여한 선박은 공해상에서도 나포 대상이 되며, 해적선은 나포한 선박의 소속국이 재판을 행하고 처벌을 가할 수 있다. 전시에는 교전당사국의 군함이 나포 대상의 선박에 장교를 진입히켜 승무원으로 하여금 명령에 따르게 하는데, 적국의 선박은 공선, 사선을 불문하고 나포대상이 되며 중립국의 선박이라 할지라도 전시금제품의 수송이나 군사적 원조, 봉쇄침파 및 봉쇄침해기도 등 적국에 이익이 되는 행위를 할 경우 임검, 수색을 거친 뒤 나포되며, 나포한 국가는 그 화물을 몰수할 권리를 가진다. 국제연합 해양법조약상 선박뿐 아니라 항공기 역시 나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충분한 혐의가 없는 나포의 경우, 나포를 실행한 군함의 소속국은 나포된 선박의 소속국에 대한 보상을 책임져야 한다.

1542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낙동강 오리알               6.25 당시 국군들이 인민군을 조롱하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던 말이다. 현재는 원래의 무리에서 떨어지거나 뒤처져 처량하게 남게 된 신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쓰이고 있다. 이 말이 처음으로 생긴 것은 낙동강 방어작전 때였다. 1950 8 4,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진지를 점령하고 방어작전을 수행하던 낙동강변 낙동리(낙정리)에 배치된 국군 제1사단 12연대 11중대 앞에는 1개 대대 정도의 인민군이 낙동강을 건너기 위해 필사적인 도하를 시도하고 있었다. 격렬한 총격전이 계속되던 와중에 유엔 항공기에서 네이팜탄을 퍼부어 적 진지를 불바다로 만들어 버렸는데, 이때 항공기에서 떨어지는 포탄과, 국군의 사격으로 적이 쓰러지는 모습을 바라보던 11중대장(강영걸 대위)은 갑자기 큰 소리로 야! 낙동강에 오리알 떨어진다고 소리쳤고, 병사들은 이에 호응하여 함성을 질렀다. 그 이후 낙동강 오리알이라는 말은 국군이 인민군을 조롱하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었다.

1542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낙진     Fallout   핵폭발에 의해 생성되어 대기 중으로 낙하하는 미세한 방사성물질을 가리킨다. 지상의 먼지나 파편물에 방사능 물질이 포함된 것이나 핵분열생성물 및 플루토늄의 폭발잔재 등이며, 형태에 따라 그대로 떨어지는 건조낙진, 비에 섞여 검은 비를 만드는 강우낙진, 눈에 섞여 내리는 강설낙진이 있으며, 눈처럼 떨어지는 재의 형태를 한 선낙진과 작고 가벼워 더 높이 올라간 다음 바람을 타고 훨씬 멀리 흩뿌려지는 후낙진으로도 나뉘어진다. 선낙진의 방사능 오염도는 매우 강하여 이에 노출된 사람은 2주 내지 6개월 내에 사망하게 되며, 후낙진은 대기권 높이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선낙진에 비해 훨씬 넓은 범위에 퍼지게 된다.

1542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난수표   Additive Table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불규칙하게 늘어놓은 표. 특정한 행, , 블록 등의 어느 부분을 취하더라도 0에서 9까지의 숫자 중 특정한 어떤 것이 나올 확률이 일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통계조사에서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해낼 때나 암호통신 등의 용도로 이용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난수표로는 피셔 예이츠표, 티페트표, 캔들스미스표 등을 들 수 있다.

1542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남북 교역장                  38선 설정 이후 한국전쟁 직전까지의 미 군정 시기에 남북간의 물물교환 무역이 허용되었던 장소를 가리킨다. 1947 5월 미소 군정 당국간의 협의로 군 관리하에서 남북간의 물물교환 무역을 허용하기로 한 것이 시초로, 당시 제 7사단 방어지역 내의 도감포, 꽃봉마을, 추동리 및 영평천 백사장(만세교 북방 4) 4개소에 교역장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매월 2-3회씩 비정기적으로 교역이 실시되었다. 당시 대단히 어려웠던 한국군 재정을 구제하기 위한 의미도 가지고 있었으나, 실질적인 운영에 있어서는 부정과 그에 따른 부작용이 많았다. 1949 1월 김석원 1사단장에 의해 교역이 일시 중지된 일이 있으며(이른바 명태 사건), 한국전쟁 직전인 1950 5월 중순, 북한측에서 일방적으로 남북교역을 중단시킴으로서 남북교역장은 폐쇄되었다.

1542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남조선로동당                1946 11월 서울에서 조직된 정당. 약칭인 남로당(南勞黨)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제시기에 지하활동을 벌이다가 해방 직후 박헌영에 의해 재건된 조선공산당은 남북한 전역에 걸쳐 지부를 재조직하였는데, 45 12월 북조선분국의 책임비서가 된 김일성이 북조선분국을 조선공산당에서 분리시키고 46 4월 북조선공산당이라는 명칭으로 서울의 조선공산당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8월에는 조선신민당과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일명 북로당)으로 알려진 조선노동당을 결성하였다. 이에 남한내 좌익세력을 총집결하기 위해 여운형의 제안으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이 합동하기로 하였으나, 각 당의 내에서 합동을 놓고 분열이 일어나 여운형 등은 사회노동당을 결성하였고, 조선공산당의 박헌영 계열이 중심이 되어 남한의 3개 좌익성향 당이 합당하여 11월 남조선노동당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이미 9월 초에 박헌영 등 주요 좌익간부들에 대하여 체포령이 내려지는 등 미군정에 의한 좌익 탄압이 강화되면서 지하조직화 되어갔으며, 몇몇 사건들을 주도하는 사이 대중조직이 무너졌고 간부들은 대부분 검거를 피해 월북하였다. 1949 6월 남로당과 북로당의 합당으로 조선노동당이 결성되면서 남로당은 사라졌고, 이후로도 북한 초기의 김일성 내각에서 남로당 월북 인사들의 일부가 각료직을 담당하는 등 일정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남한 내의 남로당 조직은 완전히 붕괴되었고 한국전쟁 이후 김일성의 독재강화책으로 인하여 북한 내의 남로당 인사들 역시 대부분 숙청당하였다.

1542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내선작전           Operation On Interior Lines         외부의 수개 방향에 적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그것을 격파하기 위하여 원심적으로 실시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내선작전의 본질은 전체의 힘을 결집하여 개개의 목표에 축차적으로 대항하는 것으로, 전투력의 집중과 시간적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내선작전은 일반적으로 전투력이 열세한 측에서 채택하며, 넓게 퍼진 적에 대하여 축차적으로 각개격파를 실시하여 개개의 승리를 누적하고 이를 통하여 전체의 승리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작전으로, 예하부대를 집결시켜 장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순조롭게 각개격파가 이루어질 경우 적은 병력으로 승리를 얻을 수 있으나, 병참선이 위협당하기 쉽고 각개격파를 성공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수동적 포위상태에 빠지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리한 결전을 강요당하여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내선작전에 있어 전투력 집중은 중요하나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 집결시킬 수 있는 태세에 두면 될 뿐이며, 부대 자체를 항상 집결시킬 필요는 없다. 내선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분산된 적에 대한 각개격파의 성공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간파와 올바른 목표 선정 등이 가능한 탁월한 지휘통솔 능력과 부대의 높은 기동성-이를 위하여 수송기관을 완비할 필요성이 있다.-이 요구되며, 각개격파를 위한 충분한 거리 확보와 가능한 한 적을 분산시켜 두어야 하는 등의 조건도 필요하다. 또한, 외선에 위치한 적을 각개격파하는 주작전과 주력이 각개격파를 행하는 동안 타방면 적 증원이 주공지역으로 향하지 못하도록 견제하는 지구작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여야 한다.

1542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내수     Internal Waters   국가의 영역을 구성하는 수역의 하나. 국제법에서 영해를 측정하는 기선의 육지쪽에 있는 수역을 말한다. 바다를 제외한 나라 안의 하천, 호수, 운하 등과 같이 한 나라의 영토 내에 있는 내수면 외에도, 바다의 경우 일반적인 해안의 저조선과 고조선 사이에 있는 수역, 직선기선이 채용된 경우 직선기선과 실제 해안선의 사이에 있는 수역 및 나비가 24해리를 넘지 않는 만의 안쪽 수역 및 군도 수역의 일부를 내수라 칭한다. 또한, 연안국이 역사적인 권리원천을 가진 역사적 만이나 수역도 내수라 한다. 국가는 내수를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여 주권 아래 둔다. 내수에서는 일반적으로 영해와 달리 외국 선박이 무해통항권을 가지지 않으나, 이전부터 외국 선박의 통항에 사용되던 바다가 국가에 따라 새롭게 내수화된 지역일 경우에는 무해통항권이 존속된다.

1542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내전     Civil War 국내의 전란, 그 중에서도 특히 내란을 가리킨다. 한 국가 내의 대립하는 민족이나 종족, 혹은 세력집단이 무력을 이용해서라도 국가 권력을 서로 장악하려 할 때, 또는 복수민족국가 내에서 한 민족이 자민족의 독립이나 해방을 요구하며 지배적 민족에 대하여 무력투쟁을 불사할 때 발생한다. 미국의 남북전쟁이나 중국의 국공내전, 에스파냐 내전 등은 전자의 예이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 상태에서 독립한 제 3세계 국가들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는 민족해방운동들은 후자에 해당한다. 내전은 국제법상 국내문제이기 때문에 외국정부는 원칙적으로 간섭해서는 안 되나, 현실적으로는 무력간섭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형태로 외국이 개입하는 일이 많다.

1543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냉전     Cold War          사전적인 의미에서는 군사행동에까지는 이르지 않지만 서로 적대시하는 국가간의 전쟁을 방불케 할 정도로 심각한 대립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공산주의 진영 사이에서 벌어졌던 대립상태를 가리킨다. 직접적인 무력충돌에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이데올로기로부터 시작하여 정치, 외교, 군사 기타 모든 면에서 매우 첨예하고 격렬하게 대립하여 전쟁을 방불케 하였기에 이 대립을 냉전이라 칭하였다. 이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국제연합 원자력위원회의 미국 대표인 버루크였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군수생산의 유지를 위해 국제공산주의의 위협을 과대선전하는 경향이 있었고, 소련 역시 동구권의 내부결속 및 지배강화를 위해 자본주의 진영의 위협을 강조하여 양 진영간의 긴장은 높아져만 갔다. 이로 인하여 양 진영간의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단절되었고 때로는 이 대립이 한국전쟁과 같은 열전의 형태로 폭발하여 나타나기도 하였다. 1960년대 쿠바 미사일위기 이후 미소 양국은 평화공존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하여 핫라인을 설치하고 부분적 핵실험금지조약을 맺었으며, 1970년대에는 닉슨의 중국방문으로 양국간의 상호양해가 성립되면서 데탕트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1985년의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탈냉전의 분위기가 강해지기 시작하였고, 베를린 장벽이 철거된 이후인 1990 9, 2차 세계대전에서의 대독일 전승국이었던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등의 대 독일 화해조약조인으로 통일 독일이 인정되면서 냉전체제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이후 유럽안보협력회의의 34개 회원국들이 서명한 11 21일의 파리헌장에서 대결과 분열의 시대는 유럽에서 종말을 고했음이 선언되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냉전시대는 완전히 종료되었으나, 다만 한반도만이 아직 냉전시대의 결과물인 분단국가로 남아 있다.

1543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노네임선                     한국전쟁 기간인 1951, 공산군의 공세를 막기 위해 설정되었던 방어선 중 하나. 수색-구파발-금곡-청평-홍천북방-현리-양양북방을 잇는 선으로, 서울 북방을 반원형으로 둘러싸고 한강 북쪽 지역으로부터 청평을 경유하여 홍천강 남쪽을 따라 동쪽으로 뻗어 있고 홍천 북방으로부터 동북진하여 대포리에 이르는 선이었다. 적의 4월공세가 개시되기 전 본래의 미 제8군 작전개념은 공산군의 공격으로 철수를 강요받을 시, 성동리-노고산-덕정-포천-가평을 연하는 델타(Delta)선과 수색-북한산-덕소를 연하는 골든(Golden), 그리고 한강-양평-횡성-양양을 연하는 네바다(Neveda)선으로 축차적인 철수를 하면서 공산군에게 최대의 출혈을 강요한 후 반격작전으로 전환하여 다시 캔사스선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이는 경우에 따라서 서울을 포기할 가능성도 있게 되는 계획이었다. 8군 사령관 밴플리트 장군은 미 제 1군단의 예하 사단들이 골든선으로 철수하기 직전에 이 작전개념을 수정하여 골든선 동쪽에서 연결되는 네바다선보다 30km내지 40km 북방의 용문산-홍천-한계령-속초를 연하는 새로운 방어선인 노네임(No Name)선을 설정하고 군단간 전투지경선을 일부 조정한 후 골든-노네임선을 방어할 것을 명령하였다. 이것의 전략적 전술적 의미는 매우 중요했는데, 전술적으로는 미 제1군단의 골든선 방어를 우측방에서 지원함은 물론 부득이 철수하더라도 동측방에서 서울을 재탈환할 수 있는 공격의 발판을 확보하겠다는 의도였으며, 전략적으로는 중동부전선 부대가 네바다선 점령을 위해 북한강 이남으로 자발적인 철수를 행할 때의 영토포기를 사전에 방지하는 동시에, 서울의 세 번째 포기로 한국 국민이 받을 심리적인 타격과 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 선의 이름에 대한 유래는, 특별한 지형상의 중요선을 따른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통제선의 의미가 강했으므로 종전과 같이 지명에 연유하여 이름을 붙일 수가 없었으며, 실은 어느 참모가 선명을 제안하였다고도 하나 밴플리트장군은 &quot그러한 것에 상관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노네임으로 충분하다&quot고 꾸짖어 그대로 노네임선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543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노트                항해 및 항공용의 속도 단위로, 16세기경의 유럽 선원들에게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노트는 1시간당 1해리(1852m)을 진행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본래 1해리는 지구의 중심각 1()에 대하여 해면에서 그려지는 가상적 호()의 길이로, 위도에 따라 다르나, 1929년 모나코에서 열린 제 1회 임시국제수로회의에서 국제 해리로서 1852m가 정식 채용되었다.

1543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농축우라늄        Enriched Uranium          천연 우라늄에 가공을 가하여 우라늄 235의 함유율을 인위적으로 높인 우라늄을 가리킨다. 핵분열 반응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우라늄 235인데, 본래의 천연 우라늄은 우라늄 235의 함유율이 0.7%에 불과하며, 나머지 대부분은 우라늄 23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이나 핵무기 등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의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우라늄 235의 함유율을 좀더 높일 필요가 있다. 발전소에 흔히 쓰이는 경수로의 경우 우라늄 235의 함유율을 약 3%까지 농축시킨 것이며, 그 함유율이 20%이상인 우라늄을 특별히 고농축 우라늄이라 부른다. 핵무기에 사용되는 우라늄은 우라늄 235의 함유율이 90%이상인 고농축 우라늄이다. 우라늄의 농축에는 기체확산법, 가스확산법, 원심분리법, 노즐법, 화학교환법, 레이저법, 열확산분리법 등이 사용된다.

1543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다련장로켓        Multiple Rocket Launcher 다수의 로켓탄 발사기를 상자형이나 원통형으로 배열해 한데 묶어 놓은 것으로, 차량에 탑재하여 자주화하는 경우가 많다. 수 기에서 수십 기의 로켓을 한꺼번에 발사하여 동시에 대량의 화력을 집중시키는 목적으로 하며, 광역제압, 살포지뢰 투하, 대포병사격 등에 쓰인다. 북한의 경우 각종 구경의 다연장 로켓포에 방사포라는 명칭을 붙여 다수 운용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국산인 구룡 다연장 로켓포를 비롯하여 MLRS(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MLRS 발사대를 사용하는 광역제압용 단거리탄도탄인 ATACMS(Army Tactical Missile System)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1543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다중채널 무선통신                    초단파(VHF)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와 반송장비 등을 사용하여 다중통신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부대간에 신속하게 많은 회선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중계통신소를 설치 운용하여 통신거리를 연장할 수 있으나, 다중채널 무선통신은 지형의 장애를 받으며 적에 의한 도청과 전자방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무선통신에 준하여 보안에 유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1543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다중통신           Multiplex Communication 한 통신 전송로의 회선을 사용하여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수많은 통신을 구성하는 유선 및 무선 통신방식을 총칭하여 가리킨다. 이는 전송매체, 즉 통신회선을 최대한 유용하게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중통신을 위한 방법으로는 각 통신가입자마다 주파수대역을 달리 할당하여 전송하는 주파수분할다중통신과 복수의 신호를 각각 다른 시간에 전송하는 시분할다중통신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543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다탄두 유도탄    Multiple Individually Targetable     한 발의 미사일에 다수의 탄두를 장착하며, 장착된 탄두 하나하나가 유도장치를 장비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전략 미사일무기를 가리킨다. 미소 양국은 상호 핵감축 협정인 START에서 지상발사 다탄두 미사일의 전면폐기를 합의하였다

1543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단거리 대공무기  Short Range Air Defense  일반적으로 저고도로 침투하는 적의 고정익 항공기나 헬리콥터 등을 요격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대공무기로서, 중거리 및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체계에 비하여 최근에 개발된 것들이다. 비행장 및 지휘통제 시설(C2)과 같은 중요한 전략적 목표물의 다중 대공(layered air-defence)체계 등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며, 지상군의 대 항공방어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단거리 대공무기체계로는 대공포나 휴대용 단거리 대공미사일이 대표적이며 , 단거리 대공미사일을 차량에 장착하여 기동성을 높인 경우도 있다. 보통 10km이하의 사정거리를 가진다. 1980년대에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을 때,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히딘에 레이시온사의 FIM-92 Stinger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소련 항공기에 대하여 막대한 전과를 올린 바 있다.

1543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단거리 수직이착륙기                  단거리 이착륙(Short takeoff landing)과 수직 이착륙(Vertical takeoff landing)을 모두 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능력을 가진 항공기가 활주 이륙을 하게 될 경우 수직이착륙을 행할 때보다 날개의 양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유효탑재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륙시의 연료소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전투행동반경이 좀더 넓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이러한 능력을 갖춘 항공기는 일반적인 경우 단거리 이착륙을 행하며, 작전상 필요할 경우에만 수직이착륙을 행한다. 영국, 미국 등에서 경항모용 함재기로 사용하는 시해리어가 대표적인 단거리 수직이착륙기이다

1544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단거리 탄도탄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        사거리에 따른 탄도미사일 분류의 한 가지로, 국가별로 기준이 조금씩 다르나 일반적으로 600NM이내, 혹은 800km 이내인 탄도미사일을 가리킨다. 전술병기로 분류되며, 스커드(SKUD) 미사일이 단거리 탄도탄의 대표적인 예이다.

1544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단대호   Unit Identification          단위부대부호의 준말. 부대의 규모나 종류를 알려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부호를 말한다. 한국군 역시 나토 표준과 거의 다르지 않은 단대호 규칙을 사용하고 있다. 나토 표준에 따른 일반적인 형식은 직사각형 안에 병과 및 임무를 나타내는 표시가 그려넣어지고, 왼쪽에 단위부대명, 오른쪽에는 직속 상급부대명을 낮은 것부터 기입한다. 위쪽에는 소대, 연대, 사단 등의 부대 규모를 나타내는 부대단위부호가 그려지고, 아래쪽에는 각종 전술기호나 부대 장비등의 추가 정보가 기입된다.

1544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단정     Boat     민수용으로는 인명 구조나 본선(本船)과 부두 사이에서 사람과 짐을 나르는 데, 군용으로는 도하 작전이나 수상 침투 작전, 혹은 상륙의 최종 단계에서 병력이 본선에서 해안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작은 주정(舟艇). 단정(端艇)이라고도 쓴다. 동력을 사용하는 기동정과 인력으로 삿대나 노 등을 이용하여 움직이게 하는 요정(橈艇), 노정(櫓艇) 등이 있는데, 상륙이나 도하에는 주로 기동정이 쓰이지만, 은밀 수상 침투시에는 노정이 사용되기도 한다. 기동정의 경우 주로 금속제이지만, 이외에 나무나 FRP(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1544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 도시목표가격            적국의 사회조직에 대하여 심대한 파괴를 가할 목적으로 직접 적의 산업 및 인구중심지(도시)에 핵공격을 가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공격 및 공격전술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경우로 설명되는데, 첫째는 제 2가격으로, 적국의 제 1가격에 의해 타격을 받은 나라가 잔존무기로 소수의 전략핵미사일을 가지고 있을 경우, 또는 적의 가격군이 그 제 1가격에서 대부분 쇠진되었거나 적에게 제 2가격이 알려지지 않고 있을 때이며 일반적으로 적의 기습적 선제공격에 대응하는 전략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두 번째는 최소억제전략의 일환으로 적의 도시를 목표로 하는 취약성 적은 소수의 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적의 침략을 억제하는 데 충분하다는 의견에 의해 대 도시목표 가격이 지지되는 경우이다.

1544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 병력전략                  핵전략의 한 가지로, 인구가 집중된 도시는 피하고 핵병력을 비롯한 적의 군사력을 목표로 하여 적의 핵보복력을 파괴하는 전략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서는 핵병기의 질과 양이 모두 충실해야 하므로 대량의 핵탄두와 운반장치 및 높은 명중도를 위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목표로 삼은 핵병력을 비롯한 적의 군사물의 배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1960년대 초에 미국의 맥나마라 국방장관에 의해서 처음 제창되었고, 이후 소련측의 핵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대 도시전략을 비롯한 확증파괴전략을 통하여 상호억제를 이루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가 70년대에 들어서 다시 전략병력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목표선택전략이라는 대 병력전략을 채택하였다.

1544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게릴라전                   대비정규전의 일부로, 아군 지역에 침투하여 유격전을 실시하고 있는 적 게릴라를 소탕 및 격멸하고 그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활동을 가리킨다.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하여 적의 인적, 물적 지원 형성을 방해하여 적 게릴라의 안정을 방해하고 균형을 파괴하는 동시에, 적 게릴라를 발견하여 고착포획시킨 후 그 병력을 섬멸하고 게릴라 활동의 근거지를 파괴하는 활동을 행하는 타격작전과 적 게릴라 소탕으로 최초통제를 이룩하고 저항운동의 재발을 방지하여 군, , 민의 협조하에 지역의 통제와 안전을 회복시키는 평정작전으로 나누어진다

1544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공무기           Air Defence Weapon       적의 항공전력에 대항하여 공격을 행하는 무기를 가리킨다. 적의 항공기 및 비행체 등의 공중전력에 대하여 공격을 가하여 파괴 혹은 무력화시키거나 그 공격효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관포와 미사일 등이 주로 사용되며, 무기를 설치, 운용하고 발사하는 위치에 따라 공대공, 지대공, 함대공 무기로 나뉜다.

1544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공제압           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ce 아군의 항공작전에 방해요소가 되는 적의 대공방어체제를 무력화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공세제공 작전의 일환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공세제공작전의 임무형태로 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제공작전을 구성하는 하부작전으로서 공세제공 및 방어제공과는 분리하여 분류한다. 이는 다시 직접 지상목표를 파괴하는 대공제압 타격임무와 대공제압 타격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를 보호하는 대공제압 호위임무로 나뉘어진다. 대공제압 타격임무의 수행은 주로 헌터-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레이더파 탐지장비와 대레이더 미사일을 장비한 헌터역 항공기가 대공포와 미사일의 조준 및 발사에 사용되는 레이더 안테나를 무력화시키면 지상공격용 폭탄으로 무장한 상태로 후속하는 킬러역 항공기가 기타 레이더시설 및 대공미사일, 대공포 진지 등에 공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레이더 안테나를 우선 무력화시키는 이유는 무기의 조준 및 발사에 이용된다는 점 외에도 대공포와 미사일보다는 직접 전자파를 방사하는 레이더 시스템 쪽이 탐색 및 발견을 행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레이더를 무력화시키는 방식으로는 공대지 미사일 등으로 직접 물리적 타격을 가하는 하드 킬(hard kill)방식과 전자장비를 이용하는 소프트 킬(soft kill)방식이 있는데, 소프트 킬 방식은 전자전에 속하는 영역으로 전투기가 이를 수행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전투기가 대공제압 임무를 통해 행하는 레이더 무력화 방식은 하드 킬이다. 또한 후속 부대로 기타 시설을 파괴하는 이유는 안테나만 파괴시켰을 경우 안테나 교환으로 간단히 레이더 기능이 회복되기 때문에 안테나 파괴만으로는 공격효과를 지속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대규모 공격편대군에서 대공제압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는 아군의 공격편대 선봉에서 가장 먼저 진입하여 대공망을 무력화시킴으로써 적의 대공망으로부터 아군의 후속 공격편대군을 엄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544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공포   Anti-Aircraft Artillery AAA           대공무기의 일종으로, 지상이나 함상에서 적 항공기에 대해 포탄 및 탄환으로 사격을 가하는 무기를 가리킨다. 지상군에서 운용하는 대공포의 경우 고정포대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식으로 운용하기도 하며, 처음부터 자체적인 기동능력을 가지도록 설계한 자주대공포도 존재한다. 초기의 대공포는 항공기에 대한 조준사격이 어려웠으므로 대량의 기관포로 지향사격을 가하여 포화망을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2차 세계대전 시기에 레이더가 개발되면서부터 항공기의 고도와 방향을 판정하여 공격할 수 있는 대공포가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는 88mm급의 대구경 대공포도 존재하였으나 현대의 대공포는 대부분 그 구경이 30mm 내외이며, 레이더와 연동하는 첨단 사격통제장비를 사용하여 명중률을 높이고 있다. 한국군의 경우 국산 자주대공포인 비호 체계를 개발한 바 있으며, 이 외에도 수종의 견인식 및 이동식 대공포를 운용하고 있다.

1544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구폭동사건                미군정기인 1946 10월 경찰과 시민들간의 충돌로 대구에서 시작된 유혈사건을 가리킨다. 1946 9월의 총파업 기간 동안 대구지역의 좌익세력은 대중시위를 전개했고, 10 1일 대구 40여개 공장노동자들과 학생 및 시민들이 식량배급, 임금인상, 미군철수 등의 구호를 외치며 대규모적인 가두시위에 돌입하였다. 이에 밀린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이에 군중들은 철야 항의시위를 계속하였고, 다음 날인 2일에도 집회는 계속되었으나 경찰이 다시 발포하여 사상자가 발생하자 시위가 급격히 폭력화되어 경찰서 습격, 무기 탈취, 유치장 개방 등을 벌였고 시내의 파출소를 점거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경찰이 다수 사망하였다. 이에 미군정이 저녁 6시를 기하여 대구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미군 및 중앙 경찰병력을 동원하여 대구를 제압하였다. 대구내의 사태는 이것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경북 각 지역에 시위가 퍼져나가 1946년 말에야 진정되었다. 이 사건의 여파로 대구지역의 우익테러가 증가하였고, 9월 총파업에서부터 이 사건까지를 비롯한 일련의 사태로 인하여 남로당 간부를 위시한 좌익세력은 많은 이들이 검거되거나 잠적하여 그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1545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내심리전        Internal Psychological Warfare      군사적인 의미로는 기본적으로 아군의 부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전을 가리키며, 방어심리전과 유사한 개념이다. 이는 부대원들에게 전쟁의 목적을 명확히 이해시키고 단결력을 높이며 상대의 심리전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활동으로는 정신무장을 위한 정훈 및 홍보활동을 들 수 있으며, 적 심리전의 영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불온문서의 침투 저지 및 유무선 통신의 검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민간에 대하여 실시하기도 한다. 국가가 자국민에 대하여 대내심리전을 실시하기도 하는데, 이를 행하는 방법으로는 국가의 주도로 국내에서 국민정신을 통합하기 위해 실시하는 홍보 및 선전활동 등을 들 수 있으며, 독재국가에서 종종 일어나는 독재자 우상화 활동의 경우도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내심리전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1545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량보복전략      Massive Retaliation Strategy        냉전 초기의 미국 핵전략을 가리킨다. 한국전쟁 직후 아이젠하워가 제시한, 국방정책의 기본방침인 뉴룩전략(New-Look Strategy)에서 제시된 것으로, 이 전략에 따르면 핵무기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보복력을 과시하여 적의 전쟁의지를 억제하고, 이를 위해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략공군을 확충하는 한편 기타의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재래식 전력은 감축하게 된다. 방위적 군사태세로, 상대의 선제공격이 있을 시 핵무기에 의한 파멸적인 보복을 각오하게 하여 상대의 침략의지를 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뉴룩전략에 따른 대량보복전략은 적 공격에 대한 대응수단을 전략핵무기에 한정하기 때문에 공격에 대한 대응 자체가 전면전이 아니면 완전한 전쟁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되어 제한전 및 국지전의 발생을 막지 못했고 그에 대한 대처에 실패하여 핵무기만이 아닌 재래식 병력도 상황에 따라 사용한다는 유연반응전략으로 대체되었다.  2. 어떠한 형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해서도 최대 수준의 군사적 응징으로 보복하는 전략, 혹은 그러한 의사를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의 군사적 도발 의지를 꺾는 억지전략을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의 대량보복전략을 수행하는 수단은 크게 핵을 비롯한 대량파괴무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대규모의 재래전 무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국가방위에 있어 이러한 의미의 대량보복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는 이스라엘을 들 수 있다.

1545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량살상무기      Mass Casualty Weapons MCW      대량 파괴병기라 불리기도 한다. 핵병기, 화학병기, 생물병기를 일괄하여 부르는 호칭으로, ABC(NBC)병기와 같은 의미이다. 핵병기가 최초로 전장에 투입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그 분류가 발생하였으며, 무기의 비인도성 및 대량 살상능력으로 인하여 현대의 군축 움직임에서 중요한 의제가 되고 있다.

1545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륙간 탄도탄               타 대륙까지를 공격권 내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매우 긴 사정거리를 갖는 전략미사일로, 일반적으로 5,000km을 넘어서는 사정거리를 가진 탄도미사일을 가리킨다. 다단식 로켓으로 탄두를 수송하며, 관성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로 날아간다. 핵탄두를 탑재할 경우 보통 메가톤급의 파괴력을 지닌다. 대표적인 대륙간 탄도탄으로는 미국의 미니트맨 시리즈, 피스키퍼 및 러시아의 SS-17, 18, 19 등을 들 수 있다.

1545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리전쟁           Proxy War         한 국가가 자국이 직접 전쟁을 치르지 않고 자국의 동맹국이나 우방국 혹은 기타의 다른 나라가 대신 치르게 하여 벌어지는 전쟁을 가리킨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에 들어오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단어이나, 대리전쟁에 관련된 정책개념은 이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대리전쟁의 발생시 실제로 전쟁을 치르는 국가는 승패에 상관없이 전쟁의 참화를 입게 되나, 치르게 하는 나라는 실패시에도 자국의 피해가 비교적 적으며, 그 외에도 전쟁의 범위를 좁힐 수 있고 새로운 무기나 전술을 시험할 수 있으며 상대측의 전략 및 전술을 탐지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냉전시대에 벌어졌던 국지전들은 많은 부분이 실질적으로 미, 소 양국의 대리전쟁에 속해 있었다.

1545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민 군사지원               해당 지역 민간당국의 요청에 응하거나 비정규전에 대비할 목적 등으로 인하여 군 인원을 사용해 주민의 질서 유지와 복지 보존을 돕기 위해 취해지는 모든 군사활동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는 비전투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은 통상적으로 재난이나 폭동, 적의 비정규전 수행 및 기능발휘를 위협하는 상태 등과 같은 위기상태 아래에서 혹은 그러한 위기상태를 예방하기 위하여 실시하게 된다.

1545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비정규전        Counter Unconventional Warfare   적의 비정규전에 대한 사전 예방, 저지 및 적 게릴라의 격멸과 소탕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모든 활동을 가리키며, 군사활동과 비군사활동을 포괄하는 군, , 민의 통합된 범국가적인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대비정규전은 크게 내부개발과 내부방어로 나뉘는데 내부개발은 정부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안정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여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여 사회 불안을 완화 해소시키는 등의 수단을 사용한다. 내부방어는 내부 개발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법질서 수호 및 유지활동으로, 치안형식의 작전을 이르는 경찰형 작전과 적의 유격활동을 격멸하는 전쟁형식의 작전활동을 보이는 군사형 작전 및 이를 지원하는 정보활동, 심리전, 대민 군사지원활동 등을 포함한 지원작전이 있다. 내부방어의 경우, 대비정규전에서 경찰형 작전과 군사형 작전은 엄격하게 구분지어 나누기는 어렵다.

1545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양해군           Ocean Going Navy/Blue Water Navy           연안방어에 그치지 않고 대양에서 상당 기간의 독립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해군을 가리킨다. 최소 대형 구축함과 같은 중형함급 이상의 함선으로 구성되며, 항모와 잠수함, 순양함, 구축함 및 지원함과 상륙함 등으로 편성되어 해상만이 아니라 해상, 해저, 항공 모두를 통해 작전이 가능한 입체전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양해군은 해양통제, 해상교통로 보호 및 대양과 적 연안에 대한 전력투사능력을 갖추고 이를 활용하여 대양을 무대로 활동하며 국가이익을 수호하고 국가정책을 뒷받침한다.

1545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외군사판매      Foreign Military Sale FMS 미 정부를 대상으로 한 군사장비 직구매방법의 한 형태로, 미국정부가 무기수출통제법(Arms Export Control Act : AECA)등 관련법규에 의거 미국의 우방국, 동맹국 또는 국제 기구에 정부간의 계약에 의하여 대외지급수단 및 차관금액으로 군사상 필요한 물자를 유상판매하는 군사장비 판매 형태를 가리킨다. 지정구매(Defined Order Case:DO), 총괄구매(Blanket Order Case:BO) 및 군수보급지원약정(Cooperative Logistics Supply Support Arrangements:CLSSA)으로 구분된다. 지정구매란 FMS구매물자를 구매할 경우에 대상품목, 수량, 예상가격 및 인도 예정일 등의 제반조건을 청약 및 수락서상에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구매하는 계약방법을 가리키며 총괄구매란 FMS물자를 구매할 경우에 구매대상품목에 대하여 총금액 및 구매기간만을 명시하여 계약한 후 그 범위 내에서 수시로 청구하여 구매하는 계약방법을 가리킨다. 군수보급지원약정이란 미 국방성 군수지원체제를 통하여 외국에 군수지원을 제공해 주는 국제협동 군수지원체제로서 미국과 해당 우방국 간의 군별 쌍무약정에 의해 평시 지속적인 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대외판매의 형태를 가리킨다.

1545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외심리전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우방이나 중립국 또는 적대관계에 있는 국가나 집단에 대하여 수행되는 심리전으로 우방국에 대해서는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중립국에 대해서는 우호를 증진시키며 적대국 또는 적대집단에 대해서는 관계를 개선하고 견해, 감정, 태도 및 행동을 자국 및 아군측에 유리하게 유도하는 심리전 활동을 가리킨다.

1546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인장애물        Anti-Personnel Obstacle   도보로 이동하고 있는 적의 보병부대가 전진하는 것을 방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애물을 가리킨다. 이동방해나 살상효과를 가지는 것들로, 기습방어 및 이동지연을 위한 철조망, 화염지대의 발생으로 전진을 막는 화염지뢰, 외관상 해롭지 않은 모양을 하여 적의 방심을 유도하는 폭발물인 부비트랩 및 크레모아나 발목지뢰와 같은 대인지뢰 등을 들 수 있다.

1546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잠 로켓          Anti-Submarine Rocket ASROC     1. 수중을 목표로 발사하여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로켓탄을 가리킨다. 전방 투척기를 이용하여 잠수함의 예상 진행방향에 발사하는 방식으로 공격한다. 노르웨이의 테른 대잠로켓, 소련의 RBU-6000 대잠로켓 등이 있으며, 명중률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2. ASROC이라 칭할 경우, 좁은 의미로는 미국에서 개발된 대잠로켓 무기체계를 가리킨다. 로켓과 대잠어뢰를 결합하여 대잠용 단어뢰의 짧은 사거리를 보완하고 있다. 미리 입력시킨 데이터를 통해 로켓이 목표 해역으로 날아가면 대잠어뢰가 로켓에서 분리되어 낙하산으로 착수한 후 목표잠수함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8연장 발사기를 사용하며, 탄두로는 MK44, MK46과 같은 단어뢰를 사용한다. 대잠로켓 혹은 대잠미사일의 일종으로 분류되나, 로켓을 운반체로 사용하고 직접적인 공격은 어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 세대의 대잠로켓과는 차이가 있다. 이와 유사한 무기체계로는 L4어뢰를 장비한 프랑스의 마라폰 대잠미사일 등이 있다.

1546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잠 무기체계    Anti-Submarine Weapons Sys-      대잠전(Anti Submarine Warfare ASW)을 담당하는 무기체계를 총칭하여 가리킨다. 적 잠수함을 수색, 탐지하기 위한 소나와 같은 음향장비도 넓은 의미로는 대잠무기체계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직접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공격무기를 가리킨다. 초기의 대잠무기로는 폭뢰가 있으며, 이후 대잠수함포, 대잠로켓, 대잠어뢰, 대잠미사일 등의 다양한 무기가 등장하였다. 탄두에 핵을 장비한 서브록 무기체계와 같이 핵폭발을 사용하여 넓은 범위의 잠수함을 공격하는 대잠수함용 핵무기도 존재한다.

1546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잠 헬리콥터    Anti-Submarine Helicopter          대잠전을 수행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헬리콥터를 가리킨다. 지상발진 외에 구축함 등에 탑재되어 함상발진을 통해 대잠전을 수행하기도 하며, 대잠전 수행시에는 레이더와 디핑 소나, 소노부이 등으로 적 잠수함을 탐색, 탐지하고 대잠공격시에는 폭뢰, 어뢰 등으로 공격을 행한다. 한국 해군에서는 영국 웨스트랜드사의 수퍼 링스 헬기를 대잠헬기로 운용하고 있으며, 전방기지나 KDX 구축함에서 발진하여 작전을 행할 수 있다.

1546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잠어뢰           Anti-Submarine Torpedo ASTOR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어뢰를 가리킨다. 주로 단어뢰(경어뢰)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본래 수상함용으로 쓰이던 장어뢰(중어뢰) 역시 대잠어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상함, 잠수함, 항공기 등에서 발사된다. 초기에는 무유도였으나 차례차례 유도방식이 개발되어 함정의 엔진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패시브 유도를 비롯하여 어뢰 스스로 음파를 발하는 음향 액티브 유도 및 상대 함정의 와이어를 통해 수동으로 유도하는 유선관제유도방식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초고속어뢰인 스퀄이 있는데, 이는 무유도인 대신 최대 300노트급의 고속으로 상대를 향하여 발사된다. 기폭시스템으로는 직접 접촉으로 폭발시키는 접촉식, 촉발식과 목표의 자기를 감지하는 감응식이 있었으나 제 2차 세계대전 때 나타났던 신관의 신뢰성 문제로 광범위를 공격하는 핵어뢰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접촉식, 촉발식을 사용하며, 현재는 보통 음향유도어뢰의 사용시 상대의 기만책에 대항하기 위하여 자기신관을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대잠어뢰로는 미국의 MK44, 46 등이 있다.

1546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잠전   Anti-Submarine Warfare   적 잠수함의 작전 수행을 방해하고, 나아가 포착, 탐지하고 대잠전투를 통하여 격침시키는 잠수함에 대한 일련의 작전을 가리킨다. 대잠작전용 수상함이나 체공시간이 긴 고정익 항공기 및 헬리콥터, 잠수함 등을 동원하여 소나와 소노부이 등으로 수색, 탐지를 행하고 이를 통하여 잠수함의 위치를 추적하며, 공격을 가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폭뢰, 대잠어뢰, 대잠미사일을 비롯한 대잠공격무기를 이용하여 잠수함에 대한 공격을 행한다. 초기의 대잠임무는 구축함이 거의 전담하였으나, 2차 세계대전 시기부터 항공기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수상함, 잠수함 및 항공기를 통한 입체적인 대잠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546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전차 무기체계  Anti-Tank Weapon System          적 전차에 대항하여 공격하기 위한 일련의 무기들을 가리킨다. 전차를 이용한 전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던 제 2차 세계대전 시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당시의 대전차수단 중 구축전차나 대전차 자주포 등의 경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사용되는 대전차무기로는 대전차 지뢰나 보병용의 대전차 미사일과 로켓포, 무반동총 등의 화기 및 항공기나 차량에 탑재하여 발사하는 기관포, 토우미사일 등의 무기들이 있으며, 이러한 무기를 탑재한 항공기나 차량 그 자체도 대전차 무기체계에 포함된다.

1546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전차 장애물    Anti-Tank Obstacles        적의 전차부대, 혹은 전차를 동반한 기계화부대의 주요 접근로를 봉쇄, 차단 또는 전진을 지연시키거나 아군의 화력권내로 유인하여 격멸시키기 위해 운용되는 장애물을 가리킨다. 경사지를 절토하여 수직면을 만들거나 사각형의 호를 파는 형태로 만드는 대전차구, 지상에 흙을 쌓거나 경사지와 같은 곳을 절토한 후 적 방향으로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는 단애, 개활지나 야지에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하고 상단부에 교통호 및 화기 진지와 총안구를 설치하여 공세적 방어를 가능하게 한 방벽, 주요 도로에 설치하여 적 기계화부대의 차단이나 우회를 강요하고 사전에 폭파 가능하게 만든 인공장애물인 낙석, 도로에서의 기동을 방해하는 도로대화구, 방벽이나 단애 등을 설치하기 어려운 소하천이나 개활지에 철재나 콘크리트로 설치하는 용치, 수목의 획득이 가능한 산악지형의 도로상에 통나무를 이용하여 구축하는 폐쇄용 장애물인 환대목, 수목이 우거진 산악이나 개활지 등에 자연 및 인공장애물과 통합하여 철재나 환목, 콘크리트로 만들어 설치하는 말뚝 등이 있다. 각 장애물의 구체적인 전술적 운용방식은 종류별로 상이하며,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복합하거나 지뢰 등과 병행하여 운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대전차 장애물의 구축시에는 임무, 장차의 전술계획, 지형 및 기상, 시간, 물자, 인력 및 장비의 가용성, 현지 주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1546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지공격           Air Strike          공격임무를 부여받은 전투기, 폭격기 또는 공격기에 의하여 특정 지상목표에 대하여 공중타격을 가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는 기계획 또는 긴급 근접항공지원이나 항공후방차단 등의 형태로 운용된다.

1546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포병 사격       Counterbattery Fire        넓게는 적의 포병에 대한 사격 전체를 가리키지만, 일반적으로는 적이 포병사격을 가한 이후 아군의 포병전력을 이용하여 상대 포병부대에 포격으로 반격을 가하는 것을 가리킨다. 적이 포격을 가한 이후 대포병 레이더로 적 포격의 탄도를 역추적하거나 탄흔분석조가 출동하여 적 포격의 탄흔을 조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적의 포격이 날아온 위치를 알아내어 아군의 포병전력으로 그 위치에 포격을 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최대한 단축시키는 것이 유효한 대포병사격의 관건으로, 현재 한국군의 경우 5분 이내에 대포병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 대포병사격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대포병사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최대한 빠르게 사격을 마친 포들을 사격위치에서 이탈시키거나 상대 포병의 최대사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서 포격을 가해야 하며, 반대로 대포병사격을 가하는 측에서는 빠른 대응 이외에도 가능한 한 사정거리가 긴 포를 보유할 필요가 있다. 현대 포격전에서 구형의 견인포는 기동성의 부족으로 사실상 대포병사격을 회피할 수 없으며, 자주포 역시 대포병사격의 회피를 위해서는 높은 기동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1547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대한청년단                   1949 12 19일 각종 우익 청년단체들을 통합하여 결성된 단체. 대동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국민회청년단, 대한독립청년단, 서북청년회 등을 중심으로 하여 약 20여개의 우익 청년단체가 창설에 참가하였으며, 초기에는 최고위원제를 채택하여 이승만을 총재로 장택상, 전진한, 지청천, 노태준, 유진산, 서상천, 강낙원, 신성모 등이 최고위원으로 추대되었으나 이후 내부분열이 일어나 1950 1월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단장제로 바뀌어 신성모가 초대 단장에 취임하였다. 광범위한 조직망을 이용해 약 200만의 단원을 규합하여 계몽활동, 군사훈련을 비롯한 각종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그 활동이 이승만 지원활동에 치우쳤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전쟁의 발발 후 향토방위를 위한 청년방위대라는 반군사조직으로 개편되었으며, 중공군 참전 이후 대한청년단 약 50만명을 무장시키기 위하여 미국에 지원을 요청하였으나 기존부대의 보충요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 맥아더의 거부로 무산되었다. 이후 1. 4 후퇴시 국민방위군이 만들어졌을 때 그 중핵이 되었으나, 운영미숙과 부정착복 등으로 보급이 지급되지 않아 수많은 사망자를 냈던 국민방위군 사건으로 인하여 주요 간부들이 처형되고 국민방위군이 해산됨에 따라 조직이 극도로 약화되었으며, 1953년 민병대가 창설되면서 전국 청년들을 민병대에 규합한다는 지침에 따라 1953 9 10일 이승만의 명령으로 해산이 선포되었다.

1547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데이비드슨 선               한국전쟁 시기, 낙동강 방어선의 붕괴에 대비하여 구축하였던 예비 방어선을 가리킨다. 1950 8월 초 맥아더 장군은 워커 중장에게 낙동강 방어선이 붕괴되었을 경우를 대비한 예비방어선의 준비를 강조하였고, 이에 따라 워커 장군은 8 11일에 공병참모 데이비드슨 준장에게 예비진지 구축을 명령하여 8월말까지 울산 북쪽 17㎞의 서정리에서 시작하여 경상남북도 도계를 따라 밀양 북쪽 유천리를 기점으로-무안리-마산 동북쪽의 고지군으로 이어지는 총연장 90Km의 예비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전선의 이름은 구축책임자였던 데이비드슨의 이름을 딴 것이다. 진지구축에는 현지주민이 동원되었으며, 엄체호와 기관총진지를 10m 간격으로 배치하고 조명지뢰를 매설하였다. 데이비드슨선의 구축이유는 인천상륙작전에 사용할 병력 확보를 위해 병력을 절약하면서 적 공격에 버틸 수 있는 보다 축소된 방어진지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현재의 낙동강 방어선이 붕괴될 경우 부산으로부터의 철수를 엄호할 최소한의 외곽진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었다. 최후방어선을 선정하는 시기에 이르러 미 제 8군은 실제 점령한 낙동강방어선과 데이비드슨선을 상호 비교하였고, 각자의 장단점을 비교한 뒤 워커 중장은 낙동강이라는 장애물의 유용성과 기동과 반격이 용이하다는 점을 들어 낙동강 방어선을 최종방위선으로 선택하였다.

1547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데탕트             국제관계에 있어서의 긴장 완화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로는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된 미, 소 주도의 양극 체제에서 비롯된 긴장의 완화와 협상으로 시작된 냉전의 완화를 가리킨다. 냉전시대의 초기에는 미, 소의 양극 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동구권과 서구권의 대립이 첨예하였으나 소련의 흐루시초프가 평화공존 정책을 실시하면서 냉전이 완화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미, 소 외의 핵보유국(영국, 프랑스, 중국)이 등장하게 되면서 국제권력이 다변화되었고, 이로 인하여 냉전 초기의 양극 체제가 다극 체제로 바뀌면서 양 진영간의 긴장이 완화되고 협상이 시작되어 이데올로기로 대립하던 동서 진영은 평화공존과 화해의 시대에 들어가게 되었다. 1979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면서 데탕트 분위기가 깨어져 한때 미, 소 양국의 대립이 격화되었으나,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으로 인하여 신 데탕트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1991년 소련의 붕괴와 함께 냉전체제는 종식되었다.

1547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도로대화구        Road Crater       적의 전차 및 기계화부대의 도로사용을 거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애물의 일종. 도로상의 한 지점에 폭발물을 장치하여 두었다가 필요할 때 폭파함으로써 도로상에 깊고 큰 폭파구를 형성시켜 이동을 방해한다. 장치하는 폭발물 및 폭파방범에 따라 액체폭약식, 암모늄 나이트레이트식, KM-180 도로대화구 킷 등으로 나누어진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도로대화구의 설치지점을 가능한 한 적이 용이하게 우회하기 어려운 곳에 두어야 하며, 도로대화구 생성 지역 주변에 지뢰를 살포함으로써 만들어진 도로대화구를 그대로 우회할 수 없게 하는 등 다른 장애물과의 복합적인 사용도 중요하다.

1547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도발     Provocation       상대에게서 특정한 반응을 얻어내어 아군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짐짓 상대를 격동시키는 행동을 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외교수사와 같은 단순한 발언일 수도 있고, 국가 차원의 움직임, 혹은 군사적인 위해 행위 등이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1547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도서지역작전                도서지역을 작전지역으로 하여 벌어지는 일련의 작전을 가리킨다. 도서지역은 위치와 크기, 주민존재여부, 항구나 공항의 유무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진다. 작전을 행함에 있어 도서지역은 사방이 바다로 되어있다는 특성상 부대의 진출, 증원, 철퇴 등이 제한되며, 특히 협소한 도서일 경우 투입가능한 상륙부대의 규모가 제한된다. 또한, 육상의 병참기지로부터 고립상태에 있으므로 병참지원이 어렵다. 그리하여 도서지역의 작전 및 전투는 장기간에 걸쳐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병참지원의 성패여부가 작전결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 공격측은 도서작전의 수행을 위하여 공격을 위한 특수장비 및 자재의 준비와 전력 발휘가 제한되는 상륙 및 공수작전 초기의 취약점을 방어측이 이용하는 데 대한 대비 등 주도면밀한 작전 준비가 필요하다. 방어측은 도서지역의 방어를 위하여 최대한의 병참 지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적 상륙시의 약점을 이용하여 전기를 잡아 가능한 한 조기에 적을 격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1547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도플러 레이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를 가리킨다. 도플러 효과란 파원과 관측점, 파동이 전파되는 매질 등 세가지의 상대속도 및 파원과 관측점에 이동에 따른 전파거리의 변화에 따라 관측자에게 측정되는 파장 및 진동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이러한 변화를 탐지하여 고정표적 및 이동표적을 구분해내고 이동표적의 속도 등을 알아낸다. 항공기 레이더 및 대구경 장거리 야전포병의 포구속도 측정, 전차를 비롯한 적 이동을 감시하는 전장감시용 레이더 등에 이용된다. 특히 항공기 레이더로 이용될 때는 표적의 도플러 변이를 감지하여 표적의 거리 변화율 및 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저고도인 항공기와 지상 이동표적에 대한 반사파를 구별할 수 있으며, 이동표적에 대한 반사파와 지면반사파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항공기가 하방 탐색(Look Down)을 수행해야 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1945년경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군사기밀사항에서 해제된 이후 민간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1547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도하작전           River Crossing Operation 하천을 건너 대안으로 이동하는 작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공격작전의 한 과정으로 수행되며, 공격부대가 신속하게 하천 장애물을 극복하고 공격기세를 유지하여 적을 격멸하기 위해 실시한다. 도하를 시도하는 부대는 부대 및 장비품이 도하를 완료할 때까지 양쪽으로 분리되어 기동, 지원과 전투력 발휘가 제한되므로 기도를 비닉하여 방어자가 대응하기 이전에 기습적으로 도하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한 한 최대한 동시에 도하하여 도하시의 약점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1547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독도법   Map Reading     지도를 보고 그 내용을 해독하여 읽어내는 법을 가리킨다. 지도를 능숙하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지도 자체를 읽어내어 그 지형을 입체화시킬 수 있어야 하며, 기호나 난외주기 및 나침반과 같은 도구의 사용법에 대하여도 숙지하여야 하고, 특히 군사지도의 경우 군사좌표 및 군사부호에 대하여도 충분히 숙지할 수 있어야 한다.

1547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독성 화학작용제  Toxic Chemical Agent      화학작용제 중, 인간에게 사용되었을 때 심한 상해 혹은 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작용제를 가리킨다. 살상 화학작용제라고도 불린다. 화학작용제 중 질식작용제,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수포작용제가 이러한 분류에 포함된다.

1548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독전대             자기 편의 군사를 감시, 독려하는 부대로, 사기가 극히 낮은 부대나 숙련도가 낮은 징집병을 모은 부대, 혹은 충성도가 낮은 부대를 어쩔 수 없이 제 1선에서 운용해야 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독전 대상이 되는 부대는 거의 대부분 보병부대로, 독전대는 보통 독전 대상이 되는 부대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격시에는 끊임없이 전진 및 돌격을, 방어시에는 무조건적인 위치 사수를 강제하는데, 머뭇거리거나 물러서는 병사에 대해서 즉각 체포, 혹은 가차없는 총격을 가하여 공격시의 전진 상태나 방어시의 위치사수 상태를 유지하게 만드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현대전에서는 제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수인부대를 이용했던 소련군의 독전대가 유명하며, 한국전쟁에서도 인민군이 독전대를 운용했었다는 증언이 있다.

1548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돌격     Assault  공격전투의 최후단계로서 백병전이 수반되는 근접전투를 가리킨다. 공격전투의 승패를 결정하는 행동으로, 공격중 최종 협조선에서 목표에 이르는 사이에서 실시되며 적과 근접하여 적을 포획하거나 격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돌격은 기동부대가 돌격을 위한 대형으로 전개를 완료하는 순간에 이루어지는데, 지원화력의 집중으로 돌격전에 적을 제압하다가 사격이 적의 측방 및 후방으로 연신됨과 동시에 최종 협조선을 통과하여 돌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력과 기동, 사격과 이동을 과감하게 운용하여 적을 살상하는 것이 돌격전투의 특징이며, 적 방어진지상의 간격은 발견 즉시 전과를 확대하여야 한다. 돌격의 방법에는 보전협동돌격 및 화력지원하의 전차단독돌격, 기계화보병에 의한 탑승돌격 등이 있다. 돌격은 상륙전이나 공수작전 용어로 사용되거나 국지목표에의 맹렬한 공격 등을 가리킬 경우에는 강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1548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돌파     Penetration       돌파는 공격부대가 적 주방어진지의 일부를 격파하여 통과하고 적을 양단시켜 적 부대의 방어 지속성을 파괴하기 위한 기동형태를 가리킨다. 적 방어진지에 약한 측익이 없거나 지형상 포위가 제한될 경우 실시하며, 이 경우 돌파를 통해 적을 양단하여 포위공격을 위한 약한 측익을 조성하고 이를 각개격파하게 된다. 돌파시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의 방어 지속성을 파괴하는 것이므로 적의 돌파구 저지능력을 박탈하기 위해 동급제대의 2제대까지 격파해야 한다. 적의 배치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있을 경우 돌파에 유리하며, 기만작전 등을 통하여 노출된 적 진지의 약점을 돌파지점으로 선정하는데, 상황에 따라 여러 지역을 동시에 돌파할 수도 있다. 돌파의 일반적인 과정은 돌파구 형성-돌파구 확대-적 종심방어 조직을 관통(방어 지속성의 파괴), 전투력을 통합하여 기습적인 공격으로 단시간에 방어진지를 돌파하고 돌파를 통해 형성된 약한 측익을 이용하여 주공부대가 적 후방의 종심깊은 목표로 공격하는데, 돌파정면은 돌파종심이 깊어짐에 따라 넓어져야 하며, 돌파중에 호기가 포착되면 신속히 전과확대로 전환하여야 한다. 돌파는 강력하게 편성된 적 방어진지에 대하여 공격하기 때문에 타 기동형태보다 많은 전투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파시에는 적 화력 지원수단의 무력화, 침투부대에 의한 측,후방 공격 및 선점, 기만활동 등을 통하여 전투력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1548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맹     Alliance 둘 이상의 개인이나 단체, 혹은 국가가 특정한 목적을 이루거나 서로간의 이해를 함께 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공동 행동을 취할 것을 맹세하여 맺는 약속이나 조약을 가리킨다. 외교상에서 같은 목소리를 내어 보조를 맞추거나 경제적 동맹관계를 맺는 이외에 군사동맹으로 제 3자에 대하여 공동으로 공격을 가하는 공격동맹, 3자로부터의 공격 및 위협에 공동으로 방어를 행하는 방어동맹, 공격과 방어를 함께 하는 공수동맹이 있다. 동맹은 개인, 집단 및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활용된다.

1548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반동원           Concurrent Mobilization  동원되는 장비, 시설 및 업체와 이에 종사하는 인력을 동시에 동원하는 것으로서 이는 병력동원에 우선한다. 동시동원은 물자, 시설 또는 업체를 관장하는 주무부장관이 국무총리 승인을 얻어 동시동원 명령을 하령하고, 그 사실을 행정자치부장관에게 통보한다. 자동차, 건설기계, 항공기 등은 조작요원과 동시에 동원하며 병원, 운송, 건설, 하역, 정비업체, 전기통신공사업체, 항공, 선박 및 어선을 동원할 때는 이에 속해 있는 인원, 장비, 시설들을 동시에 동원한다.

1548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압력   Dynamic Pressure           수축하지 않는 유체가 흐르고 있을 때, 이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가리킨다. 폭탄을 비롯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폭발이 일어나게 될 때에 발생하는 폭풍파와 충격파 및 이를 뒤따르는 회오리바람의 압력도 동압력에 속하는데, 폭탄의 폭발시 일어나게 되는 폭풍피해 및 그 전도현상은 대부분 이러한 동압력에 의해서 발생되며 핵폭탄 정도의 폭발력을 가지게 될 경우 그 폭풍파 및 충격파는 건물이나 교량을 일시에 파괴시킬 수 있는 수준이 된다. 핵폭탄이 폭발할 경우 전체 피해의 절반 가량이 이러한 동압력에 의한 폭풍피해로 인하여 일어나게 된다.

1548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원     Mobilization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시 한 나라의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기타 제반자원을 국가안전보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통제, 관리, 운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동원의 목표는 이용 가능한 국가의 자원을 신속히 효율적으로 끌어내어 군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민간수요의 적정수급으로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고, 지속적으로 경제력을 확보함으로써 총력전 수행에 만전을 기하는 데 있다. 동원 범위에 따라 총동원과 부분동원으로, 그 방법에 따라 사용동원, 수용동원, 통제운영으로, 그 형태에 따라 개별동원과 동시동원으로, 그 절차에 따라 정상동원과 긴급동원으로 나뉘며, 대상 자원에 따라서는 인력동원과 물자동원으로 나뉜다. 인력동원과 물자동원은 각각 병력동원, 기술인력동원, 전시근로소집과 산업동원, 수송동원, 건설동원, 통신동원으로 세분되는데, 좁은 의미로는 군대에 대한 것에 국한하여 위의 병력동원만을 가리켜 동원이라 칭하기도 한다.

1548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원령   Issuance of Mobilization Order    국가동원이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하에서 국가의 이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국가안보에 공헌할 수 있도록 통제, 관리하는 국가권력 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동원령이란 국가동원을 시행하기 위한 일종의 국가긴급명령이라 할 수 있다. 동원령은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 내지는 침해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이를 선포하려면 정당한 법적 근거가 있어야 하고, 그러한 경우에도 상당한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헌법 제76조의 근거에 의하여 전시자원관리에 관한 법률(대통령 긴급명령) ()을 평시에 성안하여 두고, 전시에 신속히 이를 확정 공포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전시 대기법으로 준비해 두고, 동법 제13 (국가동원령)는 대통령은 중대한 교전상태하에서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가동원령을 선포할 수 있다 라고 하여 동원령 선포의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1548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원소요           Mobilization Requirement 전시 혹은 그에 준하는 사변과 같은 다른 일로 인하여 동원령이 선포되었을 때, 전시 인가된 편제병력의 충원 또는 작전수요를 위하여 전시에 보충하여야 할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소요를 가리킨다. 순수한 의미에 있어서의 동원소요는 동원자원의 전체적인 소요량, 즉 공급능력 및 현재의 보유량을 고려하지 않은 전체량을 의미하며, 동원계획상의 기본소요인 동원소요는 현재의 보유량을 고려한 소요, 즉 순수한 개념상에서 의미하는 전체 소요량 중 부족량을 의미한다.

1548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원지정           Appointment for Mobilization      전시동원소요에 대하여 평시에 인적, 물적 동원자원을 미리 지정하는 것으로 병력동원의 경우 전시를 대비하여 병력동원 소집대상자를 부대단위, 집단 또는 개인별로 전시에 소집될 부대 및 직책을 평시에 지정하여 두는 것을 말하며, 병력동원 운영계획에 의거하여 계급, 병과, 군사특기 및 거주지역 등 입영부대의 보충소요에 맞도록 지정하게 된다. 이는 동원지역의 배정, 소집부대의 결정, 동원보직 부여, 동원소집명부 작성 및 신상이동자의 대체지정 등 전 과정을 총망라하는 병력소집대상자의 지정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물적동원의 경우 지정물자 외에도 동원지정업체를 지정하여 전시에 군수물자 또는 전시 민수물자의 생산을 행하게 하며, 동원지정업체의 인력 확보를 위해 당 업체의 필수기술요원 중 병력동원이나 전시근로소집 대상자는 동원지정업체의 요청에 의해 병역법과 병무청 훈령에 의거하여 소집순위를 후위로 조정하게 된다

1549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원지정업체      Appointed Companies for Mobili-  평시에는 업체 고유업종의 영업활동을 하나, 전시 또는 비상시에는 국가동원령에 의하여 동원되어 군수물자 또는 전시 민수물자의 생산이나 용역에 종사하는 업체를 가리킨다. 평시의 동원지정업체는 업체 준비사항으로 임무통지서 수령 후 15일 이내에 업체 실시계획을 작성하여 관할 구, , 군을 경유하여 시, 도지사의 승인을 받고, 유사시를 대비하여 기능공 양성 및 확보, 원료 비축 및 확보, 장비 및 시설확장, 연구개발 및 시제품생산 훈련 등을 실시하며, 임무품목 생산을 위한 금형 및 원부자재 확보 및 원부자재 조달업체와의 평시 가계약을 통하여 전시 원부자재 확보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생산물자 인도를 위한 수송계획을 수립하고, 수송능력 부족시 행정관서에 요청하여 관통제차량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며 우발사태(단전, 단수, 유류공급 중단 등)에 대비한 준비를 행한다. 동원지정업체의 종사자는 동원이 실행되었을 경우 인력동원 대상이 되어 업체와 함께 동시동원되며, 동원지정업체는 전시 필수기술요원 확보를 위해 병력동원 및 전시근로소집 대상자에 대한 후순위 조정 신청을 하며, 이들에 대한 후순위 조정은 병역법 및 병무청 훈령에 의거하여 행하게 된다.

15491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동위원소           Isotope 같은 화학원소로서 화학적인 성질은 같으나 원자량이 다른 원소를 가리킨다. 같은 양성자 숫자를 가지고 있으나 중성자의 숫자가 다르기 때문에 질량에서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 안정성에 따라 안정동위원소와 방사성동위원소로 나뉘는데, 방사성동위원소의 경우 원자핵이 불안정하여 다른 종류의 안정된 동위원소로 변하려 하는 성질이 있고,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방사선을 방출하게 된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도 있으나, 핵실험 등으로 인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방사성동위원소도 존재한다. 동위원소는 고고학적 이용과 연대측정, 비파괴검사, 농업에서의 품종개량, 식품살균,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물질의 강화, 의료용 트레이서 등 넓은 범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그 이용범위 및 유용성은 방사성동위원소가 안정동위원소에 비하여 크게 우세하다.

15492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랑구라계획                   1951 10월 중순, 미 제 1해병사단과 한국군 제 1군단의 1개 사단을 고저, 통천일대에 상륙시키고, 이들이 견제공격을 행하는 사이 미 제 9군단을 주공으로 하여 미 제10군단, 한국군 제1군단으로 하여금 모두 공세를 취하게 하여 금화-통천 방향으로 공격을 행하여 적 4개 군단(북한군 2, 3, 5군단 및 중공군 제 20)을 포위하여 섬멸하고 전선을 평강-회양-고저 선까지 추진시킨다는 계획으로, 전선의 고착 상태를 타개하여 휴전후의 더 양호한 방어선을 확보하고 중동부 전선의 적을 섬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작전 완수를 위한 철도의 일부가 중공군 감제하에 있었고, 작전 동원부대가 계획에 따라 동북으로 이동할 경우 중공군 주력이 미 제 1군단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하여 랑구라 작전 수행 전에 제한공격을 실시하여 전선을 북방으로 추진시키고 중공군의 공세능력을 격멸하고 철도를 확보하는 계획이 따로 수립되었다. 이 작전의 건의자는 밴플리트 장군으로, 하계 공세(피의 능선 전투)때 맹조의 발톱계획이라 명명된 공세계획을 두 번이나 건의하였으나 기각된 상태에서 새로운 공세를 건의한 것이었다.  유엔군 사령관 리지웨이 장군은 밴플리트 장군의 건의를 묵살하였고, 9 30일 미 제 1군단장 오다니엘 소장이 제출한 코만도 계획을 승인하여 랑구라 계획은 기각되었다.

15493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러일전쟁                     20세기 초, 러시아의 동아시아 침략과 일본의 대륙 침략이 충돌한 것이 원인이 되어 한국과 만주에서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러시아와 일본 사이의 전쟁을 가리킨다. 표면적으로는 러시아와 일본의 충돌이지만 배후에는 영일동맹과 러시아 프랑스 동맹이 있었다. 의화단 사건 이후 러시아는 만주에 계속 군대를 주둔시키고 남하정책을 노골화하였으며, 당시 조선에 대하여 일본이 가지고 있던 독점적 지배우위를 위협하였다. 이에 일본은 만한 교환론 등을 제시하여 러시아와 교섭하고자 하였으나 러시아는 시종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일본 내부에서도 주전파가 우세를 점하게 되어 일본은 영, 미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일본은 1904 2 4일 대 러시아 전쟁을 결정하였고, 같은 달 8일 육군 선발대가 인천에 상륙하는 것과 동시에 뤼순(旅順)항을 공격하여 러시아 함선을 침몰시킴으로써 전쟁이 시작되었다. 4월 하순 한국에 상륙하여 북상한 일본 제 1군은 5월 초 압록강 연안에서 러시아군과 충돌하여 격파했고 같은 달 랴오둥() 반도에 상륙한 제2군은 난산(南山), 다롄()을 점령하여 뤼순을 고립시켰다. 8월에는 라오양() 부근에서 양국군이 첫번째 대규모적인 접전을 벌였고, 10월의 사허(沙河) 전투, 1905 1월의 헤이거우타이(黑溝臺)전투 등에서 일본군이 고전 끝에 승리하였다. 뤼순은 함대가 봉쇄당한 상태에서 고립되어 있었는데, 일본군 노기(乃木) 장군의 제 3군은 수차례에 걸친 공격으로 많은 손실을 보았지만 인해전술을 계속한 끝에 결국 1905 1월 뤼순을 함락시켰다. 그해 3월 러시아군 32만과 일본군 25만이 펑텐(奉天:현재의 심양)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일본군이 큰 피해를 입었으나 간신히 승리하였다. 또한 러시아의 발틱 함대가 지구를 반 바퀴나 돌아온 긴 항해 끝에 대한해협으로 접근하였으나, 도고 헤이하치로(東鄕平八郞)의 일본함대에 격파되었다. 펑텐 전투 이후 일본은 국력 자체의 한계로, 러시아는 연속된 패전에 의한 사기침체와 군대반란 및 농민폭동 등으로 전쟁수행능력이 한계에 이르렀으며, 이로 인하여 일본에 승리에 의한 만주 단독점령을 두려워한 열강에 의해 강화가 주선되어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포츠머드 조약이 맺어졌다. 이는 일본에 유리한 형태의 조약이었으며, 러일전쟁의 결과로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독점권이 열강 사이에서 인정되었다.

15494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레드볼             1. 낙동강전선의 보급지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철도를 이용하여 긴요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던 수송망을 가리킨다. 일본 동경만의 요코하마로부터 사세보에 걸친 철도수송망으로, 이 구간을 통해 물자를 수송하는 데는 약 30시간 내외가 소요되었다. 레드볼 특급을 통하여 사세보로 수송된 물자는 수송선을 통해 다음날 아침까지 부산으로 이송되었으며, 요코하마에서 출발한 보급품이 부산에 도착하는 시간을 총합하면 2일 반 정도였다. 이로 인하여 보급품을 일본에서 한국으로 공수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철도는 공수보다 비용이 저렴하면서 보다 확실하게 많은 양을 나를 수 있는 수송방법(8 25일의 경우 하루 949톤 수송)이었다는 점에서 레드볼 특급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미 극동 공군사령관들이 하루 200톤을 공수할 수 있는 공군의 능력을 활용해야 한다고 건의하자 협상을 통해 이후 레드볼 특급으로는 공수가 곤란한 보급품만을 수송하고 기타 보급품은 공수를 통해 수송하기로 결정하였다.  2.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파리 해방 이후 북부 프랑스로 진격하고 있던 미군에 대한 보급을 위해 아이젠하워 총사령관의 명령에 의해 조직되었던 특별수송부대를 가리킨다. 도로 정체시의 최우선 통행권을 가지며 헌병의 검문에도 응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었다. 야간에 수송대의 트럭이 앞차에 매달린 붉은 불빛을 따라 꼬리에 꼬리를 물고 질주했던 데서 레드볼 특급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15495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레이더             높은 지향성을 가진 안테나로 목표물에 전자파를 발사한 뒤 그 반사파를 수신하여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 장비를 가리킨다. 전파탐지기라고도 한다. 전자파의 송신과 반사파 수신 사이의 시간, 전자파의 최대 수신각도, 반사파의 성질 등을 분석하여 목표물의 위치 및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 형태 등을 포함하는 목표물의 속성을 알아내며, 사용 전파로는 마이크로파나 밀리미터파를 사용한다. 2차 세계대전 시기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표적의 탐색, 위치결정, 항해, 유도, 폭격, 기상관측 등 여러 가지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15496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레이더 유도탄    Radar Guided Missile      레이더를 이용하여 목표에 유도되는 미사일을 가리킨다. 레이더파를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능동, 반능동, 수동형으로 나뉜다. 능동 레이더 유도탄은 유도탄 자체에 레이더를 내장하고 직접 레이더파를 조사한 뒤 그 반사파를 받아 유도하는 것으로, 파이어 앤 포겟(Fire and Forget)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도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대함 미사일인 하푼(Harpoon), 엑조세(Exocet) 및 공대공 미사일인 피닉스(Phoenix) 등을 들 수 있다. 반능동 레이더 유도탄은 외부의 레이더가 목표를 추적하고 유도탄은 그 반사파를 받아 유도되는 것으로, 외부 레이더가 명중시까지 계속 목표를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파이어 앤 포겟 기능은 가질 수 없으나 전자파를 조사하는 레이더가 외부에 있어 능동형에 비해 고출력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거리를 좀더 늘릴 수 있다. 공대공 미사일인 스패로우(Sparrow)나 지대공 미사일인 호크(Hawk), 대전차무기인 헬파이어(Hellfire) 등을 들 수 있다. 수동 레이더 유도탄은 목표물에서 발생하는 레이더파를 추적하여 목표물에 유도되는 것으로 적 레이더기지를 공격하는 경우 등에 쓰이며, 대 레이더 미사일인 함(Harm) 등이 있다.

15497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레이저 유도폭탄  Laser Guided Bomb        레이저로 유도하여 명중률을 높인 폭탄을 가리킨다. 폭탄에는 레이저 유도 장치를 장비하고 있으며, 목표물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면서 항공기가 폭탄을 투하하면 폭탄에 장비된 레이저 유도 장치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따라가 목표물에 명중하도록 되어 있다. 베트남전쟁 때 최초로 등장하였으며, 현재 미국의 GBU 시리즈를 비롯한 많은 레이저 유도폭탄들이 정밀폭격에 쓰이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높은 명중률을 지니나 목표물에 폭탄이 명중할 때까지 항공기나 지상 관측병이 계속 레이더를 조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비나 구름, 짙은 안개와 같은 악천후나 먼지, 난기류 등이 발생할 경우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교란되거나 폭탄이 유도 레이저를 놓칠 수 있으며 이 경우 목표물에서 빗나가게 된다.

15498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레이저무기        Laser Weapon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파괴하는 무기를 가리킨다. 목표에 일정 시간(최대 수 초) 이상 고에너지 레이저를 조사하여 가열시킴으로써 목표물을 파괴한다. 아직까지 대형의 장비가 필요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지만, 사용될 경우 광속으로 발사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회피가 불가능하며, 일반적인 탄도미사일 및 현재로서는 요격이 불가능한 일반 야포 포탄까지 요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화될 경우 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현재 여러 종류의 레이저무기가 시험단계에 있으며, 현재는 충분한 출력을 유지한 채로의 소형, 경량화 및 정확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주로 진행중이다.

15499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마이크로파        Micro Wave       주파수에 따른 전파 분류의 한 가지로, 주파수대 1000MHz에서 30GHz사이의 전파를 가리킨다. UHF(Ultra High Frequency:300-3,000MHz) SHF(Super High Frequency:3-30GHz)가 이에 해당되며, 300MHz 이상의 전파를 극초단파라고 한다. 파장은 10cm에서 100cm 사이이다. 육상, 해상, 공중의 무선 통신, 위성 통신과 방송 및 레이더에 쓰이고 있으며, 그 외에 우주 관측을 위한 전파 망원경이나 의료설비, 가정용 전자레인지 등에도 사용된다.

15500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만국표준시간      Universal Standard Time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시각. 그리니치 자오선에서의 0시가 만국표준시간상의 0시이다.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으며, 천체관측의 기록과 같은 학술상이나 항해상, 항공기 노탐상 등 국제적으로 세계의 시각을 통일해서 표기해야 할 경우에 이용된다. 세계 각지의 표준시는 만국표준시간을 기준으로 이것과 정수 혹은 반정수 시간이 다른 시각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국의 경도에 따라 만국표준시간과의 차이가 다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