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보고서 해외창업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카더라에 속지말고...직접 가서 보고 확인하라.
정말 중요한 지적이다. 나도 태국에서 셀프세탁소를 검토했는데...
직접 현지에서 검토하니...ㅎㅎ 널린게 셀프세탁기더라..
그리고 그 사회를 바꿀수 없다. 한국사람 성질대로 되는 것은 없다.
이 말도 정말 중요한 지적이라 생각한다.
- 베트남 창업: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과는 다른 문화, 법규, 시장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마치 새로운 게임을 시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게임의 룰을 잘 알아야 성공할 수...
1. 🌟 베트남에서의 삶과 사업 운영
-
인터뷰 대상자는 베트남에서 직영 및 가맹 형태로 총 2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
베트남에서의 교육비는 비싸며, 연간 3만 5,000불에서 4만 불 이상이 소요된다.
-
인터뷰 대상자는 베이커리 일을 32년 이상 했고, 한국에서 대기업 연구소에 주재원으로 있었으며, 여러 사정으로 인해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
베트남에서의 생활비는 예상보다 높으며, 한국 생활비의 3분의 1 수준이다.
-
그는 베트남에 처음 1년 반은 파견으로 머물렀으며, 그 후 가족과 정착하여 현재까지 11년 정도 거주 중이다.
2. 🌍 베트남에서의 사업 확장 및 베이커리 문화
-
2016년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7년 동안 매장이 증가하였고, 본점은 여러 이유로 이전하였다 .
-
'아티산'이라는 매장명은 불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빵 쟁이라고 통용된다 .
-
직원들은 전부 베트남인이며, 이들과 함께 12년째 일하고 있으며, 베트남어는 업무 용어 정도만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
-
베트남에서는 바게트가 식사의 개념으로 간주되어, 빵이 주식처럼 소비된다고 설명한다 .
-
베트남에서의 빵 가격은 한국에 비해 저렴하며, 다양한 빵 종류가 일부 제한적이다 .
3. 🍞 베트남에서 빵집 운영의 실태
-
베트남의 전기세는 물가 및 소득에 비해 비쌀 수 있으며, 업종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책정된다 .
-
직원 채용은 지역에 따라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고급 지역에서는 출퇴근 시간이 길어 인력난이 발생할 수 있다 .
-
베트남에서의 직원 급여는 예를 들어, 파트타임 직원의 경우 2만 동에서 2만 5천 동으로,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오래 근무하는 경향이 있다 .
-
판매량이 가장 높은 메뉴는 소금빵으로, 한국과 현지 소비자 모두에게 인기가 있으며 원가는 낮다 .
-
베트남의 마케팅은 주로 페이스북을 활용하며, 구전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평가된다 .
4. 🍞 베트남에서의 매장 운영과 현지화 문제
-
매장은 브랜드와 컨셉이 다르며, 투썸 럼 디저트 카페로서 브런치와 디저트, 빵류는 거의 없는 형태이다 .
-
매장에는 경비 아저씨가 있어야 고객이 안심하고 오토바이를 맡길 수 있으며, 경비가 없으면 도난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
-
매장에서는 흰개미 문제로 인해 자주 천장을 교체해야 하며, 이는 구조물 손상으로 이어진다 .
-
매장에서는 현지화로 인해 한국식 빵을 가져왔으나, 방역 기준 차이로 인해 한국과 베트남의 빵 맛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여겨진다 .
-
코로나19 상황에서는 방역 지침으로 인해 빵집 운영이 제한되었고, 이로 인해 소셜 미디어에서 반미 바게트의 필수품 논란이 일어났으나 결국 빵집 운영이 허용되었다 .
5. 📊 사업 운영 및 문화 적응의 중요성
-
베트남에서 운영하는 매장의 월 매출은 약 4만 불로, 원가는 매출의 25% 정도 잡고 있으며, 마진율은 약 62%로 추정된다 .
-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각한 상황에서 통역기를 활용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된다 .
-
주재원으로서의 경험은 베트남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고, 이는 사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
-
창업 시, 현지 문화와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기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기보다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 .
-
한국의 잘못된 정보에 기반한 창업 접근은 위험하며, 직접 경험을 통해 팩트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
- 베트남 창업: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과는 다른 문화, 법규, 시장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마치 새로운 게임을 시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게임의 룰을 잘 알아야 성공할 수...
1. 🌟 베트남에서의 삶과 사업 운영
-
인터뷰 대상자는 베트남에서 직영 및 가맹 형태로 총 2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
베트남에서의 교육비는 비싸며, 연간 3만 5,000불에서 4만 불 이상이 소요된다.
-
인터뷰 대상자는 베이커리 일을 32년 이상 했고, 한국에서 대기업 연구소에 주재원으로 있었으며, 여러 사정으로 인해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
베트남에서의 생활비는 예상보다 높으며, 한국 생활비의 3분의 1 수준이다.
-
그는 베트남에 처음 1년 반은 파견으로 머물렀으며, 그 후 가족과 정착하여 현재까지 11년 정도 거주 중이다.
2. 🌍 베트남에서의 사업 확장 및 베이커리 문화
-
2016년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7년 동안 매장이 증가하였고, 본점은 여러 이유로 이전하였다 .
-
'아티산'이라는 매장명은 불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빵 쟁이라고 통용된다 .
-
직원들은 전부 베트남인이며, 이들과 함께 12년째 일하고 있으며, 베트남어는 업무 용어 정도만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
-
베트남에서는 바게트가 식사의 개념으로 간주되어, 빵이 주식처럼 소비된다고 설명한다 .
-
베트남에서의 빵 가격은 한국에 비해 저렴하며, 다양한 빵 종류가 일부 제한적이다 .
3. 🍞 베트남에서 빵집 운영의 실태
-
베트남의 전기세는 물가 및 소득에 비해 비쌀 수 있으며, 업종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책정된다 .
-
직원 채용은 지역에 따라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고급 지역에서는 출퇴근 시간이 길어 인력난이 발생할 수 있다 .
-
베트남에서의 직원 급여는 예를 들어, 파트타임 직원의 경우 2만 동에서 2만 5천 동으로,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오래 근무하는 경향이 있다 .
-
판매량이 가장 높은 메뉴는 소금빵으로, 한국과 현지 소비자 모두에게 인기가 있으며 원가는 낮다 .
-
베트남의 마케팅은 주로 페이스북을 활용하며, 구전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평가된다 .
4. 🍞 베트남에서의 매장 운영과 현지화 문제
-
매장은 브랜드와 컨셉이 다르며, 투썸 럼 디저트 카페로서 브런치와 디저트, 빵류는 거의 없는 형태이다 .
-
매장에는 경비 아저씨가 있어야 고객이 안심하고 오토바이를 맡길 수 있으며, 경비가 없으면 도난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
-
매장에서는 흰개미 문제로 인해 자주 천장을 교체해야 하며, 이는 구조물 손상으로 이어진다 .
-
매장에서는 현지화로 인해 한국식 빵을 가져왔으나, 방역 기준 차이로 인해 한국과 베트남의 빵 맛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여겨진다 .
-
코로나19 상황에서는 방역 지침으로 인해 빵집 운영이 제한되었고, 이로 인해 소셜 미디어에서 반미 바게트의 필수품 논란이 일어났으나 결국 빵집 운영이 허용되었다 .
5. 📊 사업 운영 및 문화 적응의 중요성
-
베트남에서 운영하는 매장의 월 매출은 약 4만 불로, 원가는 매출의 25% 정도 잡고 있으며, 마진율은 약 62%로 추정된다 .
-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각한 상황에서 통역기를 활용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된다 .
-
주재원으로서의 경험은 베트남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고, 이는 사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
-
창업 시, 현지 문화와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기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기보다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 .
-
한국의 잘못된 정보에 기반한 창업 접근은 위험하며, 직접 경험을 통해 팩트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
대기업 주재원 관두고 베트남에서 매장 20개를 운영하는 대표의 하루 【베트남】
https://www.youtube.com/watch?v=viIrp4MurEs
'★정보+기회+아이디어+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코넛 팔레트 : 미힐 보스 - 코코팔렛(CocoPallet)의 설립자. (0) | 2025.04.09 |
---|---|
페이팔은 도대체 얼마나 떼어먹는 것인가? 얼마나 수수료를 붙이는 것인가? (1) | 2025.04.09 |
한국지역난방공사. 신재생에너지 열생산 수치 (0) | 2025.04.03 |
도요타 CEO: "이것은 전체 전기차 산업을 파괴할 가장 강력한 엔진입니다!" (0) | 2025.04.03 |
드디어 사라지는 전국 100만대 이상의 공유킥보드 - 강제견인에 이어 아예 운행금지?!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