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NEWS+IR

한국 PC방 문화는 위대했다... 엔비디아도 예상 못한 국내 연구진의 역대급 발견

by 아이러브비즈니스 2025. 3. 20.
반응형

아이디어링 : 원격근무시대. First Mover의 시대. 아이디어 회의 방법론 1편 
https://kmong.com/gig/317273

 

원격근무시대. 아이디어 회의 방법론 1 드립니다. - 크몽

스몰미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서비스 설명</p><p><br></p><p><strong><u>언제까지 회의실에서 ...

kmong.com

 

조용히 한방에 뒤집을 수 있을까?

어쨌든 AI는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한국 PC방 문화는 위대했다... 엔비디아도 예상 못한 국내 연구진의 역대급 발견

이 영상은 한국 PC방 문화에서 탄생한 놀라운 AI 학습기술에 대해 다룹니다. 카이스트연구팀은 저렴한 RTX 칩을 활용하여 기존 방식보다 10배 빠른 AI 학습성능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 GPU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AI 기술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텔라 트레이라는 분산 학습 프레임워크와 ESMOE라는 새로운 기법을 통해 GPU 메모리한계를 극복하고 CPU 활용률을 극대화한 점이 돋보입니다. 이 연구는 AI 시장의 경쟁이 '가장 좋은 반도체'에서 '가장 효율적인 AI'를 찾는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핵심 용어
  • PC방: 한국에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곳이에요. 컴퓨터 게임을 많이 해서 유명해졌어요....

1. 🎯 한국 연구진의 AI 학습 기술과 PC방 칩의 효율성

 
  • 한국의 연구진은 PC방 칩을 활용하여 AI 학습비용을 절감하고, 학계에서 주목받았다.

  • 딥 시크는 비싼 엔비디아 GPU없이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뛰어난 성능을 확보하여 주목받은 연구이다.

  • 한국은 AI 학습에 가정용 칩을 사용하며 학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 KAIST 연구팀은 기존보다 10배 빠른 성능을 PC방에서 활용할 수 있는 RTX 칩으로 달성했다.

  • 한국의 방법을 통한 AI 학습은 필요한 GPU를 8배에서 16배 정도 낮출 수 있다.

 

2. 🌟 스텔라 트레이와 AI 학습의 혁신

 
  • 2024년 9월, 연구팀은 스텔라 트레이라는 분산 학습 프레임워크를 공개했다.

  • 최적화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AI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요리에서 주방 기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치와 유사하다.

  • 연구팀은 엔비디아 RTX GPU 10개와 일반 CPU를 병렬로 연결하여 거대 AI 모델을 빠르게 학습시키는 데 성공했다.

  • 연구팀이 개발한 스텔라 트레이는 CPU와 GPU를 병렬로 연결하여 AI 학습속도를 높였으며, 단 열 장의 게임용 그래픽 카드만으로도 놀라운 속도를 낸다.

  • 한 언론사는 스텔라 트레이의 효율이 H100과 비교하여 52배에 달한다고 보도했으나, 이 부분은 정보를 더 들어봐야 할 필요가 있다.

 

3. 🧠 연구진의 GPU 메모리 용량 문제 해결 전략

 
  • 연구진은 메모리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할 때만 전문가를 불러서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 각 파라미터를 외부 메모리에 두고 실제 계산 시에만 GPU를 활용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 동적 최적화기술을 통해 CPU 활용률을 극대화하는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 한국 연구 결과는 뛰어나지만, 홍보와 마케팅의 부족으로 인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과학 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낮아 여전히 연구 성과를 알리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4. 🧠 국내 연구 문화의 특성과 도전 과제

 
  • 세계 수준의 연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 부족이 문제로 지적된다.

  • 스타트업은 빨리 실패하고 이를 통해 사업화를 노리며 빠른 성장을 추구하는 반면, 대학의 연구는 장기적인 연구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현재 미국 vs 중국의 시장 구도가 존재하며, 사람들은 성공 이야기 속의 언더독의 반란에 매력을 느낀다.

  • 중국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는 세계 언론에서 큰 관심을 받는 소재가 되며, 이는 한국 연구의 브랜드 스토리 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 한국에서도 희망적인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어 앞으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5. 🤖 AI 시장의 변화와 경쟁 전망

 
  • 중국 정부는 AI 국가 전략 사업으로 선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는 AI 판 스포트니크라는 비유로 표현되기도 한다.

  • 한국은 AI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나, 규모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 AI 시대의 변화로 인해 기존의 강력한 칩 대신 최적화를 통한 처리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효율 극대화가 AI 반도체 경쟁의 새로운 화두로 부각되고 있으며, AMD와 구글 등이 이에 동참하고 있다.

  • 한동수 교수는 AI 시장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반도체를 찾는 것이 경쟁의 주요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