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2201-123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순번 표제어 설명 분류 영문 출처 출처1
12201 잡음 재밍 적의 탐지 장비 수신기를 잡음으로 포화시켜 효과적인 탐지를 방해하는 전자전의 한 형태. 잡음은 방해 대상 장비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고도의 가변 빔폭을 가진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의 불규칙적인 신호로 형성되며, 대부분의 레이더에 대해 효과적이다. 재밍 지역 범위는 전자 방해기의 출력이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기타/기타 Noise Jamming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2 잡음 전파 방해 적 탐지 장비의 수신기에 다량의 잡음을 입력하여 효과적인 탐지를 방해하는 전자전의 한 형태. 잡음은 방해 대상 장비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고도의 가변 빔폭을 가진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변조의 불규칙적인 신호로 형성되며, 잡음 전파 방해는 대부분의 레이더에 대해 효과적이다. 유효 전파 방해 범위는 전파 방해기의 출력과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 NJ(Noise Jamming) 기타/기타 Noise Jamming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3 잡음 지수 특정 소자/회로/시스템의 입력 SNR 대 출력 SNR의 비. 즉 어떤 소자나 회로를 거치면서 얼마나 잡음이 늘어나느냐를 의미하므로 작을수록 좋은 값이다. ☜ 소음 지수(騷音指數) 기타/기타 Noise Figur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4 장간 조립교 강철 트러스 구조로 만들어진 부재를 조립하여 만드는 교량. 간격의 길이와 급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융통성 있게 보강 및 조정이 가능하며 1개 세트로 단일 복식 24.4m 2개소 또는 2단복식 33.5m 1개소를 구축할 수 있으며, 단경 간 교량으로 최대 구축 길이는 군용 하중 급수 60기준 시에 3단3중식으로 61m까지 구축된다. 기타/기타 Bailley Bridge / Panel Bridg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5 장갑 적의 총포탄을 막기 위하여 함정이나 전차, 장갑차 따위에 특수한 강철판을 덧쌈. 또는 그 강철판. 기타/기타 Armou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6 장갑 관통 ☞ 철갑탄(鐵甲彈)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7 장갑 관통 신관 ☞ 철갑탄(鐵甲彈)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8 장갑 관통탄 장갑 관통탄은 신종 포탄 중에서는 세 번째로 개발된 작품이다. 산뢰탄이 쇠구슬 지뢰를 포탄화한 물건이라면, 장갑 관통탄은 증기식 폭압 돌격창을 포탄화한 것이다. 1930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전력화된 장갑 관통탄은 중량형 할수트를 파괴할 수 있는 포탄을 만들어낸다는 단 하나의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압축 증기탄과 송곳처럼 생긴 거대한 탄두로 이루어진 장갑 관통탄은 적과 부딪치면 그 충격으로 인해 압축 증기탄이 격발하며 장갑 관통탄의 탄두를 밀어낸다. 이 탄환은 현재 중량형 원거리 할수트가 휴대할 수 있는 증기포의 사이즈에서 발사되어 흡파석 방패조차도 일격으로 부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갑 관통탄은 증기압 관리가 모든 탄환 중에서 가장 까다로운데, 증기포 자체와 탄환의 증기압을 모두 유지해줘야 하는 특유의 이중 구조 때문에 포신 내부에서 폭발하는 일이 잦다. 이로 인해 숙련된 병사가 아니면 장갑 관통탄을 제대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대규모의 적에 대한 살상보다는 강력한 마물을 격퇴하기 위해 만들어진 만큼, 명중률이 더 높은 직사포로 운용한다. 즉 포병 계열보다는 기갑이나 차량 계열에서 더 많이 운용하고 있다. 현재에는 장갑 관통탄의 관통력을 유지하면서 경량형 할수트 탑재형 증기포의 구경에 맞는 크기로 줄이는 연구가 진행중이며, 이것이 성공한다면 가까운 장래에 중량형 할수트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09 장갑 궤도차 무한궤도로 달리게 한 군용 장갑차. 험한 길이나 비탈길에서 유리하다. 기타/기타 Armored Streetca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0 장갑 보병 전투차 보병이 승차한 채로 전투할 수 있게 만든 장갑차량. 보병의 근접 전투 능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전차와의 협동작전이 용이하게 되어 공격 시의 기동 타격력이 향상된다. ☜ AIFV(Armored Infantry Fighting Vehicle) 기타/기타 Armored Infantry Fighting Vehicl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1 장갑 보병전투차 1. 보병전투차(Infantry Fighting Vehicle:IFV)에 장갑의 의미를 더하여 달리 이르는 말. 가리키는 바는 보병전투차와 같다. 인원수송장갑차(armored personnel carrier:APC)를 발전시킨 개념으로, 건 포트를 장비하여 보병이 승차한 채 전투를 벌일 수 있으며, 하차하여 전개하는 보병에게 더 강력한 화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병력수송차에 비하여 방어력이 강화되어 있으며, 보병지원을 넘어서 적의 장갑차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무장을 장착하는 경우도 많다. 무장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수송할 수 있는 보병의 숫자는 장갑병력수송차에 비하여 줄어들어 있다. 한국군에서는 자체개발한 K200 및 경협차관의 상환 형식으로 러시아에서 도입한 BMP-3을 보병전투차로 운용하고 있다. 2. 미국 FMC사에서 M113 인원수송장갑차를 개량하여 AIFV라 명명한 보병전투차를 가리킨다. 1970년 시제품이 완성되었으나 미군에서는 채용되지 않았고, 1973년 네덜란드 육군의 지원을 받아 개발을 진행하여 네덜란드, 필리핀, 벨기에 등 수개국에 총 2,000대 이상 발주되었다. 주무장은 2중급탄방식의 엘리콘 25mm 기관포이며, 양 측면에 페리스코프 장착형 건 포트 각 2기, 후부 건 포트 1기로 총 5기의 건 포트를 탑재하여 측면과 후방에 대하여 차내로부터의 사격이 가능하다. 장갑은 전용접 알루미늄제로, 공간장갑을 채용하여 방어력을 높이고 있다. 캐터필러에 의한 수상주행 능력을 가지며, 차장, 포수, 조종수 이외에 총 6명의 병력을 탑승시킬 수 있다. 기본형 외에도 박격포 장착형, 토우미사일 장착형, 지휘차형, 구급차형, 회수차형, 운반차형, 전장시찰 레이더 장비형 등 다량의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전쟁/군사정보>군사 용어사전>전쟁,군사용어사전 Armored Infantry Fighting 국방부 전쟁기념관 98 전차연감 ((주) 군사정보) / http://army-technology.com
12212 장갑 부대 A Panzer Division; 전차, 장갑 자동차 따위로 편성한 부대. 기타/기타 Armored Corps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3 장갑 신관 장갑을 관통하기 위해 고안된 탄. 작약이나 신관이 없이 특수열처리된 철이나 몰리브덴-크롬합금으로 만들어지며, 탄두부분은 고강도로 만들어 깨어지거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표적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4 장갑 열차 장갑판과 화포 따위로 무장한 열차. 대·소구경 화포나 기관총 따위를 탑재하여 철로 위를 이동하면서 지상 전투의 지원이나 철도 방어에 사용한다. 기타/기타 Armored(moto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5 장갑 자동차 장갑판과 기관총 따위로 무장한 자동차. 주로 지휘, 연락, 수색, 인원 수송, 경계 따위에 쓴다. 기타/기타 Armored Ca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6 장갑 전선 ☞ 외장 케이블(外裝cable)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7 장갑 전투 도저 각종 진지 구축, 장애물 구축, 통로 개척 시 사용하는 고도의 기동성을 가진 장비. 도저, 스크레이퍼, 윈치, 그레이더, 덤프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 ACE(Armored Combat Earthmover) 기타/기타 Armored Combat Earthmove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8 장갑 차량 ☞ 장갑차(裝甲車)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19 장갑 통신차 장갑을 한, 무선 통신 장비를 갖춘 차량. 기타/기타 Armored Communication Vehicl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0 장갑 표적 감지 인식 기술 대장갑 표적용 지능 탄이나 지능 지뢰 등의 개발에 소요되는 장갑 표적을 감지하고 타격점(중심부)을 인식하는 센서 설계 및 신호 처리 기술.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1 장갑차 적의 총포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차체를 강철판으로 덧씌운 차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전차, 장갑 인원 수송차, 장갑 열차 따위가 있다. ☜ 장갑 차량(裝甲車輛) 기타/기타 Armored Vehicl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2 장갑함 선체를 장갑판으로 싸서 무장한 군함.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3 장거리 공대공 유도탄 비행기에서 발사되어 적 비행기를 격추시키는 유도 미사일. ☜ BVRAAM(Beyond Visual Range Air-to-air Missile) 기타/기타 Beyond Visual Range Air-to-air Missil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4 장거리 극 초음속 유도탄 사정 거리가 최대 800~1,200km까지 가능하고, 마하 6-8의 극 초음속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미사일이다. 탄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스크램 제트 추진 장치에 의해 추진된다. 2분 동안에 200km나 8분 동안에 1,200km 정도를 비행시킬 수 있는 전구 탄도 미사일용 발사 플랫폼 등과 같이 시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표적을 공격하는 데 이용된다. 견고하고 깊이 숨겨져 있는 표적을 파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운동 에너지 요격체를 갖추고 있으며, 속도를 매우 높게 함으로써 표적 파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무기체계/유도무기 Long Range Hypersonic Missile 과학기술용어사전
12225 장거리 대잠 어뢰 ☞ 홍상어 무기체계/함정 Long Range Antisubmarine Torpedo 방사청용어 해군본부 홈페이지
12226 장거리 대전차 유도무기 연대 및 사단 지연 격멸 지대 범위인 2km 이상의 사거리에서 적 전차를 파괴하거나 저지하기 위하여 연대나 사단급에 편제된 대전차무기. 차량과 헬기에 탑재하여 운용된다. 탑재 장비의 생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운용 사거리의 확대가 요구되며, 사거리 확대에 따라 전장 정보 획득 기능과 전장 정보 통신을 통한 비시선 운용 개념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7 장거리 레이더 항공기 감시용 레이더로써 탐지 거리가 약 300km 이상인 레이더. ☜ LRR(Long Range Radar) 기타/기타 Long-Range Rada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8 장거리 사각 사진 ☞ 장거리 사각 촬영(長距離死角撮影)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29 장거리 사각 사진 촬영 고공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동체 중앙에 장착된 촬영기를 사용한 원거리 물체 촬영 행위. 조종사가 임의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 LOROP(Long Range Oblique Photography) 기타/기타 Long Range Oblique Photography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0 장거리 전자 항법 ☞ 로란(LORAN)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1 장거리 초계 군사 정찰을 위한 기술이지만 적의 세력의 금지를 포함할 수 있다. ☜ 장거리 초계 비행(長距離哨戒飛行) 기타/기타 Long Range Patrol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2 장거리 초계 비행 ☞ 장거리 초계(長距離哨戒)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3 장거리 탄도 미사일 ☞ 대륙간 탄도 유도탄(大陸間彈道誘導彈)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4 장거리 탄도 유도탄 ☞ 대륙간 탄도 유도탄(大陸間彈道誘導彈)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5 장거리 페이딩 자연 장애물(산, 언덕)에 의해 기지국 안테나의 유효높이가 변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페이딩 현상. 기타/기타 Long Term Fading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6 장거리 포 사정거리가 긴 대포. 기타/기타 Long Range Artillery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7 장거리 항법 보조 Long-Range Navigation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송신소로부터 송신하는 펄스 전자파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자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거리 전자 항법 방식.☜ LORAN(Long Range Aid To Navigation), LORAN(Long-range Navigation), 장거리 항법 보조 장비(長距離航法補助裝備), 장거리 항법 장비(長距離航法裝備), 장거리 항해(長距離航海), 장거리 항해 장비(長距離航海裝備) 기타/기타 Long Range Aid To Navigation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8 장거리 항법 보조 장비 ☞ 장거리 항법 보조(長距離航法補助)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39 장거리 항법 장비 ☞ 장거리 항법 보조(長距離航法補助)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0 장거리 항해 ☞ 장거리 항법 보조(長距離航法補助)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1 장거리 항해 장비 ☞ 장거리 항법 보조(長距離航法補助)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2 장거리사각촬영 항공기의 동체 중앙에 촬영기를 장착하여 조종사가 임의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선택 촬영할 수 있으며 고공에서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것. ☜ LOROP(Long Range Oblique Photograph), 장거리 사각 사진(長距離死角寫眞) 기타/기타 Long Range Oblique Photograph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3 장거리수송 편도(偏道) 160km 이상의 수송 거리를 말하며 적하역 시간보다 차량 운행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수송을 말한다. ☜ LDT(Long Distance Transportation) 기타/기타 LongDistance Transportation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4 장기 계속 계약 당해 연도 내에서 사업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특별한 경우에 수년간 계속하여 존속할 필요가 있거나 이행에 수년을 필요로 할 때 이행되는 계약으로 이를 필요로 할 때에는 장기계속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것은 각 회계연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당해계약을 이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임차 또는 운송, 보관, 시험, 조사, 연구, 측량, 시설관리 등의 용역계약의 경우나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계약의 경우 또는 그 이행을 수년을 요하며 설계서 등에 의하여 사업내용이 확정된 공사계약의 경우, 물품의 제조계약에 있어서 그 이행에 수년을 요하여 설계서 또는 규격서 등에 의하여 당해 계약목적물의 내용이 확정된 물품의 제조계약의 경우 이는 소속 중앙관서장의 승인을 얻어 단가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 정부계약의 종류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Long Term Contract 과학기술용어사전+국방부군수전력용어사전+KIMA [pdf]계약업무 CHECK POINT
12245 장기 계속 공사 이행에 수년을 요하며 설계서 등에 의하여 전체의 사업 내용이 확정되는 공사로서 낙찰 등에 의하여 결정된 총 공사 금액을 부기하여야 하며, 제2차 공사 이후의 계약은 부기된 총 공사 금액에서 이미 계약된 금액을 공제한 금액의 범위 안에서 체결할 것을 부관으로 약정하여야 한다. 제1차 및 제2차 이후의 계약 금액은 총 공사의 계약 단가에 의해 결정된다. 사업/계약관리/사업관리 과학기술용어사전
12246 장기 계속비 계약 국회에서 총예산과 연도별 연부액이 일괄 승인된 경우에 한하여 체결하는 계약(5년 이내)을 말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KIMA [pdf]계약업무 CHECK POINT
12247 장기 계약 계약 이행기간(계약 기간)이 2 회계 연도 이상에 걸치는 계약을 말하며, 「국가를 당사자로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특례로서 설치된 계약 방법이다. 즉 1 회계 연도 내에 계약기간이 종료하는 단기계약(단년도 계약 또는 일반 계약이라고도 함)의 특례로서 “이행에 수년을 요하여 단기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장기 조달 계획 또는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할 때에 단기 계약을 적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으로 판단되는 때” 적용토록 규정함으로써 장기 계약은 계약 체결 시 그 이행기간이 당해 회계 연도를 이월하게 함이 불가피한 경우와 조달 정책이나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단기 계약보다는 장기 계약의 적용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경우에만 적용하여야 한다는 계약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Long-term Contract 과학기술용어사전
12248 장기 기뢰 정찰 시스템 잠수함 어뢰 발사관을 이용하여 발사 및 회수가 가능한 자율형 무인 잠수정. 반경 200km 내에 있는 수중 기뢰를 탐색 및 관측이 가능하다.☜ LMRS(Long-term Mine Reconnaissance System) 기타/기타 Long-Term Mine Reconnaissance System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49 장기 생산소요 품목/물자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가능한 조기에 시스템 완성일을 맞추기 위하여 조기자금이 필요한 장비의 일부 또는 시스템 구성품들. 사업/계약관리/국제계약 Long-lead Items/Long-lead Time Materiels 방사청용어 FMS 실무업무 Q&A
12250 장기 옵션 계약 계약을 체결할 때에 5년을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계약기간을 정하고, 예측 소요물량에 대한 가격, 기간 및 계약해지 등에 대한 변경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체결하는 계약이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Long-term Option Contract KIMA 방위사업법 시행령
12251 장기 전력 소요 요청서 소요 요청 기관이 연중 수시로 장기 전력 소요를 요청하는 문서로서 선행 연구 또는 탐색개발의 근거를 제공한다. 사업/계약관리/사업관리 Long-term Force Requirement Paper 과학기술용어사전
12252 장기 체공 항공기나 기구 등이 장시간 공중에 머물러 있음. 기타/기타 Enduranc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3 장기 협약 협약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협약으로서 당해단계 연구개발기간을 대상으로 협약을 체결하되, 당해연도 연구기간 종료 후 매년마다 확정된 단가를 기준으로 연구비 등을 재조정하여 변경협약을 체결할 수 있는 협약방식을 말한다. 정책/제도/획득기획 Long-term Agreement 방사청용어 민·군겸용기술사업 공동시행규정, 방위사업청 훈령 제142호(2011. 4. 19. 개정)
12254 장기병력손실판단 작전 계속 일수가 6일 이상일 때 인가 병력을 기준하여 예상 손실을 판단하는 것. 기타/기타 Long Term Personnel Loss Estimates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5 장내 독소 박테리아 성장 중 생산 분비되는 단백질 독소 중에서 장관(腸管)에 작용하여 생체에 이상 반응을 일으키는 독소에 대한 총칭. 특정 표적 세포에 대해 독성을 갖고 있다. ☜ 엔테로톡신(Enterotoxin), 장독(腸毒), 장독소(腸毒素) 기타/기타 Enterotoxins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6 장독 ☞ 장내 독소(腸內毒素)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7 장독소 ☞ 장내 독소(腸內毒素)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8 장미진 ☞ 장티푸스(腸typhus)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59 장벽 적 부대의 이동을 지연, 제한, 정비, 전환 혹은 유인하여 추가적으로 적에게 인원, 시간, 장비의 손실을 줄 수 있도록 계획되고 운영되며 협조된 일련의 자연 및 인공 장애물을 말한다. 행정공통/군사용어 Barrier 과학기술용어사전
12260 장보고 ☞ 장보고함(張保皐艦)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61 장보고3 ☞ 장보고-3 사업(張保皐-3事業)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62 장보고-3 사업 한국 해군이 2020년에 실전배치를 목표로 추진중인 3,000톤급 중형 잠수함 개발사업이다. 장보고-3사업을 통하여 확보될 잠수함은 공기불요기관(AIP) 추진기관를 이용한 디젤 잠수함이며, 사정거리가 500 ~ 1,000km인 잠대지 순항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IP 추진기관을 통해 최대 50일 잠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장보고3(張保皐3)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63 장보고급 잠수함 장보고급 잠수함I(KSS-I)은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이며, 독일의 209급 잠수함을 도입한 것이다. 1987년 최초 3척이 주문되었는데, 1척은 독일 HDW 에서 건조되고 2척은 옥포대우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모두 9척이 건조되었다. 최대 잠항 깊이는 250미터이며 수동형 견인 어레이가 부착된다. 3,800 마력의 MTU 12V 396 SE 디젤 기관 4기가 탑재되어 있고, 각 기관 마다 발전기가 장착되 4기의 발전기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며, 축전지로 움직이는 모터 1대가 저소음 침투시 이용된다. SSM이 탑재되어있고, SUT 어뢰와 K-731를 발사할 수 있는 21인치(533미리) 함수 발사관 8개를 가지고 있다. 어뢰 대신 28개의 K-721 기뢰를 장착할 수 있고, Atlas Electronik CSU 83 음파탐지기를 장착하고 있다. 무기체계/함정 Chang Bo-go Class Submarines 방사청용어 해군본부 홈페이지
12264 장보고함 독일에서 도입하여 1993년실전에 배치된 한국 최초의 잠수함. ☞ 장보고(張保皐)급 잠수함 무기체계/함정 과학기술용어사전
12265 장부 가액 자산의 취득가격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사업/계약관리/원가관리 KIMA 방산원가대상물자 제비율 산정실무
12266 장비 1. 무기체계의 준비나 운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주요 하부무기체계를 말한다. 이는 주로 임무장비와 지원장비 2가지 범주로 분류한다. 2. 주요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정해진 수명기간 동안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완제품으로서 일정수준 이상의 화폐가치를 가진 품목을 말한다. 장비는 구조적으로 부분품, 결합체 및 구성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부분품, 결합체, 구성품 행정공통/운영유지 Equipment 1. 방사청용어 2. 국방부군수전력용어사전
12267 장비 검사 모든 장비에 대한 정비 검사는 지휘관에 의해 실시되며 이같은 검사를 통하여 지휘관은 장비의 사용 가능 정도 및 정비 소요 판단과 정비 능률을 측정한다. 정비 검사에는 지휘검사, 기술 검사 및 불시 검사의 3종이 있다. ☞ MI(Maintenance Inspection) 행정공통/운영유지 Maintenance Inspection 방위사업청
12268 장비 고장 고장으로 인하여 수리 부속품이 필요하거나 정비를 요하는 고장 장비, 파손 또는 고장으로 수리를 요하는 사용 불가능 장비, 긴박한 전투 상황 하에서는 사용 가능 하더라도 안전에 유해로운 상태의 장비, 계속적인 사용으로 장비에 심한 결함이 초래되는 장비 등은 장비 고장으로 분류된다. 장비 성능 시험 공구(Equipment Performance Test Set) 장비의 주요기관의 성능을 시험하는 공구로서 노즐 시험기, 엔진 가동 측정 시험기, 회전속도 시험기, 연전류 검출관 시험기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험공구는 장비를 정비 후에 검사하는 공구로서도 사용된다. ☜ DL(Dead Line) 기타/기타 Deadlin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69 장비 도태 심의 대상 장비 도태 결정 시 합참 장비 도태 심의 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는 주요 전투 장비를 말한다. 사업/계약관리/사업관리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0 장비 등록 관리 장비의 등록 번호, 도입 년도, 부수 장비 및 공구, 장비 이동 사항 등을 기록, 관리하는 것으로서 제대별로 장비 등록증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행정공통/운영유지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1 장비 배당표 인원 배당표에 의거하여 편성된 단위 부대 및 특정 기능 부대에 대한 필수 장비를 제외한 기타 장비 인가량을 규정한 문서이다. 각 군 본부의 별도 지시가 없는 한 이에 열거된 기타 장비를 청구하고 불출하는 데 대한 기본 근거 문서이다. 이 업무는 군수참모부에서 담당하는데, 육군의 경우 2004년부터 장비 편성표에 통합되어 이 업무는 정보 작전참모부에서 담당하고, 군수참모부는 장비 외 물자 배당 업무만을 전담하고 있다.☞ TA(Table Of Allowance) 행정공통/운영유지 Table of Allowance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2 장비 성능 시험공구 장비의 주요 기관의 성능을 시험하는 공구로서 노즐 시험기, 엔진 가동 측정 시험기, 회전속도 시험기, 연전류 검출관 시험기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험 공구는 장비를 정비 후에 검사하는 공구로서도 사용된다. 행정공통/기타 Equipment Performance Test Set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3 장비 유지비 각 장비를 관리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이는 수리부속비와 연료, 유류 및 교탄비를 포함하는 장비 운용비의 합계로 산출된다. 장비의 성능과 상태 유지 및 가동과 사용에 필요한 유지 물자 제반 요소를 포함하여 이에 소요되는 비용 요소이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Maintenance Cost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4 장비 이력 카드 장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것을 장비이력이라고 하며, 장비이력카드에는 장비의 등록번호, 형식, 규격, 장비의 이름, 사진 등을 기록한다. 장비에 대한 상세내역을 기록하여 현장에서 사용했거나 사용하게 될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History Card KIMA
12275 장비 인가 기준 부대별 부여된 직능 수행에 필요한 장비의 종류와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말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6 장비 인가 현수표 부대 및 부서별 완·감편 장비 인가 및 보유 현황이 수록되어 있는 장비 인가 문서로서 매년 초 발간 배포하며, 중앙 장비 인가 보유표와 기지별 장비 인가 보유표가 있다. ☞ EAID(Equipment Authorization Inventory Data)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Authorization Inventory Data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7 장비 인가표 장비인가 기준에 의거 부대별로 보유하고 있는 장비인가 현수이다.☞ 장비 편성표(裝備編成表)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Table of Equipment 과학기술용어사전+국방부군수전력용어사전
12278 장비 전투 준비 태세 평가기준 장비 보유 비율에 장비 가동율을 반영해서 평가하는 방법을 말하며, 평가율은 80%이상(A급, 완전 전투 준비), 70~79%(B급, 준 전투 준비), 69%이하(C급, 비전투 준비)로 구분한다. 산정 공식은 다음과 같다. 1. 장비 보유 비율 × 장비 가동율. 2. 장비 보유 비율 = (장비 보유 수 / 장비 인가 수)×100(%). 3. 장비 가동율 = (보유 장비 운용 시간(Uptime)/ (보유 장비 운용 시간(Uptime) + 불가동 시간(Downtime))) × 100(%). 4. 종합 장비보유 비율 : 장비 모델별 보유 비율 산술 평균. 5. 장비 가동 비율 : 장비 모델별 합계의 가동 비율.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과학기술용어사전
12279 장비 정비 기록부 장비별 자금 관리 보급 제도의 자금 배정 대 사용의 기준 문서이며, 연도 자금 사용 실적, 유류 소모 실적, 주파 거리(시간), 정비 인시 등을 월별 종합 기록하여 장비 종합 이력부의 기록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Maintenance Log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0 장비 정비 일지 장비, 기계 및 기타 도구에 대한 유지 보수를 추적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의해 사용됨. ☜ EML(Equipment Maintenance Log) 기타/기타 Equipment Maintenance Log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81 장비 정비 정보 체계 무기 체계의 주 장비를 중심으로 수리 부속 및 공구의 보급 및 정비 관련 사항을 최신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정보 체계로서 육 해 공군의 편성 부대로부터 국방부에 이르기까지 정비 관련 부서에서 사용하는 통합 정비 지원 시스템이다. 기타/기타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82 장비 제독소 화생방 작용제에 노출된 장비를 제독하기 위하여 전술 상황을 고려 일정한 장소를 선정하여 오염된 장비를 제독하는 곳. 화학 부대 지원 하에 실시하는 정밀 장비 제독소와 피지원 부대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급속 개념의 장비 제독소로 분류할 수 있다. ☜ EDS(Equipment Decontamination Station) 기타/기타 Equipment Decontamination Station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83 장비 제독제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에 오염된 장비를 제독하는 제독제. 장비 제독제로 사용되는 DS2는 모든 독성 화학 작용제를 제독할 수 있으며 HD와 GB는 5분 내에 제독하는 등 효과가 가장 빠른 제독제이다. 성분은 70%의 디에틸렌 트리아민과 28%의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와 2%의 가성소다로 구성된다. 소형 제독기에 충전하여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에 오염된 소지역 및 장비를 제독한다. 보관 시 주의할 사항은 STB 제독제와 혼합 보관하면 폭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혼합 보관을 해서는 안 된다. 기타/기타 Equipment Decontaminant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84 장비 종합 이력부 장비의 보급시로부터 폐기시까지 제반 기록 사항을 유지하는 양식으로 장비당 1매씩 작성한다. 주요 내용은 장비목록, 이력, 정비 제원을 기록하며, 매년도 수리부속 및 유류사용 금액을 장비정비 기록부에서 결산하여 이기하는 양식이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5 장비 편성표 인원 배당표에 의거하여 편성된 단위 부대 및 특정 기능 부대에 대한 필수 장비 인가량을 규정한 문서이다. 각 군 본부의 별도 지시가 없는 한 이에 열거된 필수 장비를 청구하고 불출하는 데 대한 기본 근거 문서가 된다. 이 업무는 정보 작전 참모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육군의 경우 2004년부터 장비 편성표로 장비 배당표가 통합되어 필수 장비뿐만 아니라 기타 장비 업무도 정보 작전 참모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 T/E(Table Of Equipment), TE(Table Of Equipment),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Table Of Equipment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6 장비 표준화 부호 장비 및 부품에 대한 표준화를 식별하기 위한 군수 전산 부호이다. 길이 및 형식은 1자리 문자로 구성된다.(보급 부호집 참조). A : 표준 장비, B : 제한 표준 장비, C : 비표준 장비, E : 시험용 장비, F : 상용 장비.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Standardization Equipment Identification Code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7 장비 피해 상태 전시 전투 및 비전투 상황 하에서 발생되는 피해 장비의 피해 정도와 수리 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기준이다. 피해 상태의 구분은 완파, 대파, 중파, 경파로 나뉘어진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Damage State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8 장비 현황 군대의 전투력을 이루는 무기체계ㆍ장비ㆍ설비 또는 기술적인 준비 상태의 현재 상황을 말한다. ☞ ES(Equipment Status)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Equipment Status 과학기술용어사전
12289 장비 현황표 군대의 전투력을 이루는 무기체계ㆍ장비ㆍ설비. 또는 기술적인 준비 상태의 현재 상황을 일정한 형식과 순서에 따라 보기 쉽게 나타낸 것.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Status Of Equipment 과학기술용어사전
12290 장비수명연장계획 기체에 대한 수명 연장 계획. ☜ SLEP(Service Life Extension Program) 기타/기타 Service Life Extension Program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91 장사정 포 장사정포는 북한 육군이 보유한 장거리 사격이 가능한 화포류를 총칭한다. 구체적으로는 M-1985 다연장 로켓포와 M-1991 다연장 로켓포, 170mm 곡사 자주포를 말한다. M-1985 다연장 로켓포와 M-1991 다연장 로켓포 등은 러시아의 카추사 로켓을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장사정포라고 별도로 부르지 않고, 일괄해서 북한이 보유한 카추사 로켓이라고 부른다. 기타/기타 Long Range Artillery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92 장서 필요한 분야 이용을 목적으로 자료관리 담당부서에서 수집 등록한 자료를 말하며, 이 중에서 가격이 1,000원을 초과하는 것만을 지칭할 때는 자산적 장서라고 한다. 행정공통/기타 Books 방사청용어 자료관리요령, 개정 2007. 9. 10(정책기획팀-2182)
12293 장애 내성 고장이 발생했을 때 이를 수리하거나 회복하지 않은 채로도 기능의 저하 없이 가동할 수 있고, 또한 24시간 연속 운전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예를 들면 케이블이나 어댑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을 수리해 중단된 서비스를 회복시키는 것이 아니고, 고장 부분을 방치한 채로 순간적으로 각각의 서비스를 다른 케이블로 우회시켜 서비스를 정지시키지 않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타/기타 Fault Tolerant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94 장애 복구 시각 실제로 시스템 장애가 복구된 시각으로 시스템 운영자가 국방전자조달시스템에 공지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방사청용어+KIMA
12295 장애 복구형 패킷 링 광케이블 링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망의 뛰어난 복구 처리 능력과 이더넷 망의 비용 효율성의 장점을 두루 활용하는 기술. ☜ RPR(Resilient Packet Ring) 기타/기타 Resilient Packet Ring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96 장애 부표 장애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표. 기타/기타 Obstipation Buoy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297 장애 시간 시스템 장애로 인해 정상적인 업무를 볼 수 없는 시간으로 시스템 운영자가 국방전자조달시스템에 공지한 장애시작시각부터 장애복구시각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Down time 방사청용어+KIMA
12298 장애 시작 시각 실제로 시스템 장애가 시작된 시각으로 시스템 운영자가 국방전자조달시스템에 공지한다. 사업/계약관리/계약관리 방사청용어+KIMA
12299 장애극복모드 1차 시스템이 고장 또는 정기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2차 시스템이 즉시 그 임무를 넘겨받아 프로세서, 서버,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시스템 구성 요소의 기능들이 중단 없이 유지될 수 있는 백업 운전 모드. 기타/기타 Fail-over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12300 장애물 적의 이동을 저지, 지연 또는 전환시키는 지형, 토질 그 자체와 그러한 목적을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것의 총칭. 기본적으로 자연장애물과 인공장애물로 분류한다. 기타/기타 Barrier / Obstacle 국방과학기술용어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 비즈니스 지식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2401-125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0) | 2023.03.19 |
---|---|
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2301-124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0) | 2023.03.19 |
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2101-122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0) | 2023.03.19 |
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2001-121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0) | 2023.03.18 |
방위사업청 국방용어사전 11901-12000 : 전세계 5위 방위산업국가 대한민국 (1) | 2023.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