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IR

미국만 잘살수 있을까??? : 캐나다 멕시코에 25% 관세 폭탄, 트럼프의 진짜 속셈은?

아이러브비즈니스 2025. 2. 3. 18:24
반응형

미국만 잘살수 있을까???

캐나다 멕시코에 25% 관세 폭탄, 트럼프의 진짜 속셈은? (박종훈의 지식한방)

https://www.youtube.com/watch?v=mb4rwSSK2ZE

 

트럼프의 관세 폭탄은 동맹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부과되면서 무역 전쟁의 신호탄이 되었습니다. 관세를 통해 세수를 보충하고자 하는 트럼프의 전략은 중국의 우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전과는 다른 전략적 대응을 보여줍니다. 미국의 재정적자는 심각한 수준에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관세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견됩니다. 이번 조치로 캐나다와 멕시코는 중국의 경제적 이익을 대가로 더 큰 타격을 받을 위험에 처했습니다. 이러한 트럼프의 결정은 국제 무역의 새로운 갈등을 예고하며 각국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핵심 용어
  •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으로, 그의 정권 하에서 무역 정책과 관세 부과에 대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강력한 보호무역 ...

1. 💼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그 배경

  • 트럼프는 동맹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본격적인 무역 전쟁을 시작한다.

  • 이번 관세 조치는 트럼프의 첫 번째 무역 조치로서, 앞으로 계속 추가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 트럼프의 감세 정책으로 인해 세수가 줄어들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관세를 통한 증세를 계획 중이다.

  • 미국은 역사적으로 관세를 통해 재정을 운영해왔으며, 이것이 트럼프가 관세 정책을 주장하는 배경이 된다.

  • 트럼프는 미국 국민의 세금 부담을 줄이고, 대신 해외 국가들에 세금을 부담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2. 💼 트럼프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정책의 배경

  • 멕시코는 과거 중국의 우회 수출 기지 역할을 해왔으며, 이로 인해 미국으로의 수출 규모가 급증했다. 2016년 40억 달러에서 2022년 135억 달러로 증가했다.

  • 바이든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중국의 멕시코 수출이 증가했으며, 멕시코산으로 상표를 바꿔 미국에 수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 트럼프는 멕시코의 수출기지 역할에 대한 반발로 25%의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였고, 이는 중국의 대미 수출을 차단하려는 의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멕시코의 GDP는 2020년 1조 1,200억 달러에서 2023년 1조 7,90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 같은 성장은 중국의 수출기지 역할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캐나다도 2021년 이후 중국의 수출 기지화가 진행되었고, 캐나다를 통한 중국의 대미 수출이 급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3. 💵 트럼프의 고율 관세 결정 배경

  • 트럼프는 먼로주의를 계승하여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였다. 이로 인해 자유무역협정으로 기존의 0%였던 관세가 25%로 인상된 것이다.

  •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에 10%를 추가로 부과하여, 25%에서 35%, 일부는 110%까지 상승하게 된다.

  • 캐나다와 멕시코의 관세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중국의 우회 수출 경로를 막는 효과를 노렸다.

  • 미국의 물가 문제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가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멕시코 페소 가치가 30% 상승하면서 미국의 수입 물가가 비싸졌고, 트럼프의 25% 관세가 이로 인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4. 🚨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그 영향

  •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페소 가치의 급락으로 인해 미국의 물가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멕시코의 25% 관세 부과는 멕시코의 수출 감소를 초래할 것이며, 이는 페소 가치를 더욱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다.

  • 미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에너지자동차 부품은 멕시코와의 관계에서 대체가 어려워,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이 크게 손해를 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 트럼프는 무역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는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캐나다 및 멕시코에도 관세를 부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를 적용하여 차별화된 접근을 하고 있다.

 

5. ⚡ 글로벌 관세 정책과 환율 개입의 영향

  • 강력한 관세 정책이 5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협상국들과의 협상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 중국과 유럽 연합, 일본이 트럼프에게 로비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한국도 트럼프에 대한 로비에 손을 놓을 경우 향후 4년 동안 큰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 한국은 환율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국은행이 외환 보유액을 활용하는 편법을 사용하고 있다.

  • 인위적인 환율 개입이 반복될 경우, 기업의 투자 의욕이 저하되고 경영 활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6. 🛑 정부의 의사 결정을 촉구하는 목소리

  • 정부의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정해진 답은 있지만 행동하지 않는 상황이다.

  • 방송이 종료되며, 청중에게 다음 시간을 예고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