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회+아이디어+TECH

200kg 해파리 6만 원에 사서 대체 뭐 만드나 봤더니. 노무라입깃 해파리

by 아이러브비즈니스 2025. 7. 23.
반응형

 

우선은...

해파리가 급증한 것이...결국은 인간에 의한 오염때문이 아닌가부터 생각해본다. 

그러나...자연은 길고 인간은 짧으니....

아이러브비즈니스 적 관점부터 보면 좋을 듯...

망했다 싶었던 한국 바다. 200kg 해파리 6만 원에 사서 대체 뭐 만드나 봤더니..|극한직업|#골라듄다큐

 

https://youtu.be/DYiQs1TQFZI?si=1aGO3XAN4Z6hSF56

 이 영상은 2024년 9월 7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폭염 속의 사투 해파리 말벌과의 전쟁>의 일부입니다.

뜨거워진 바다가 불러온 독성 해파리의 습격

2015년 관측이 시작된 이후, 전례 없는 독성 해파리 떼의 습격으로 우리 바다가 비상이다. 특히,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해파리의 출현 시기가 더 앞당겨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인데. 지난해의 경우, 1ha당 0.3마리에 불과했던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수가 올해 1ha당 108마리로 약 360배나 폭증했다고 한다. 스치기만 해도 촉수에서 독침을 쏘는 해파리로 인해, 해변을 찾은 관광객들의 쏘임 사고는 물론 어민들의 조업에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 속수무책 피해를 양산하고 있는 해파리 떼를 처치하기 위해 날마다 사투를 벌이고 있는 현장 속으로 찾아가 본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폭염 속의 사투 해파리 말벌과의 전쟁
✔ 방송 일자 : 2024.09.07

------------------------------------------------------

노무라입깃해파리 (Nomura's Jellyfish)

학명: Nemopilema nomurai

개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해파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해역, 특히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주로 출현합니다. 거대한 크기와 강력한 독성으로 인해 어업에 큰 피해를 주고 해양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종입니다.

주요 특징:

  1. 거대한 크기:
    • 갓(Bell)의 크기: 지름이 보통 1~2미터에 달하며, 가장 큰 개체는 2.5미터 이상 자라기도 합니다.
    • 무게: 200kg이 넘는 개체도 발견될 정도로 매우 무겁습니다.
    • 촉수 길이: 촉수는 수 미터에 이를 수 있습니다.
  2. 색상 및 외형:
    • 갓은 투명하거나 연한 황갈색, 붉은색을 띠며, 때로는 푸른색이나 보라색을 띠기도 합니다.
    • 갓 아랫부분에 복잡하게 얽힌 구완(oral arms)과 길고 가는 촉수들이 여러 갈래로 뻗어 있습니다. 이 구완과 촉수에는 독성이 있는 자포(cnidocytes)가 밀집해 있습니다.
  3. 서식지 및 분포:
    • 주로 **황해(Yellow Sea)**와 **동중국해(East China Sea)**가 주요 서식지이자 발생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 여름철부터 가을철까지 한국, 일본, 중국 연안으로 대량 유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대마난류를 타고 한국 동해안과 일본 연안까지 확산됩니다.
    • 수심 100미터 이내의 비교적 얕은 해역에 서식합니다.
  4. 생애 주기 및 출현:
    • 노무라입깃해파리는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폴립(polyp) 단계로 월동하다가,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에 에피라(ephyra) 단계를 거쳐 메두사(medusa, 성체)로 성장합니다.
    • 여름철에 급격히 성장하여 대규모 군집을 형성하고, 해류를 따라 이동하며 연안으로 유입됩니다.
    • 약 6개월 정도의 짧은 생애 주기를 가지며, 가을철 이후 수온이 내려가면 자연적으로 소멸합니다.

문제점 및 피해:

  1. 어업 피해:
    • 어망 손상: 거대한 몸집으로 인해 어망을 찢거나 훼손시킵니다.
    • 어획량 감소: 어획물과 함께 그물에 대량으로 잡혀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잡힌 물고기를 압사시키거나 독으로 죽게 만듭니다.
    • 조업 방해: 어민들이 해파리를 제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게 합니다.
    • 어선 엔진 과열: 해파리가 엔진 냉각수 흡입구에 끼어 엔진 고장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2. 해수욕객 피해:
    • 해수욕객들이 해파리 촉수에 닿아 쏘이면 심한 통증, 발진, 가려움증 등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이나 아나필락시스 쇼크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3. 생태계 교란 가능성:
    • 대량 출현 시 어류의 먹이(플랑크톤 등)를 대량으로 섭취하여 해양 생태계 먹이 사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어린 물고기나 어란을 섭취하여 특정 어종의 자원량 감소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관리 및 대응:

  • 모니터링: 국립수산과학원 등에서는 해파리 출현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보를 통해 어민과 국민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 구제 작업: 대량 출현 시 해파리 제거망을 이용하거나 해파리 절단 장비를 활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 연구: 해파리의 생태, 이동 경로, 대량 발생 원인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예측 및 방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피해 예방 교육: 해수욕장 등에서는 해파리 쏘임 예방 수칙 및 응급 처치법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합니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기후 변화, 해수 온도 상승, 연안 개발 등으로 인한 해양 환경 변화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해양 생물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